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 culture & Cell viability assa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ell culture & Cell viability assa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u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razolium을 세포에 처리하면, 살아있는(대사 과정이 온전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의 ring 구조가 끊어지면서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결정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MTT formazan 결정은 일반적으로 dimethyl sulfoxide(DMSO)와 같은 유기용매에 녹여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formazan dye의 흡광도는 540nm 부근이다. 이 흡광도는 MTT가 살아있는 세포에 의해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각 well에 존재하는 생존 세포 수와 비례한다. 살아있는 세포가 많을수록 MTT fomazan이 많이 생성되므로 formazan dye의 흡광도가 높게 측정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에 따라 살아있는 세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 측정 well당 세포의 농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범위에 있으면 살아있는 세포의 농도와 흡광도 사이의 직선적인 비례관계가 성립되지 않게 되므로 최적의 세포농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MTT는 물에 녹지 않는 formazan 색소의 크리스탈을 형성하므로, 계면활성제나 유기용제로 가용화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며 보통 DMSO를 사용하여 formazan 크리스탈을 녹인다. MTS는 MTT에서 하는 여러 가지 과정없이 media MTS PMS를 섞고 바로 측정을 한다. MTS는 불안정한 구조의 시약이기 때문에 꼭 냉동보관을 해야하는데 얼렸다 녹였다를 여러번 반복하게 되면 떨어져 최근에는 WST를 많이 사용한다. WST를 이용한 방법은 세포내의 모든 dehydrogenase와 반응하므로 세포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WST 등은 세포 독성이 매우 적어 같은 plate에서 cell viability test와 함께 다른 여러가지 실험들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dehydrogenase assay는 세포의 condition이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된다. 이것은 dehydrogenase, NAD, NADP 및 mitochondrial activity 등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다른 tetrazolium salt에 비해 WST-1이 감도가 높고, 측정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진다. 세포 증식능력이나 세포생존 능력을 정량하기 위한 제품으로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 Salts (WST-1)에서 formazan이라는 발색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ELISA로 측정한다. 대사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탈수소효소 (Dehydrogenase)인 succinatetrazolium Reductase에 의한 것으로 살아있는 세포에만 유효하며 곧 발색강도가 세포수와 직선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WST는 수용성의 tetrazolium salt로서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오렌지색 수용성의 formazan을 생성한다. 따라서 formazan을 녹이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배양액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 suspension cell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ence 10
5. Reference
1) Geoffrey M.Cooper, Robert E. Hausman, 『세포학 분자적접근』6판, 2015, 월드사이언스, p.3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2967&cid=60262&categoryId=60262
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96187&cid=40942&categoryId=32322
4) https://blog.naver.com/stw2000kr/220859115038
5) Geoffrey M.Cooper, Robert E. Hausman, 『세포학 분자적접근』6판, 2015, 월드사이언스, p.35
6) https://blog.naver.com/ing04242/221201945181
7) https://blog.naver.com/heesoo1234/80152339580
8) http://blog.prettymay.com/220994693145
9) https://blog.naver.com/stw2000kr/220859115038
10) http://blog.prettymay.com/220994693145?Redirect=Log&from=postView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6.19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