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실습 목적
02. 실습 장비
03. 실습 원리 및 방법
04. 실습 결과
05. 주의 및 참고사항
06. 고찰
02. 실습 장비
03. 실습 원리 및 방법
04. 실습 결과
05. 주의 및 참고사항
06. 고찰
본문내용
맞추고 측점과 연직축이 일치하도 록 여러번 확인한다.
(4) 측점 바꿔야할 겨우 장비를 분리한 후 이동하여야 하지만 이동거리가 짧을 경우 연직축이 휘어지지 않도록 장비를 연직으로 세워 이동한다.
06. 오차원인 및 고찰
개인 고찰
: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측설 측량을 진행하였다.
선행한 실습은 기계좌표를 토탈스테이션에 입력한 뒤 방위각을 이용하여
알고자하는 점의 좌표를 구하는 것이고 후로 진행한 실습은 미지의 좌표가 실제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측설 실습이였다. 실습은 해가 강한날 진행하였다. 실제로 육안으로 땅이 끓는 것이 관찰 되었고 토탈스테이션은 빛을 이용한 장치이기 때문에 빛의 굴절이 생길 것이라고 짐작하였다. 또한 습도 역시 높은 날이였기 때문에 건조한 날씨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지 못했을 것이라 예상했다.
이러한 자연적 오차와 우연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 측량은 3번씩 반복적으로 진행하였다.
더 정확한 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선 더 많은 측량을 통해 최확값을 구해야 하지만 시간 관계상 조원들의 합의 하 3번의 측량을 통해 정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각자 눈금을 읽는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 눈금은 항상 김창엽 조원이 읽었다.
기계적 오차 역시 존재하였다. 토탈스테이션을 회전시킬 때마다 기포관의 기포가 중심원에서 벗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토탈스테이션이 지면과 완전한 수평을 이루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각도만큼 거리 오차가 생길 것이다.
측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프리즘을 설치하였는데 이것 역시 지면과 연직 상태로 있지 못하였고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하지 못하여 데이터에 오차가 생길 것이라고 짐작했다. 프리즘의 높낮이에 따른 오차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직접 확인하기 위해 같은 위치에서 프리즘을 낮게 하여 시준하고 높게 하여 시준해 보았지만 너무나도 큰 차이로 인해 프리즘의 높낮이가 오차의 주 원인인지 다른 요소가 있는 것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높낮이를 변경하면서 프리즘의 각도가 많이 벌어진 것이 다른 오차를 냈을 것이라고 짐작하였다. 프리즘을 연직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많은 오차가 모여 큰 오차가 생겼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실제로 전에 실습으로 진행한 폐합트레버스 측량의 경우 허용오차를 크게 웃도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기계 오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반복 측량을 통해 정오차를 줄이는 것이 정확한 측량을 위한 핵심이다.
(4) 측점 바꿔야할 겨우 장비를 분리한 후 이동하여야 하지만 이동거리가 짧을 경우 연직축이 휘어지지 않도록 장비를 연직으로 세워 이동한다.
06. 오차원인 및 고찰
개인 고찰
: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측설 측량을 진행하였다.
선행한 실습은 기계좌표를 토탈스테이션에 입력한 뒤 방위각을 이용하여
알고자하는 점의 좌표를 구하는 것이고 후로 진행한 실습은 미지의 좌표가 실제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측설 실습이였다. 실습은 해가 강한날 진행하였다. 실제로 육안으로 땅이 끓는 것이 관찰 되었고 토탈스테이션은 빛을 이용한 장치이기 때문에 빛의 굴절이 생길 것이라고 짐작하였다. 또한 습도 역시 높은 날이였기 때문에 건조한 날씨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지 못했을 것이라 예상했다.
이러한 자연적 오차와 우연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 측량은 3번씩 반복적으로 진행하였다.
더 정확한 데이터를 구하기 위해선 더 많은 측량을 통해 최확값을 구해야 하지만 시간 관계상 조원들의 합의 하 3번의 측량을 통해 정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각자 눈금을 읽는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 눈금은 항상 김창엽 조원이 읽었다.
기계적 오차 역시 존재하였다. 토탈스테이션을 회전시킬 때마다 기포관의 기포가 중심원에서 벗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토탈스테이션이 지면과 완전한 수평을 이루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각도만큼 거리 오차가 생길 것이다.
측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프리즘을 설치하였는데 이것 역시 지면과 연직 상태로 있지 못하였고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하지 못하여 데이터에 오차가 생길 것이라고 짐작했다. 프리즘의 높낮이에 따른 오차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직접 확인하기 위해 같은 위치에서 프리즘을 낮게 하여 시준하고 높게 하여 시준해 보았지만 너무나도 큰 차이로 인해 프리즘의 높낮이가 오차의 주 원인인지 다른 요소가 있는 것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높낮이를 변경하면서 프리즘의 각도가 많이 벌어진 것이 다른 오차를 냈을 것이라고 짐작하였다. 프리즘을 연직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많은 오차가 모여 큰 오차가 생겼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실제로 전에 실습으로 진행한 폐합트레버스 측량의 경우 허용오차를 크게 웃도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기계 오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반복 측량을 통해 정오차를 줄이는 것이 정확한 측량을 위한 핵심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