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체적으로 무엇이 문제인가?
2/ 클라이언트는 문제를 어떻게 보며 문제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어떠한가?
3/ 문제체계에 누가 관련되어 있는가?
4/ 참여자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5/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6/ 문제행동이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7/ 언제 문제행동이 유발되는가?
8/ 문제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기간은 어떠한가?
9/ 문제해결의 역사는 어떠한가?
10/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11/ 클라이언트는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12/ 클라이언트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13/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외적인 자원이 무엇인가?
14/ 클라이언트 자신의 자원, 기술, 강점은 무엇인가?
15/ 치료계획과 개입계획은 어떠한가?
* 참고문헌
2/ 클라이언트는 문제를 어떻게 보며 문제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어떠한가?
3/ 문제체계에 누가 관련되어 있는가?
4/ 참여자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5/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6/ 문제행동이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7/ 언제 문제행동이 유발되는가?
8/ 문제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기간은 어떠한가?
9/ 문제해결의 역사는 어떠한가?
10/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11/ 클라이언트는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12/ 클라이언트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13/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외적인 자원이 무엇인가?
14/ 클라이언트 자신의 자원, 기술, 강점은 무엇인가?
15/ 치료계획과 개입계획은 어떠한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칙중의 하나는 클라이언트가 현재 처해 있는 그 위치에서 시작하라는 것이다. 종종 문제 상황에 관한 사점은 클라이언트의 관점보다는 사회복지사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예컨대, 자신의 집에서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노인은 힘들지만 자친이 태어나 성장한 그 집에서 계속 생활하고자 하지만 사회복지사는 양로원에 수용, 보호하려고 한다.
11/ 클라이언트는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과 전략을 활용했을 수 있다. 이들을 검토하는 것은 현재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문제에 직면하여 알코올이나 약물을 사용하여 자신을 마비시키거나 강화하려고 시도하거나 도피를 하려는 사람도 있으며, 공격적 행동을 하고 지배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대인관계 문제를 대처하려는 사람도 있고, 만면에 지나치게 복종하거나 타인에게 심하게 의존하는 사람도 있다.
12/ 클라이언트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문제 상황에 대한 사정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장애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파악되어야 한다. 예컨대, 부부가 결혼생활의 갈등이 있다면 문제해결, 의사소통, 의사결정, 그리고 갈등조정 등에서의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지나치게 폐쇄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는 타인에게 접근하고 그들 자신을 소개하고 타인과의 대화에 참여하는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
13/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외적인 자원이 무엇인가?
사정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대처하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필요한 외적 자원도 파악되어야 한다. 자조집단, 가족 구성원, 동료, 종교집단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
14/ 클라이언트 자신의 자원, 기술, 강점은 무엇인가?
가끔 문제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그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자원과 기술, 강점 등을 활용케 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15/ 치료계획과 개입계획은 어떠한가?
일단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강점이 사정되면 그 다음 단계는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행동과정을 이행한다.
목표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합의하에 설정되어야 하고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치료계획과 개입계획도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예컨대, 자신의 집에서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노인은 힘들지만 자친이 태어나 성장한 그 집에서 계속 생활하고자 하지만 사회복지사는 양로원에 수용, 보호하려고 한다.
11/ 클라이언트는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과 전략을 활용했을 수 있다. 이들을 검토하는 것은 현재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문제에 직면하여 알코올이나 약물을 사용하여 자신을 마비시키거나 강화하려고 시도하거나 도피를 하려는 사람도 있으며, 공격적 행동을 하고 지배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대인관계 문제를 대처하려는 사람도 있고, 만면에 지나치게 복종하거나 타인에게 심하게 의존하는 사람도 있다.
12/ 클라이언트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문제 상황에 대한 사정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장애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파악되어야 한다. 예컨대, 부부가 결혼생활의 갈등이 있다면 문제해결, 의사소통, 의사결정, 그리고 갈등조정 등에서의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지나치게 폐쇄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는 타인에게 접근하고 그들 자신을 소개하고 타인과의 대화에 참여하는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
13/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외적인 자원이 무엇인가?
사정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대처하는 데 필요한 기술뿐만 아니라 필요한 외적 자원도 파악되어야 한다. 자조집단, 가족 구성원, 동료, 종교집단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
14/ 클라이언트 자신의 자원, 기술, 강점은 무엇인가?
가끔 문제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그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자원과 기술, 강점 등을 활용케 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15/ 치료계획과 개입계획은 어떠한가?
일단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강점이 사정되면 그 다음 단계는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행동과정을 이행한다.
목표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합의하에 설정되어야 하고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치료계획과 개입계획도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체계이론을 이용한 사회복지실천방법
사회복지실천기술론-중간(예상문제)
지역사회사정
사회복지실천 과정론 : 초기단계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실천기록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족중심 사회복지실천기술 - 가족중심 사회복지실천에서 일반적 개입...
기록의 목적과 활용 및 기록의 내용과 서비스 과정 단계마다 수행되는 업무기록양식
[사회복지실천론] <기록>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면접의 기록 - 기록의 목적과 활용도, 기록내용...
[원서번역]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저자 - Elizabeth M. Timberlake...) 01장.Th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