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VIA 분류체계에서 지성과 관련된 강점들로 다음 괄호 A, B, C에 어울리는 용어는?
2. 셀먼이 제안한 조망수용의 5단계에서 빈칸에 적절한 용어는?
3. 긍정적 성품의 분류체계의 괄호에 해당는 강점은?
4. 허시와 블랑샤드(Hersey &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에서 A와 B에 해당되는 용어는?
5. Salovey 와 Mayer의 정서지능 수정모델에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은?
6. 감사경험에서 필요한 세 가지 인지적 판단을 제시하고, 자신의 일상에 이를 적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7. 외상 후 성장의 정의를 제시하고,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시오.
참고문헌
1. VIA 분류체계에서 지성과 관련된 강점들로 다음 괄호 A, B, C에 어울리는 용어는?
2. 셀먼이 제안한 조망수용의 5단계에서 빈칸에 적절한 용어는?
3. 긍정적 성품의 분류체계의 괄호에 해당는 강점은?
4. 허시와 블랑샤드(Hersey &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에서 A와 B에 해당되는 용어는?
5. Salovey 와 Mayer의 정서지능 수정모델에서 각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은?
6. 감사경험에서 필요한 세 가지 인지적 판단을 제시하고, 자신의 일상에 이를 적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7. 외상 후 성장의 정의를 제시하고,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상을 받은 뒤, 회복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회복(recovery)상태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긍정적 변형(transformation)을 가리킨다. ) 1990년대 중반 Tedeschi와 Calhoun 외상 이후 개인의 긍정적인 변화를‘외상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이하 PTG)’이라고 명명하였고, 외상후 성장이란 외상 사건과 투쟁한 결과, 개인에게 긍정적인 심리 변화가 일어나는 주관적 경험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성장’이란 외상 이전의 수준을 넘어서는 긍정적이며 새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은 환자의 적응적인 자원에 가하는 중대한 도전을 의미하며, 세상과 그 속에 있는 자신의 공간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중대한 도전을 보이기도 한다. 외상후 성장은 세상에 대해 생각하고 세계와 관계하는 방식에 있어서 삶을 변화시키는 심리적 변화를 말하는데 단순히 외상 이전으로의 회복뿐만 아니라, 개인의 이전 적응 수준, 심리적 기능 수준, 또는 삶의 자각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변화를 의미하며, 자신에 대한 지각의 변화, 타인과의 관계성의 변화, 삶에 대한 철학의 변화, 영성의 변화 등을 포함한다.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전략들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적응과 레질리언스 확보다. ‘적응’이란 개인이 변화하는 삶의 환경에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 로 정의되는데, 개인의 정서 상태 그리고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포함한다. 레질리언스 개인의 타고난 요인과 더불어 외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극복하기 위한 행동전략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외상사건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타인에게 이야기하거나 기도를 하며, 주변의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이 감소하고, 자동적인 반추가 조절되며 그 안에서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좀 더 성숙한 반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혜가 생성되고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Finley&Joseph, 2004). 외상후성장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낙관성, 극복 능력 등이 있다. 이들 개념은 부정적 사건을 이해 및 수용하고, 그로 인한 삶의 변화에 적응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외상 후 성장은 적응을 넘어 부정적 사건을 경험하기 이전 더욱 더 높은 수준으로 기능하고 긍정적인 내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청소년인성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참고문헌
청소년인성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