목차
1.서언
2. 본론
2.1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필요성
2.2 연계 프로그램의 유형
2.3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2.1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필요성
2.2 연계 프로그램의 유형
2.3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술치료
부부/가족 상담 및 부모교육
다문화 상담-개인, 가족
에바다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아동
언어진단, 심리진단, 감각운동진단
031-692-2362
팽성읍
감각운동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의료보호장구지원, 착용훈련, 재활기구 사용훈련, 타기관 서비스 의뢰
평택경찰서
실종아동
관련법규정안내, 실종아동신고, DNA활용 실종아동 찾기, 사전등록 신청
031-657-0112
비전동
성범죄
아동성폭력 신고, 상담, 긴급출동
가정폭력,학대
가정폭력 학대신고, 상담, 긴급출동
평택지역아동센터(나무와 숲)
빈곤, 위기 가정
아동관리 보호, 교육문화, 지역사회연계
031-651-2075
합정동
굿네이버스
빈곤가정아동
점심급식지원,교육지원,건강 및 정서지원, 문화체험학습지원
02-6717-4000
용산구
학대피해아동복지
심리치료, 치유자학교,상담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질병아동
교육, 정보제공, 보건소지원,전문상담
(경기)
1577-9642
분당구
성폭력상담소
아동성폭력
외상,정신과,심리,법률,치료프로그램지원,지역사회연계,사후관리
031-618-1366
평택동
3. 결론
이와 같이 지역사회 자원 연계와 활용을 지원을 통해 영유아 교육기관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와의 협력적 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영유아 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지역 조사를 통해 자연적, 인적, 물적, 문화적 자원 등의 다양한 자원을 찾고 그에 따른 자원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가정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연계교육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단체 및 주민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지역사회 인사의 보육활동 참여 및 지역사회에서 교육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면 상호보완적 협력체제로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비용이 많이 드는 가족지원서비스를 지역사회 자원 연계방법으로 이용한다면 예산과 비용은 절감하고 가족 지원 및 가정복지 증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 믿으며 다양한 교류와 협력체계를 갖추어가야겠다.
4.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2015, 이영애, 신은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통합지표 가정 및 지역사회연계. 한국 보육진흥원(2017.7)
중앙육아정보지원센터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main.jsp
부부/가족 상담 및 부모교육
다문화 상담-개인, 가족
에바다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아동
언어진단, 심리진단, 감각운동진단
031-692-2362
팽성읍
감각운동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의료보호장구지원, 착용훈련, 재활기구 사용훈련, 타기관 서비스 의뢰
평택경찰서
실종아동
관련법규정안내, 실종아동신고, DNA활용 실종아동 찾기, 사전등록 신청
031-657-0112
비전동
성범죄
아동성폭력 신고, 상담, 긴급출동
가정폭력,학대
가정폭력 학대신고, 상담, 긴급출동
평택지역아동센터(나무와 숲)
빈곤, 위기 가정
아동관리 보호, 교육문화, 지역사회연계
031-651-2075
합정동
굿네이버스
빈곤가정아동
점심급식지원,교육지원,건강 및 정서지원, 문화체험학습지원
02-6717-4000
용산구
학대피해아동복지
심리치료, 치유자학교,상담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질병아동
교육, 정보제공, 보건소지원,전문상담
(경기)
1577-9642
분당구
성폭력상담소
아동성폭력
외상,정신과,심리,법률,치료프로그램지원,지역사회연계,사후관리
031-618-1366
평택동
3. 결론
이와 같이 지역사회 자원 연계와 활용을 지원을 통해 영유아 교육기관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와의 협력적 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영유아 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지역 조사를 통해 자연적, 인적, 물적, 문화적 자원 등의 다양한 자원을 찾고 그에 따른 자원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가정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연계교육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단체 및 주민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지역사회 인사의 보육활동 참여 및 지역사회에서 교육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면 상호보완적 협력체제로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비용이 많이 드는 가족지원서비스를 지역사회 자원 연계방법으로 이용한다면 예산과 비용은 절감하고 가족 지원 및 가정복지 증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 믿으며 다양한 교류와 협력체계를 갖추어가야겠다.
4.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2015, 이영애, 신은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통합지표 가정 및 지역사회연계. 한국 보육진흥원(2017.7)
중앙육아정보지원센터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main.jsp
추천자료
2013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유아보육,교육기관 운영자지도성)
2013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유아교육기관의 장학)
2013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철학)
2014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2014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
2016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D형(영유아교육기관의 연간 안전계획)
2016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영유아교육기관의 예산편성)
2016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채용관리)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유아교육기관장으로서 유아관리과정)
2018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