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목차
제 1주차 -변화의 이해
2주차 인공지능의 발전과 사회변동
3주차-로봇의 발전과 사회변동
4주차- 창의적 기업에서 배운다 1 - 애플
2주차 인공지능의 발전과 사회변동
3주차-로봇의 발전과 사회변동
4주차- 창의적 기업에서 배운다 1 - 애플
본문내용
진짜 보다 진짜 같은) 시대의 가속화, 컨버전스의 확산, 유비쿼터스 시대의 시작, 미디어 기업의 영향력 증대, 문화콘텐츠 향유 확대
인간관계의 변화는 블로그, 에센에스 등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음
혈연 지연 학연 같은 1차 커뮤니티의 관계가 느슨해짐-> 취미 등 개인적 취향을 기반으로 한 동호회의 관계 강화-> 새로운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급격하게 개인 중심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개인은 가치 있는 주체로 부각 됨
*시뮬라르크란? 자기 동일성이 없는 복제물, 원본이 없는 복제물
*시뮬라르크의 시대
-원본인 현실보다도 복제물인 시뮬라르크가 훨씬 현실로 느껴짐
-원본과 그 복제물이 구별이 되지 않음
*문화 컬쳐 +기술 테크놀로지
문화기술(CT)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문화콘텐츠 기술이라고도 함
-문화콘텐츠의 기획, 상품화, 미디어 탑재, 전달, 유통, 향유의 전체 가치사슬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말함
-공학적 기술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 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노하우를 융합한 복합적 기술의 총칭이라 할 수 있음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문화로서의 문화콘텐츠를 생산, 유통, 향유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음
영화 예시- 상호 융합하는 복합기술의 필요성
*문화 콘텐츠 산업의 일반 가치 사슬
기획- 인문학적 가치 인문학적 상상력 인문학 자료
제작-기술적 능력 예술적 능력
비즈니스- 홍보 마케팅 능력 (인문학적 기반)
=> 융합의 필요성
*융합?
-사전적의미)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 지거나 그렇게 만듦 또는 그런 일, 유사어로 퓨전
우리가 말하는 융합의 의미) 2개 이상의 기술요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하려 개별 기술요소들의 특성이 상실되고 새로운 특성을 갖는 기술과 제품이 탄생되는 현상으로 정의함
*융합기술) 1963 미국 테크놀로지 컨버전스 1995 일본 테크놀로지 퓨전
: 신기술간 또는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미래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이라는 의미의 컨버전스 테크놀로지 로 정의됨
기존가치제고, 기술기반 융합, 제품서비스 융합, 신 가치창출
시장고도화형 융합: 2개 이상의 제품, 서비스가 융합하여 기존 시장 확장
기술진화형 융합: 2개 이상의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기술에 적용
돌파기술 형 융합: 2개 이상의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 극복
신 산업 창출 유형: 2개 이상 제품, 서비스가 융합하여 신산업 창충
[융합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과 정의]
퓨전 컨버전스 복합
인티그레이션 기술융합
기술퓨전 기술통합
2) 산업혁명의 변화
*1차 산업혁명-1780년 이후 증기기관 발명으로 기계를 활용한 생산체계를 확립, 주요에너지는 석탄, 증기기관이 주요 운송수단 역할 함- 제임스 와트
- 수공업에서 공장제 기계 공업으로의 전황
-자본주의 확립과 근대적 계급 발생
-사회주의 사상의 대두
*2차 산업혁명-1900년대 이후 전기와 컨베이어 벨트의 발명으로 대량생산체계가 본격적으로 촉발, 중화학 공업, 중공업 발전, 자본주의 고도발전, 석탄과 함께 석유 및 핵에너지가 이용됨, 자동차항공기를 활용한 운송- 토마스 에디슨
-제국주의 출현
-제1차 세계대전
+ 모던타임즈: 자본주의에 문제를 제기하는 영화, 찰리채플린, 기계시대의 인간소외를 코믹하게 그려냄
*3차 산업혁명-디지털, 인터넷, 컴퓨터, 자동화 1970년대 이후 발명된 컴퓨터와 인터넷이 시발점, 공작 기계,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 인터넷과 휴대폰의 등장- 공간과 시간의 장벽 허물어짐 집중되어 있던 권력 분산, 수평적인 권력 구조로 개편
로봇- 공장자동화 산업발전 속도 급속도 빨라짐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 등의 우려로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활용 시작
*4차 산업혁명 초연결 창조사회
-진정한 디지털 혁명 신시대
: 인류 탄생~ 2013년: 5엑사바이트/ 2015년: 7.9제타바이트/2020년 요타바이트/2030 브론토바이트/~이후: 락시아바이트 (전부 1024배씩)
-인공지능의 신시대를 개척
: 사물인터넷(아이오티)에서 만물인터넷(아이오이) 빅데이터를 통한 에이아이 해석 => 현실세계와 사이버 세계의 초연결 글로벌 시피에스 생태계로 재편
디지털 행성 생태계: 무한대 메모리, 무한대 네트워크 무한대 클라우드 등 물리적 제한 사라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증강현실, 무인 자율 운항체, 3디 프린팅, 바이오 기술,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알티 생명과학
로봇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한 자동 생산
물리적 행성(1의지구-인터넷혁명-사이버행성(2의 지구-초연결 만물 인터넷 혁명-디지털행성(3의지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었다? 아니다? 분명한건 3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음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 클라우스 슈밥 다보스 포럼 회장- 우리가 하는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류자체를 바꿀 것입니다.
