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의 광선치료요법과 교환수혈에 관하여 비교⚫설명 하시오. (5점).
2. 중환아에게 적절한 양의 수액을 주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5kg 환아에게 24시간 동안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표준 수액량은 얼마인가? (3점)
3. 고위험 신생아는 주로 출생 당시의 ( )과 ( )을 기초로 하여 분류하는데 이는 사망률과 이환률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치료 및 관리 방법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2점).
4. 아동에게서 발생하는 두부외상의 특징을 3가지 이상 나열하시오. (3점)
5. 백혈병의 주요 증상인 골수기능부전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3대 증상을 쓰시오. (3점)
6. 팔로씨 4징증의 4개의 결손을 쓰시오. (4점)
7. 신증후군의 4대 증상을 나열하시오. (4점)
8. 신생아/영아가 호흡기 감염, 중이염에 잘 걸리는 이유를 3가지 정도 나열하시오. (3점)
9. 심장 수술 환아의 수술 후의 간호 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10.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발달단계별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로 논하시오. (5점).
11. 중증설사의 간호 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12. 임신 말기 임신여성에게서 짧은 호흡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원인과 완화법을 설명하시오 (3점)
13. 자궁외 임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명, 그 기전, 대표적 부작용을 설명하시오 (3점)
14. 변연 (marginal) 전치태반과 하위 (low lying) 태반을 비교설명하시오 (2점)
15. 임신성 고혈압 여성에게 항 경련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1)혈액검사와 2)객관적 증상들은 무엇인가? (4점)
16.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2점)
17.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의 목적과 초음파 상 비 정상소견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2점)
18. 태아 심음의 정상 박동수는 무엇이며, 심음의 변이성(variability)가 없다면 어떤 경우인가? (2점)
19. 임신 3기 여성이 양수과소증(oligohydrammnios)의 기준, 중재를 설명하시오 (2점)
20. 난산 시 병리적 수축륜 (pathologic retraction ring)이 발생하였다. 어떤 상태인지 설멍하시오 (2점)
21. Amniotomy 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가 ? (2점)
22. 산후 우울감, 산후우울증, 산후 정신증 각각 1)증상을 비교하고 2)치료를 비교 설명하시오 (4점)
23. 참고문헌
2. 중환아에게 적절한 양의 수액을 주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5kg 환아에게 24시간 동안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표준 수액량은 얼마인가? (3점)
3. 고위험 신생아는 주로 출생 당시의 ( )과 ( )을 기초로 하여 분류하는데 이는 사망률과 이환률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치료 및 관리 방법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2점).
4. 아동에게서 발생하는 두부외상의 특징을 3가지 이상 나열하시오. (3점)
5. 백혈병의 주요 증상인 골수기능부전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3대 증상을 쓰시오. (3점)
6. 팔로씨 4징증의 4개의 결손을 쓰시오. (4점)
7. 신증후군의 4대 증상을 나열하시오. (4점)
8. 신생아/영아가 호흡기 감염, 중이염에 잘 걸리는 이유를 3가지 정도 나열하시오. (3점)
9. 심장 수술 환아의 수술 후의 간호 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10.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을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발달단계별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로 논하시오. (5점).
11. 중증설사의 간호 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12. 임신 말기 임신여성에게서 짧은 호흡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원인과 완화법을 설명하시오 (3점)
13. 자궁외 임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명, 그 기전, 대표적 부작용을 설명하시오 (3점)
14. 변연 (marginal) 전치태반과 하위 (low lying) 태반을 비교설명하시오 (2점)
15. 임신성 고혈압 여성에게 항 경련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1)혈액검사와 2)객관적 증상들은 무엇인가? (4점)
16.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2점)
17.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의 목적과 초음파 상 비 정상소견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2점)
18. 태아 심음의 정상 박동수는 무엇이며, 심음의 변이성(variability)가 없다면 어떤 경우인가? (2점)
19. 임신 3기 여성이 양수과소증(oligohydrammnios)의 기준, 중재를 설명하시오 (2점)
20. 난산 시 병리적 수축륜 (pathologic retraction ring)이 발생하였다. 어떤 상태인지 설멍하시오 (2점)
21. Amniotomy 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가 ? (2점)
22. 산후 우울감, 산후우울증, 산후 정신증 각각 1)증상을 비교하고 2)치료를 비교 설명하시오 (4점)
23.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 있다.
