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빅데이터와 보건의료산업
1. 빅데이터 개요 및 분석 프로세스
2. 보건의료산업 개요
3. 보건의료산업 빅데이터 활용 사례
Ⅲ. 결론 및 전략적 시사점
Ⅱ. 빅데이터와 보건의료산업
1. 빅데이터 개요 및 분석 프로세스
2. 보건의료산업 개요
3. 보건의료산업 빅데이터 활용 사례
Ⅲ. 결론 및 전략적 시사점
본문내용
에 대한 정보 제공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정부 입장에서는 이러한 통계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질병의 발생장소 및 전염속도를 분석할 수 있고, 주요한 질병의 분포 및 추세를 예측해 국가차원의 조기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약의 기능 등을 문의하는 민원 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것 역시 필박스 프로젝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미국 국립보건원, 필박스(Pillbox)(http://pillbox.nlm.nih.gov/)>
Ⅲ. 결론 및 전략적 시사점
앞으로의 의료서비스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급속히 가속화될 것이며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전자 정보, 생활 습관, 소득수준, 환경데이터 등의 융·복합 정보를 가지고 특정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복합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프 케어서비스는 미래의 건강, 생활 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예언가’ 역할 을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접근방법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는 축적된 데이터의 활용 및 의료비용 절감 측면에서 보건의료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국립보건원의 의약품 검색서비스인 필박스와 웰포인트의 인공지능 컴퓨터 시스템 왓슨이 빅데이터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약물정보 제공, 정확한 진단과 치료효과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인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져서 위험 분자나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및 바이오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는 국가 과학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 및 바이오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수집·공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및 분석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국가적인 인재 개발 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가 포함된 보건의료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차단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개인 정보를 철저히 은닉하면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숙.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기술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0(1), pp. 34-40. 2012.
송태민.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효율적 활용 방안,”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3, 2012.
한국정보화진흥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2013 빅데이터 국내 사례집, 2014. 3.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사례>, http://blog.naver.com/vpkorea09/220730785438
<빅데이터, 의료산업 패러다임 바꾼다>, http://blog.naver.com/scienceall1/220045728243
<미국 국립보건원, 필박스(Pillbox)(http://pillbox.nlm.nih.gov/)>
Ⅲ. 결론 및 전략적 시사점
앞으로의 의료서비스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급속히 가속화될 것이며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전자 정보, 생활 습관, 소득수준, 환경데이터 등의 융·복합 정보를 가지고 특정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이 복합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프 케어서비스는 미래의 건강, 생활 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예언가’ 역할 을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접근방법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는 축적된 데이터의 활용 및 의료비용 절감 측면에서 보건의료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국립보건원의 의약품 검색서비스인 필박스와 웰포인트의 인공지능 컴퓨터 시스템 왓슨이 빅데이터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약물정보 제공, 정확한 진단과 치료효과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인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져서 위험 분자나 이상 현상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및 바이오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는 국가 과학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 및 바이오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수집·공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및 분석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국가적인 인재 개발 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가 포함된 보건의료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차단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개인 정보를 철저히 은닉하면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숙.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기술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0(1), pp. 34-40. 2012.
송태민.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효율적 활용 방안,”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3, 2012.
한국정보화진흥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2013 빅데이터 국내 사례집, 2014. 3.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사례>, http://blog.naver.com/vpkorea09/220730785438
<빅데이터, 의료산업 패러다임 바꾼다>, http://blog.naver.com/scienceall1/220045728243
추천자료
OCU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레포트 - 빅데이터(big data) 입니다.
빅데이터 정의분석및 빅데이터 서비스 활용사례분석과 빅데이터 국가별 정책동향분석및 빅데...
재난보건의료 현황과 산업화[Disaster Health Status and Industrialization ]
[경영정보론] 딥 러닝(Deep Learning)기술에 대한 이해 - 딥 러닝의 정의, 딥 러닝 기술의 성...
간호학)간호 발전에 영향을 미친 간호지도자를 선정 그 리더쉽의 원리를 바탕으로 4차산업 시...
빅데이터 활용 사례와 빅데이터 발전 방안 분석
[세계의 역사]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산업혁명에 ...
인공지능(AI)의 현황 사례 및 전망 분석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2020>교재 1장에 보면 빅 데이터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현재 우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