3) 제 4차산업혁명과 문화산업의 변동
[가까운 미래의 변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자리 변화]
*사라질 직업: 제조직, 펀드매니저, 의사
전세계 7세 아이들 70퍼는 지금 없는 직업을 가지게 될 것
스위스 다보스 포럼을 하는 주관세계경제포럼
*없어질 직업: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화이트칼라 사무관리 분야 2/3
*새로운 직업: 컴퓨터, 수학, 건축, 엔지니어링 분야
<우리나라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참고]4차 산업혁명시대, 위협받을 직종: 문화예술 창작분야 직종은 안전한가?]
근데 문화예술 창작 분야도 안전하지 않다 피아노 치는 로봇 소설 쓰는 인공지능(러시아에서 출간해 베스트 셀러가 된 ‘트루러브’는 로봇이 쓴 최초소설 알렉산더 프로코프비치가 아이디어를 내고 언어학자 컴퓨터 전문가 등이 약 8개월간 매달려 소설쓰기 프로그램 완성, 안나 카레니나/ 닉 몬트포트 교수이자 시인이 세계시계라는 소설- 인물의 성격 행동, 위치를 만들 수 있음/ 로봇 샤오이스가 시를 작성-햇살은 유리창을 잃고/인공지능 셸리-프랑켄슈타인의 작가 메리셸리에서 따옴, 엠아이티에서 에이아이 기술을 활용해 공포이야기 만듬, 얘가 트위터에 시작을 트위터에 올리면 인간유저가 쓰고 다음 또 셸리가 씀, 그리고 이 제작자들은 사진을 무섭게 바꾸는 나
인간관계의 변화는 블로그, 에센에스 등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음
혈연 지연 학연 같은 1차 커뮤니티의 관계가 느슨해짐-> 취미 등 개인적 취향을 기반으로 한 동호회의 관계 강화-> 새로운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급격하게 개인 중심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개인은 가치 있는 주체로 부각 됨
*시뮬라르크란? 자기 동일성이 없는 복제물, 원본이 없는 복제물
*시뮬라르크의 시대
-원본인 현실보다도 복제물인 시뮬라르크가 훨씬 현실로 느껴짐
-원본과 그 복제물이 구별이 되지 않음
*문화 컬쳐 +기술 테크놀로지
문화기술(CT)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문화콘텐츠 기술이라고도 함
-문화콘텐츠의 기획, 상품화, 미디어 탑재, 전달, 유통, 향유의 전체 가치사슬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말함
-공학적 기술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 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노하우를 융합한 복합적 기술의 총칭이라 할 수 있음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문화로서의 문화콘텐츠를 생산, 유통, 향유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음
영화 예시- 상호 융합하는 복합기술의 필요성
*문화 콘텐츠 산업의 일반 가치 사슬
기획- 인문학적 가치 인문학적 상상력 인문학 자료
제작-기술적 능력 예술적 능력
비즈니스- 홍보 마케팅 능력 (인문학적 기반)
=> 융합의 필요성
*융합?