14. 변연 (marginal) 전치태반과 하위 (low lying) 태반을 비교설명하시오 (2점)
변연 (marginal) 전치태반
태반의 가장자리가 자궁경 내구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한 상태
하위 (low lying) 태반
태반이 자궁 하부에 있지만 태반의 가장자리가 자궁경 내구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
15. 임신성 고혈압 여성에게 항 경련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1)혈액검사와 2)객관적 증상들은 무엇인가? (4점)
혈액검사
혈중 크레아티닌, 혈소판, 간효소 등을 측정
객관적 증상
혈소판 감소증, 태아발육지연, 심와부 통증, 지속되면서 심한 두통, 시각 장애
16.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2점)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는 신경관 결함의 위험이 있는 태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 고위험 임부에 대한 전반적인 사정에 사용되고 태아 성장 저해, 조산, 염색체이상 등의 사정에 이용된다.
17.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의 목적과 초음파 상 비 정상소견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2점)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는 다운증후군 같은 기형을 판단하는데 있엉 사용된다. 임신 초기 10~14주에 초음파 검진을 통해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가 3mm이상이면 다운증후군으로 다른 종류의 염색체이상을 생각할 수 있다.
18. 태아 심음의 정상 박동수는 무엇이며, 심음의 변이성(variability)가 없다면 어떤 경우인가? (2점)
태아 심음의 변이성이 없다면 위험한 태아 질식 증상이다. 태아의 정상 박동수는 임부가 진통이 없을 때 1분에 120~160회(bpm)이다. 변이성은 평균 6~10회/분이다.
19. 임신 3기 여성이 양수과소증(oligohydrammnios)의 기준, 중재를 설명하시오 (2점)
양수과소증은 태아와 모체의 위험이 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특별히 중재할 필요는 없다. 양수과소증의 기준을 살펴보면 우선 태아심음의 변이성의 하강 변화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양수의 양이 500mL 이하인 경우에는 양수과소증이라고 한다.
20. 난산 시 병리적 수축륜 (pathologic retraction ring)이 발생하였다. 어떤 상태인지 설멍하시오 (2점)
병리적 수축륜은 자궁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가 쑥 들어가는 반지 모양으로 된 상태로 태아의 하강이 중단되고 자궁의 상부는 계속 수축과 견축이 과다하게 일어난 상태이다. 이 때 자궁의 상부는 근육이 짧고 두꺼워지며 자궁의 하부는 매우 길에 늘어나고 얇아지게 된다.
21. Amniotomy 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가 ? (2점)
Amniotomy은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 중 하나로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 중 물리적 유도분만 방법이다. Amniotomy에서 양막을 파열시킬 때 켈리겸자, 나무 후크, 앨리스 크램프를 이용한다. 이 과정 중 임부의 둔부에 변기를 대어 주고 양수의 냄새, 질, 색을 사정한다. 파수 후에는 태아의 심박동을 측정하여 제대압박이나 제대탈출을 사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22. 산후 우울감, 산후우울증, 산후 정신증 각각 1)증상을 비교하고 2)치료를 비교 설명하시오 (4점)
산후 우울감
산모의 대부분이 정상적으로 경험하는 우울한 기분상태이다. 산후우울감은 산모가 분만 후 2~4일 내에 경험하는데 생리적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산후 우울감을 통해 뚜렷한 이유 없이 기분이 침체되고 불안하고 울고 싶은 기분이 들고 불면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산후 우울감은 산욕초기 일시적으로 발생해 3~5일, 10일경에 사라진다. 이러한 우울감은 여러 날 지속되지는 않고 산후 4~5이면 자연히 해소된다.
