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uffalo'66
2. Deadman Walking
3. The Blair Witch Project
2. Deadman Walking
3. The Blair Witch Project
본문내용
않은 영화에서 공포를 느끼는지 ‘핸드 헬드 촬영과 스크린 속 색감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다.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핸드 헬드의 기법으로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유지한다. 여기서 관객은 영화의 내용을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착각하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또한 관객은 카메라가 바라보는 장면만 볼 수 있어서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대상이 보이지 않으면 그것에 대항하여 저항할 수도 없고 싸워볼 수도 없다. The Blair Witch Project에서는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초자연적 현상을 카메라를 통해서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관객이 답답함을 느끼고 불안해져 공포상태가 점점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
The Blair Witch Project에서는 칼라화면과 흑백화면의 교차로 인해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혼란을 준다. 지금까지 우리가 보던 영화들은 칼라(혹은 흑백)를 계속 유지해가며 내용을 이끌어가기 때문이다. 흑백화면에서 영화 속 상황을 낯선 상황이라고 인식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생각한다. 낯선 상황에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몸을 움츠리고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카메라 촬영기법만으로 줄 수 없던 무의식적의 공포를 관객들이 느껴 관객들은 전보다 더 심한 공포를 맛 볼 수 있다.
The Blair Witch Project를 통해 핸드 헬드 카메라 샷과 색감만으로 관객을 무섭게 할 수 있는 것은 관객의 심리를 가지고 놀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특별한 장치가 없어도 잔인한 장면이 없어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공포심을 주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핸드 헬드의 기법으로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유지한다. 여기서 관객은 영화의 내용을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착각하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또한 관객은 카메라가 바라보는 장면만 볼 수 있어서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대상이 보이지 않으면 그것에 대항하여 저항할 수도 없고 싸워볼 수도 없다. The Blair Witch Project에서는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초자연적 현상을 카메라를 통해서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관객이 답답함을 느끼고 불안해져 공포상태가 점점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
The Blair Witch Project에서는 칼라화면과 흑백화면의 교차로 인해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혼란을 준다. 지금까지 우리가 보던 영화들은 칼라(혹은 흑백)를 계속 유지해가며 내용을 이끌어가기 때문이다. 흑백화면에서 영화 속 상황을 낯선 상황이라고 인식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생각한다. 낯선 상황에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몸을 움츠리고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카메라 촬영기법만으로 줄 수 없던 무의식적의 공포를 관객들이 느껴 관객들은 전보다 더 심한 공포를 맛 볼 수 있다.
The Blair Witch Project를 통해 핸드 헬드 카메라 샷과 색감만으로 관객을 무섭게 할 수 있는 것은 관객의 심리를 가지고 놀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특별한 장치가 없어도 잔인한 장면이 없어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공포심을 주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