-사전적의미)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 지거나 그렇게 만듦 또는 그런 일, 유사어로 퓨전
우리가 말하는 융합의 의미) 2개 이상의 기술요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하려 개별 기술요소들의 특성이 상실되고 새로운 특성을 갖는 기술과 제품이 탄생되는 현상으로 정의함
*융합기술) 1963 미국 테크놀로지 컨버전스 1995 일본 테크놀로지 퓨전
: 신기술간 또는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미래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이라는 의미의 컨버전스 테크놀로지 로 정의됨
기존가치제고, 기술기반 융합, 제품서비스 융합, 신 가치창출
시장고도화형 융합: 2개 이상의 제품, 서비스가 융합하여 기존 시장 확장
기술진화형 융합: 2개 이상의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기술에 적용
돌파기술 형 융합: 2개 이상의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 극복
신 산업 창출 유형: 2개 이상 제품, 서비스가 융합하여 신산업 창충
[융합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과 정의]
퓨전 컨버전스 복합
인티그레이션 기술융합
기술퓨전 기술통합
2) 산업혁명의 변화
*1차 산업혁명-1780년 이후 증기기관 발명으로 기계를 활용한 생산체계를 확립, 주요에너지는 석탄, 증기기관이 주요 운송수단 역할 함- 제임스 와트
- 수공업에서 공장제 기계 공업으로의 전황
-자본주의 확립과 근대적 계급 발생
-사회주의 사상의 대두
*2차 산업혁명-1900년대 이후 전기와 컨베이어 벨트의 발명으로 대량생산체계가 본격적으로 촉발, 중화학 공업, 중공업 발전, 자본주의 고도발전, 석탄과 함께 석유 및 핵에너지가 이용됨, 자동차항공기를 활용한 운송- 토마스 에디슨
-제국주의 출현
-제1차 세계대전
+ 모던타임즈: 자본주의에 문제를 제기하는 영화, 찰리채플린, 기계시대의 인간소외를 코믹하게 그려냄
*3차 산업혁명-디지털, 인터넷, 컴퓨터, 자동화 1970년대 이후 발명된 컴퓨터와 인터넷이 시발점, 공작 기계,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 인터넷과 휴대폰의 등장- 공간과 시간의 장벽 허물어짐 집중되어 있던 권력 분산, 수평적인 권력 구조로 개편
로봇- 공장자동화 산업발전 속도 급속도 빨라짐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 등의 우려로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활용 시작
*4차 산업혁명 초연결 창조사회
-진정한 디지털 혁명 신시대
: 인류 탄생~ 2013년: 5엑사바이트/ 2015년: 7.9제타바이트/2020년 요타바이트/2030 브론토바이트/~이후: 락시아바이트 (전부 1024배씩)
-인공지능의 신시대를 개척
: 사물인터넷(아이오티)에서 만물인터넷(아이오이) 빅데이터를 통한 에이아이 해석 => 현실세계와 사이버 세계의 초연결 글로벌 시피에스 생태계로 재편
디지털 행성 생태계: 무한대 메모리, 무한대 네트워크 무한대 클라우드 등 물리적 제한 사라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증강현실, 무인 자율 운항체, 3디 프린팅, 바이오 기술,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알티 생명과학
로봇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한 자동 생산
물리적 행성(1의지구-인터넷혁명-사이버행성(2의 지구-초연결 만물 인터넷 혁명-디지털행성(3의지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었다? 아니다? 분명한건 3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음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 클라우스 슈밥 다보스 포럼 회장- 우리가 하는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류자체를 바꿀 것입니다.
3) 제 4차산업혁명과 문화산업의 변동
[가까운 미래의 변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자리 변화]
*사라질 직업: 제조직, 펀드매니저, 의사
전세계 7세 아이들 70퍼는 지금 없는 직업을 가지게 될 것
스위스 다보스 포럼을 하는 주관세계경제포럼
*없어질 직업: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화이트칼라 사무관리 분야 2/3
*새로운 직업: 컴퓨터, 수학, 건축, 엔지니어링 분야
<우리나라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참고]4차 산업혁명시대, 위협받을 직종: 문화예술 창작분야 직종은 안전한가?]
근데 문화예술 창작 분야도 안전하지 않다 피아노 치는 로봇 소설 쓰는 인공지능(러시아에서 출간해 베스트 셀러가 된 ‘트루러브’는 로봇이 쓴 최초소설 알렉산더 프로코프비치가 아이디어를 내고 언어학자 컴퓨터 전문가 등이 약 8개월간 매달려 소설쓰기 프로그램 완성, 안나 카레니나/ 닉 몬트포트 교수이자 시인이 세계시계라는 소설- 인물의 성격 행동, 위치를 만들 수 있음/ 로봇 샤오이스가 시를 작성-햇살은 유리창을 잃고/인공지능 셸리-프랑켄슈타인의 작가 메리셸리에서 따옴, 엠아이티에서 에이아이 기술을 활용해 공포이야기 만듬, 얘가 트위터에 시작을 트위터에 올리면 인간유저가 쓰고 다음 또 셸리가 씀, 그리고 이 제작자들은 사진을 무섭게 바꾸는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