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성점액을 감별하는 방법
-산성당단백질= 청자색(alcian blue)
GAG= 청색(PAS)
중성점액=적자색(PAS에만 반응)
CH.16 지질조직화학
1.조직내 지질의 검출
절편- Oil red O(주로 중성지방 detection)
SudanⅢ
Sudan black B
↓
↙ ↘
(+) (-)
Nile blue
(청색)
↓
↙ ↘
(청색) (적색)
산성지질 중성지질-PAS염색 등등
1)염색법
(1)nile blue sulfate염색
-중성 지질과 산성 지질이 각기 다른 색으로 염색됨
→감별수단으로 사용多
-중성지질과 반응=적색 , 산성지질과 반응=청색화합물
(2)copper rubeanic acid법
-구리만 검출하는 특수염색법
-유리 지방산 증명에 사용하는 특이적인 염색법
(3)Oil red O
-지방 증명= 적색
*지방에 제일 좋은 고정*
-급속냉동으로 얼려 동결절편 or formalin증기고정
-탈지질 슬라이드(70% alchol사용)--산화되면서 사라짐(반영구적으로 사용)
-수용성 봉입제(반영구적 slide) 사용
CH.9 뼈조직의 표본제작
1.뼈조직의 표본제작
1)탈회뼈조직의 표본제작
-탈회(decalcification, 칼슘제거)는 뼈조직과 같이 칼슘이 침착된 조직에서 칼슘을 제거하여 박절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과정
-탈회액= 산(acid) or EDTA사용됨
(1)탈회제의 종류
산탈회제
a. nitric acid(질산)-임상에서 99%사용★(기억!!)
-5~10%의 질산수용액을 주로 사용
-간혹 10%포르말린에 희석하여 사용
→희석액이 오래되면 포르말린과 질산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탈회능이 저하됨→ 신성하게 제조하여 사용!
-질산수용액은 오래되면 황색의 아질산(nitrous acid)됨
→조직을 노랗게 착색 탈회능도 저하 염색성에도 영향을 미침→주의사항★:질산수용액을 탈회액으로 사용시 탈회액을 매일 신선한 것으로 교환!
b. formic acid
c. Plank-Rychlo용액
d. formic acid-sodium citrate
(2)일반 산 탈회방법
조직편을 거즈로 싸서 탈회용기의 바닥에 밀착되지 않도록
실로 매달아 탈회
온도가 상승할수록 탈회가 라지고, 낮아질수록 지연 0℃에선 탈회X
(3)특수 산 탈회방법
초음파 탈회법
극초단파 탈회법
이온교환수지 탈회법
전기분해 탈회법
표면 탈회법
(4)탈회종료의 확인
-이상적인 탈회= 조직 내의 칼슘이 완전히 제거됨과 동시에 조직 장해가 거의 발생되지 않은 상태
-과탈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시기를 택해 탈회정도를 점검해야함
-탈회종료시점 확인
→물리적 검사: 칼로 잘라보기, 바늘로 조직을 찔러보기
but, 조직화학적 목적을 위해 더욱 정밀한 탈회가 요구될 때 화학적검사나 방사선촬영검사 사용
화학적 검사
a. 수산칼슘검사(calcium oxalate test)
-이 시험관에 강암모니아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가면서 리트머스 시험지가 중성으로 변할 때까지 첨가함.
-탈회액 내에 녹아 나온 칼슘이온의 양이 많으면
→강암모니아수를 떨어뜨릴 때 수산화칼슘이 형성&
침전되기
-산성당단백질= 청자색(alcian blue)
GAG= 청색(PAS)
중성점액=적자색(PAS에만 반응)
CH.16 지질조직화학
1.조직내 지질의 검출
절편- Oil red O(주로 중성지방 detection)
SudanⅢ
Sudan black B
↓
↙ ↘
(+) (-)
Nile blue
(청색)
↓
↙ ↘
(청색) (적색)
산성지질 중성지질-PAS염색 등등
1)염색법
(1)nile blue sulfate염색
-중성 지질과 산성 지질이 각기 다른 색으로 염색됨
→감별수단으로 사용多
-중성지질과 반응=적색 , 산성지질과 반응=청색화합물
(2)copper rubeanic acid법
-구리만 검출하는 특수염색법
-유리 지방산 증명에 사용하는 특이적인 염색법
(3)Oil red O
-지방 증명= 적색
*지방에 제일 좋은 고정*
-급속냉동으로 얼려 동결절편 or formalin증기고정
-탈지질 슬라이드(70% alchol사용)--산화되면서 사라짐(반영구적으로 사용)
-수용성 봉입제(반영구적 slide) 사용
CH.9 뼈조직의 표본제작
1.뼈조직의 표본제작
1)탈회뼈조직의 표본제작
-탈회(decalcification, 칼슘제거)는 뼈조직과 같이 칼슘이 침착된 조직에서 칼슘을 제거하여 박절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과정
-탈회액= 산(acid) or EDTA사용됨
(1)탈회제의 종류
산탈회제
a. nitric acid(질산)-임상에서 99%사용★(기억!!)
-5~10%의 질산수용액을 주로 사용
-간혹 10%포르말린에 희석하여 사용
→희석액이 오래되면 포르말린과 질산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탈회능이 저하됨→ 신성하게 제조하여 사용!
-질산수용액은 오래되면 황색의 아질산(nitrous acid)됨
→조직을 노랗게 착색 탈회능도 저하 염색성에도 영향을 미침→주의사항★:질산수용액을 탈회액으로 사용시 탈회액을 매일 신선한 것으로 교환!
b. formic acid
c. Plank-Rychlo용액
d. formic acid-sodium citrate
(2)일반 산 탈회방법
조직편을 거즈로 싸서 탈회용기의 바닥에 밀착되지 않도록
실로 매달아 탈회
온도가 상승할수록 탈회가 라지고, 낮아질수록 지연 0℃에선 탈회X
(3)특수 산 탈회방법
초음파 탈회법
극초단파 탈회법
이온교환수지 탈회법
전기분해 탈회법
표면 탈회법
(4)탈회종료의 확인
-이상적인 탈회= 조직 내의 칼슘이 완전히 제거됨과 동시에 조직 장해가 거의 발생되지 않은 상태
-과탈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시기를 택해 탈회정도를 점검해야함
-탈회종료시점 확인
→물리적 검사: 칼로 잘라보기, 바늘로 조직을 찔러보기
but, 조직화학적 목적을 위해 더욱 정밀한 탈회가 요구될 때 화학적검사나 방사선촬영검사 사용
화학적 검사
a. 수산칼슘검사(calcium oxalate test)
-이 시험관에 강암모니아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가면서 리트머스 시험지가 중성으로 변할 때까지 첨가함.
-탈회액 내에 녹아 나온 칼슘이온의 양이 많으면
→강암모니아수를 떨어뜨릴 때 수산화칼슘이 형성&
침전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