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부는 입원을 하고 페니실린을 복용할 수 있도록 페니실린에 감작되도록 합니다(알레르기 항원 면역요법(탈감작)).
○주의점
일차, 이차 및 조기-잠복 매독이 있는 환자는 타인을 감염시킬 수 있으므로 자신과 자신의 성 파트너가 완전히 치료될 때까지 둘 다 성접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매독 진단을 받을 경우, 감염자의 성 파트너 모두 매독에 대해 검사합니다. 다음 상황에서는 성 파트너를 치료합니다.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 하더라도, 진단이 내려지기 전 90일 동안 감염자와 성접촉을 한 경우
진단이 내려지기 전보다 90일 전에 감염자와 성접촉을 했으나 검사 결과를 즉시 이용할 수 없고 후속 방문을 위한 내원이 확실치 않을 경우에만.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가 양성일 경우, 파트너를 치료합니다.
○야리쉬-헤륵스하이머 반응
조기 단계 매독인 많은 환자, 특히 이차 매독인 환자는 처음 치료받은 지 6~12시간 후에 반응을 나타냅니다. 이 반응은 야리쉬-헤륵스하이머 반응으로, 열, 두통, 땀흘림, 오한 및 매독에 의한 궤양의 일시적인 악화를 일으킵니다. 의사는 간혹 이 반응을 페니실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이 반응의 증상은 보통 24시간 내에 가라앉으며 드문 경우에 영구 손상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드문 경우에 신경매독인 환자가 발작이나 뇌졸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치료 후
치료 후에는 감염이 탐지되지 않을 때까지 검사와 혈액검사를 주기적으로 합니다.
일차, 이차 또는 잠복 매독의 치료에 성공하면 대부분의 환자는 더 이상의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삼차 매독의 치료로 뇌나 대동맥 등 기관의 손상이 회복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손상된 환자는 보통 치료 후 개선되지 않습니다.
매독을 치료한 환자는 매독에 대한 면역성이 없으며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참고문헌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16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81&cPage=2&DP_CODE=AAGU&MENU_ID=004005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A%B0%90%EC%97%BC/%EC%84%B1%EB%B3%91-std/%EB%A7%A4%EB%8F%85
○주의점
일차, 이차 및 조기-잠복 매독이 있는 환자는 타인을 감염시킬 수 있으므로 자신과 자신의 성 파트너가 완전히 치료될 때까지 둘 다 성접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매독 진단을 받을 경우, 감염자의 성 파트너 모두 매독에 대해 검사합니다. 다음 상황에서는 성 파트너를 치료합니다.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 하더라도, 진단이 내려지기 전 90일 동안 감염자와 성접촉을 한 경우
진단이 내려지기 전보다 90일 전에 감염자와 성접촉을 했으나 검사 결과를 즉시 이용할 수 없고 후속 방문을 위한 내원이 확실치 않을 경우에만.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가 양성일 경우, 파트너를 치료합니다.
○야리쉬-헤륵스하이머 반응
조기 단계 매독인 많은 환자, 특히 이차 매독인 환자는 처음 치료받은 지 6~12시간 후에 반응을 나타냅니다. 이 반응은 야리쉬-헤륵스하이머 반응으로, 열, 두통, 땀흘림, 오한 및 매독에 의한 궤양의 일시적인 악화를 일으킵니다. 의사는 간혹 이 반응을 페니실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이 반응의 증상은 보통 24시간 내에 가라앉으며 드문 경우에 영구 손상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드문 경우에 신경매독인 환자가 발작이나 뇌졸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치료 후
치료 후에는 감염이 탐지되지 않을 때까지 검사와 혈액검사를 주기적으로 합니다.
일차, 이차 또는 잠복 매독의 치료에 성공하면 대부분의 환자는 더 이상의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삼차 매독의 치료로 뇌나 대동맥 등 기관의 손상이 회복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손상된 환자는 보통 치료 후 개선되지 않습니다.
매독을 치료한 환자는 매독에 대한 면역성이 없으며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4. 참고문헌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16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81&cPage=2&DP_CODE=AAGU&MENU_ID=004005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A%B0%90%EC%97%BC/%EC%84%B1%EB%B3%91-std/%EB%A7%A4%EB%8F%85
추천자료
[맥관계간호] 맥관계의 주요 질환과 간호
위암대상자치료및간호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정의와 종류,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원인과 증상, 간경변(...
성인 간호학 만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ESRD)
항이뇨호르몬분비이상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
폐색성혈전혈관염, 레이노병, 동맥류, Buerger’s disease, thromboangitis obliterans, Rayna...
퇴행성 관절염 / 수술실 사례관리 / 성인간호학
[기초관호과학 공통] 1 1) 허혈의 발생기전을 제시하고 2)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성인간호실습 만성신부전CASE 문헌고찰 간호진단수행중재5개 NANDA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