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탈로서의 질병
2. 파슨스의 환자 역할
⑴ 환자 역할의 기본 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기능
(3) 환자 역할에 대한 비판
3. 환자역할의 적용(중산층과 빈곤층의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4.환자역할의 요약
2. 파슨스의 환자 역할
⑴ 환자 역할의 기본 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기능
(3) 환자 역할에 대한 비판
3. 환자역할의 적용(중산층과 빈곤층의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4.환자역할의 요약
본문내용
부담의 위험을 주며. 사회에 대해서는 맡은 바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의 감소를 의미한다.
2. 파슨스의 환자 역할
⑴ 환자 역할의 기본 개념
환자 역할 (sick role)의 기본 가정은 감염이나 상처가 활성화되어 나타난 결과가 질병이며 사람이 일부러 선택하거나 아픈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범죄인은 그가 원해서 사회적 규범을 깨뜨린 것에 비해. 아픈 사람은 어쩔 수없이 일탈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회는 죄를 진 사람과 아파서 사회역할이 일탈된 사람 간에 차이를 둔다. 그러나 둘 다 사회적 역할감소 양상을 나타내며. 일탈된 행위를 조절하기 우해 법률이나 의료 치료 등의 사회적 중재가 필요한 공통특성을 갖는다.
파슨스는 질병은 사회적 의무의 회피를 허용하는 형태이므로 역기능적이고 주장하며,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의무로부터 면제되는 이차적인 특권을 갖기 때문에 다소 환자역할을 더 지속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고 한다.
환자 역할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권리와 두 가지 의무로 구성된다.
권리
①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사회역할 수행의무로부터 면제된다.
-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사회적 의무로부터 면제된다. 병의 특성이나 정도에 따라 일상작인 면제의 정도는 달라진다. 이러한 면제는 꾀병 등으로 인한 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정당성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의사가 이러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판단자가 된다. 의사는 진단을 통하여 환자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동시에 질병이라는 일탈로부터 회복시키는 통제적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병을 빙자한 고의적인 역할기피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상적인 의무의 면제는 환자에게 하나의 특권이다.
② 아픈 사람은 자신의 질병발생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면제된다.
- 아픈 사람은 그 자신의 병에 대한 책임이 없다. 환자가 앓고 있는 것은 그로서도 어쩔 수 없는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병이 생겼다는 것이 환자의 책임에 속하지 않으며, 환자는 자신의 결정이나 의지에 의해 병이 치료 되리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치료를 받아야 할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의무
① 아픈 사람은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 질병은 바람직하지 않은것이며. 따라서 나아야한다는 의무를 내포한다. 환자는 아픈 상태에서 계속 머무를 것이 아니라 그 상태에서 정상저긍로 돌아오기를 원하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앞의 두가지 특권이 환자가 앓고 있는 동안 주어진 시
2. 파슨스의 환자 역할
⑴ 환자 역할의 기본 개념
환자 역할 (sick role)의 기본 가정은 감염이나 상처가 활성화되어 나타난 결과가 질병이며 사람이 일부러 선택하거나 아픈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범죄인은 그가 원해서 사회적 규범을 깨뜨린 것에 비해. 아픈 사람은 어쩔 수없이 일탈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회는 죄를 진 사람과 아파서 사회역할이 일탈된 사람 간에 차이를 둔다. 그러나 둘 다 사회적 역할감소 양상을 나타내며. 일탈된 행위를 조절하기 우해 법률이나 의료 치료 등의 사회적 중재가 필요한 공통특성을 갖는다.
파슨스는 질병은 사회적 의무의 회피를 허용하는 형태이므로 역기능적이고 주장하며,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의무로부터 면제되는 이차적인 특권을 갖기 때문에 다소 환자역할을 더 지속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고 한다.
환자 역할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권리와 두 가지 의무로 구성된다.
권리
①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사회역할 수행의무로부터 면제된다.
- 아픈 사람은 일상적인 사회적 의무로부터 면제된다. 병의 특성이나 정도에 따라 일상작인 면제의 정도는 달라진다. 이러한 면제는 꾀병 등으로 인한 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정당성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의사가 이러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판단자가 된다. 의사는 진단을 통하여 환자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동시에 질병이라는 일탈로부터 회복시키는 통제적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병을 빙자한 고의적인 역할기피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상적인 의무의 면제는 환자에게 하나의 특권이다.
② 아픈 사람은 자신의 질병발생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면제된다.
- 아픈 사람은 그 자신의 병에 대한 책임이 없다. 환자가 앓고 있는 것은 그로서도 어쩔 수 없는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병이 생겼다는 것이 환자의 책임에 속하지 않으며, 환자는 자신의 결정이나 의지에 의해 병이 치료 되리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치료를 받아야 할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의무
① 아픈 사람은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 질병은 바람직하지 않은것이며. 따라서 나아야한다는 의무를 내포한다. 환자는 아픈 상태에서 계속 머무를 것이 아니라 그 상태에서 정상저긍로 돌아오기를 원하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앞의 두가지 특권이 환자가 앓고 있는 동안 주어진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