산후 우울증
출산 여성의 10~26%가 경험할 정도로 꽤 많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산후 4주를 전후로 발병하지만 드물게는 출산 후 수 일 이내 혹은 수개월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산후 우울증으로 출산요성은 집중력 손상과 기억력 저하, 기분이 자주 변하고 울기도 한다. 출산에 대한 죄의식을 갖기도 하고 불면증, 식욕부진, 공포증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산후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산모에게 항우울제를 투여하기도 하는데 예방 및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만큼 산모를 정신적 지지를 통해 안심시키고 가족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산후 정신증
산후 증신증은 산후 우울감이나 산후우울증보다 흔하지 않다. 이 산후 정신증은 기분장애, 양극성 장애 및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이 있다. 산후 정신증 대부분의 경우 출산 후 수일부터 2~3주 내에 발생하여 극도의 정서불안, 분노반응, 수면장애, 망상, 혼돈, 주의집중력 결여 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응급으로 해야 한다. 때때로 산후 정신증은 아이를 헤치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고 자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응급으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향정신병 약물을 단독이나 병행해야 투여한다. 특히 산모가 엄마 역할을 잘 받아들이고 편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원래 정신분열증이나 우울증이 없을 경우 가족과 남편의 도움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예후가 좋을 수 있다.
23. 참고문헌
이상미 외 1인(201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선실(2019). 산모와 모아, 기본간호. 대한간호출판연구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1
이상락(2006). 신생아활동.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9.
장지영(2005).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고빌리루빈 혈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신생아 활동의 치료. 대한의학회/대한소아과학회
신생아 황달, 핵황달.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건강정보.
Leonard. H, Penny K(2020). Maternal Medicine & Family. Urban Saul
14. 변연 (marginal) 전치태반과 하위 (low lying) 태반을 비교설명하시오 (2점)
변연 (marginal) 전치태반
태반의 가장자리가 자궁경 내구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한 상태
하위 (low lying) 태반
태반이 자궁 하부에 있지만 태반의 가장자리가 자궁경 내구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
15. 임신성 고혈압 여성에게 항 경련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1)혈액검사와 2)객관적 증상들은 무엇인가? (4점)
혈액검사
혈중 크레아티닌, 혈소판, 간효소 등을 측정
객관적 증상
혈소판 감소증, 태아발육지연, 심와부 통증, 지속되면서 심한 두통, 시각 장애
16.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2점)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는 신경관 결함의 위험이 있는 태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모체 혈청 알파 피토프로테인 (MS-AFP)을 검사 고위험 임부에 대한 전반적인 사정에 사용되고 태아 성장 저해, 조산, 염색체이상 등의 사정에 이용된다.
17.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의 목적과 초음파 상 비 정상소견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2점)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검사는 다운증후군 같은 기형을 판단하는데 있엉 사용된다. 임신 초기 10~14주에 초음파 검진을 통해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Nuchal tranlucency, NT)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가 3mm이상이면 다운증후군으로 다른 종류의 염색체이상을 생각할 수 있다.
18. 태아 심음의 정상 박동수는 무엇이며, 심음의 변이성(variability)가 없다면 어떤 경우인가? (2점)
태아 심음의 변이성이 없다면 위험한 태아 질식 증상이다. 태아의 정상 박동수는 임부가 진통이 없을 때 1분에 120~160회(bpm)이다. 변이성은 평균 6~10회/분이다.
19. 임신 3기 여성이 양수과소증(oligohydrammnios)의 기준, 중재를 설명하시오 (2점)
양수과소증은 태아와 모체의 위험이 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특별히 중재할 필요는 없다. 양수과소증의 기준을 살펴보면 우선 태아심음의 변이성의 하강 변화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양수의 양이 500mL 이하인 경우에는 양수과소증이라고 한다.
