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염의 용해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염의 용해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원리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논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눈금 피펫
스탠드
클램프
온도계
시약주걱
물중탕 장치
4.실험 방법
1 시험관을 50mL 비커에 넣고 시험관과 비커의 질량을 잰다.
2 약 8g의 KN0를 시험관에 넣고 정확한 질량을 잰다.
3 클램프를 이용하여 시험관을 스탠드에 고정시킨다.
4 100mL 비커에 약 75mL의 증류수를 넣는다.
5 증류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6 피펫을 이용하여 5mL의 증류수를 KN0가 들어 있는 시험관에 넣는다.
7 시험관에 온도계를 꽂은 후 온도를 측정한다.
8 유리 막대로 용액을 저어주면서 온도 변화를 관찰한다.
9 증류수가 담긴 100mL 비커에 시험관을 담그고 85~90가 될 때까지 서서히 가열한다.
10 KN0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용액을 저어준다.
11 가열을 중지하고 시험관을 비커에서 꺼낸 후 용액을 계속 저어주면서 결정이 석출될 때의 온도를 기록한다.
12 피펫을 이용하여 2mL의 증류수를 시험관에 더 넣어주고 계속 저어주면서 결정이 석출될 때의 온도를 기록한다. 이때 증류수를 넣자 마자 결정이 생기면 시험관을 물중탕으로 가열하여 결정을 녹인 후 서서히 식힌다.
13 12와 같은 과정을 3번 더 반복한다.
14 각각의 온도에서의 용해도를 구한다.
5. 실험 결과 및 논의
시험관 + 비커의 질량 74.497g
시험관 + 비커 + KN0의 질량 82.560g
KN0의 질량 8.063g
KN0를 넣기 전의 증류수의 온도 17c
KN0를 넣은 후의 용액의 온도 7c
발열 반응인가? 흡열 반응인가? 흡열반응
결정이 석출되기 시작한 온도
-5mL의 H0를 넣었을 때의 온도 77도씨
-7mL의 H0를 넣었을 때의 온도 61도씨
-9mL의 H0를 넣었을 때의 온도 42도씨:
-11mL의 H0를 넣었을 때의 온도 40도씨
-13mL의 H0를 넣었을 때의 온도 39도씨
각각의 온도에서의 KN0의 용해도
t 에서의 용해도 161.26g
t 에서의 용해도 115.19g
t 에서의 용해도 89.588g
t 에서의 용해도 73.300g
t 에서의 용해도 62.023g
위 실제 용해도 그래프와 실험 데이터의 용해도 값을 비교하면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오차가 나는 부분도 있다. 특히 t3,t4 온도의 경우에는 실제 용해도 보다 더 녹은 과포화 상태의 용액처럼 측정되었는데 실제로는 포화상태의 용액이지만 이러한 오차가 나타나게된 이유는 결정 석출이 될 때 포화 상태임을 판단하는 기준이 우리의 눈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실히 석출 될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7.09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