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적장애 개념
2. 지적장애 특징
3. 지적장애 증상에 따른 분류
4. 지적장애 치료법
2. 지적장애 특징
3. 지적장애 증상에 따른 분류
4. 지적장애 치료법
본문내용
키는 것이다.
(4) 과제분석법
지적장애아동은 하나의 학습과제를 그대로 주어졌을 때는 성공을 거두기가 곤란하지만, 그 과제를 각 개인에게 하위요소별로 분해해서 가르치면 성공할 수 있다. Gold(1973)에 하면 어떤 과제를 중도최중도 장애아동에게 가르칠 수 있는가 하는 결정 요인은 과제의 난이도에 있다기보다는 지도할 수 있는 내용요소로 분석 가능한가에 달려있다고 한다. 과제분석법은 이와 같이 하나의 과제를 하위요소로 분해해서 각 요소를 학습시킨 다음 그 요소들을 종합하게 하는 과제학습방법이다. 특히 장애가 무거운 지적장애아동일 수록 복잡한 과제의 학습을 잘 하지 못하므로 이들에게 복잡한 과제를 가능한 한 하위요소 별로 세분화하여 학습과제를 단순화시키는 과제분석법을 사용한다. 이 과제분석에 의한 학습방법은 행동수정법과 마찬가지로 중증도 지적장애아동의 기초적 기능훈련에 효과적이다.
(5) 직업적 경험학습법
경도 지적장애아동이 중학생이 되면 일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몸에 익히는 학습이 필요하다. 이런 학습에는 어떤 제품의 조립작업에 직접 체험해본다든가, 근로자로서의 협력, 인내 등의 소중함을 중시하는 활동을 해본다든가 그러한 역할을 시키는 활동 같은 것이 포함된다.
사춘기에 들어가는 경도 지적장애아동 교육의 내용에는 이러한 직업전 교육의 경험이 포함되어야 한다. 직업훈련에는 일 그 자체 이외에 여러 차원의 훈련도 해야 한다. Kolstoe(1976)은 이러한 것들에는 금전의 사용이나 저축, 단정한 몸차림, 자동차의 정비, 보험에 드는 일, 일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일, 여가시간의 이용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4) 과제분석법
지적장애아동은 하나의 학습과제를 그대로 주어졌을 때는 성공을 거두기가 곤란하지만, 그 과제를 각 개인에게 하위요소별로 분해해서 가르치면 성공할 수 있다. Gold(1973)에 하면 어떤 과제를 중도최중도 장애아동에게 가르칠 수 있는가 하는 결정 요인은 과제의 난이도에 있다기보다는 지도할 수 있는 내용요소로 분석 가능한가에 달려있다고 한다. 과제분석법은 이와 같이 하나의 과제를 하위요소로 분해해서 각 요소를 학습시킨 다음 그 요소들을 종합하게 하는 과제학습방법이다. 특히 장애가 무거운 지적장애아동일 수록 복잡한 과제의 학습을 잘 하지 못하므로 이들에게 복잡한 과제를 가능한 한 하위요소 별로 세분화하여 학습과제를 단순화시키는 과제분석법을 사용한다. 이 과제분석에 의한 학습방법은 행동수정법과 마찬가지로 중증도 지적장애아동의 기초적 기능훈련에 효과적이다.
(5) 직업적 경험학습법
경도 지적장애아동이 중학생이 되면 일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몸에 익히는 학습이 필요하다. 이런 학습에는 어떤 제품의 조립작업에 직접 체험해본다든가, 근로자로서의 협력, 인내 등의 소중함을 중시하는 활동을 해본다든가 그러한 역할을 시키는 활동 같은 것이 포함된다.
사춘기에 들어가는 경도 지적장애아동 교육의 내용에는 이러한 직업전 교육의 경험이 포함되어야 한다. 직업훈련에는 일 그 자체 이외에 여러 차원의 훈련도 해야 한다. Kolstoe(1976)은 이러한 것들에는 금전의 사용이나 저축, 단정한 몸차림, 자동차의 정비, 보험에 드는 일, 일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일, 여가시간의 이용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