20. 난산 시 병리적 수축륜 (pathologic retraction ring)이 발생하였다. 어떤 상태인지 설멍하시오 (2점)
병리적 수축륜은 자궁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가 쑥 들어가는 반지 모양으로 된 상태로 태아의 하강이 중단되고 자궁의 상부는 계속 수축과 견축이 과다하게 일어난 상태이다. 이 때 자궁의 상부는 근육이 짧고 두꺼워지며 자궁의 하부는 매우 길에 늘어나고 얇아지게 된다.
21. Amniotomy 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가 ? (2점)
Amniotomy은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 중 하나로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 중 물리적 유도분만 방법이다. Amniotomy에서 양막을 파열시킬 때 켈리겸자, 나무 후크, 앨리스 크램프를 이용한다. 이 과정 중 임부의 둔부에 변기를 대어 주고 양수의 냄새, 질, 색을 사정한다. 파수 후에는 태아의 심박동을 측정하여 제대압박이나 제대탈출을 사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22. 산후 우울감, 산후우울증, 산후 정신증 각각 1)증상을 비교하고 2)치료를 비교 설명하시오 (4점)
산후 우울감
산모의 대부분이 정상적으로 경험하는 우울한 기분상태이다. 산후우울감은 산모가 분만 후 2~4일 내에 경험하는데 생리적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산후 우울감을 통해 뚜렷한 이유 없이 기분이 침체되고 불안하고 울고 싶은 기분이 들고 불면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산후 우울감은 산욕초기 일시적으로 발생해 3~5일, 10일경에 사라진다. 이러한 우울감은 여러 날 지속되지는 않고 산후 4~5이면 자연히 해소된다.
산후 우울증
출산 여성의 10~26%가 경험할 정도로 꽤 많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산후 4주를 전후로 발병하지만 드물게는 출산 후 수 일 이내 혹은 수개월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산후 우울증으로 출산요성은 집중력 손상과 기억력 저하, 기분이 자주 변하고 울기도 한다. 출산에 대한 죄의식을 갖기도 하고 불면증, 식욕부진, 공포증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산후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산모에게 항우울제를 투여하기도 하는데 예방 및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만큼 산모를 정신적 지지를 통해 안심시키고 가족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산후 정신증
산후 증신증은 산후 우울감이나 산후우울증보다 흔하지 않다. 이 산후 정신증은 기분장애, 양극성 장애 및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이 있다. 산후 정신증 대부분의 경우 출산 후 수일부터 2~3주 내에 발생하여 극도의 정서불안, 분노반응, 수면장애, 망상, 혼돈, 주의집중력 결여 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응급으로 해야 한다. 때때로 산후 정신증은 아이를 헤치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고 자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응급으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향정신병 약물을 단독이나 병행해야 투여한다. 특히 산모가 엄마 역할을 잘 받아들이고 편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원래 정신분열증이나 우울증이 없을 경우 가족과 남편의 도움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예후가 좋을 수 있다.
23. 참고문헌
이상미 외 1인(201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선실(2019). 산모와 모아, 기본간호. 대한간호출판연구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1
이상락(2006). 신생아활동.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9.
장지영(2005).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고빌리루빈 혈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신생아 활동의 치료. 대한의학회/대한소아과학회
신생아 황달, 핵황달.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건강정보.
Leonard. H, Penny K(2020). Maternal Medicine & Family. Urban Saul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Jaundice][황달]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고빌리루빈혈증]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
[A+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한 사정 (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고위험모아간호학] 기말시험(온라인평가), 2020년 2학기, 1번~22번까지 전 문제 완벽 해설
고위험모아간호학 기말 2020년)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의 광선치료요법과 교환수혈 고위험모아...
2020년 2학기 고위험모아간호학 기말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고위험모아간호학] 2020 방통대 3학년2학기 기말 온라인 평가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