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 빨간모자 다시보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문학] 빨간모자 다시보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프랑스 민담 <할머니 이야기>

2. 샤를페로의 <빨간 모자>

3. 그림형제의 <빨간 모자>

4. 분석

Ⅲ. 결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빨간 모자라는 한 작품을 통해서 시대마다 추구하고 있던 가치관을 조금 알게 되어서 좋았다.
* 참고 자료
옛이야기의 발견 - 2008.11.10 강혜선
빨간 모자의 숲에서 해와 달을 만나다
- 옛이야기를 읽는 다양한 비평적 시각 -
1. 머리말 : <빨간 모자>에 대한 서구 비평의 열기와 혼돈
① ‘<빨간 모자>는 어린이에게 과연 유익한 옛이야기일까?’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다양한 주장
② <빨간 모자>의 주제와 교훈을 독자적으로 해석하고 이야기 속에 숨겨진 상징의 의미를 새롭게 풀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음
③ 세계적인 민속학자들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설화를 <빨간 모자>와 같은 유형의 설화로 보고 있음
2. 프랑스 민담 <할머니 이야기>와 페로와 그림 형제의 <빨간 모자>
① 프랑스 민담 <할머니 이야기> p.89~91 : 소녀는 기지를 발휘하여 늑대에게 잡혀먹지 않음, 여러 서사적 요소 등장(바늘 길과 핀 길, 소녀가 할머니의 피와 살 먹는 장면, 고양이가 소녀에게 욕 함, 소녀가 옷을 벗는 장면, 대소변에 관한 언급)
② 페로의 <빨간 모자> : <할머니 이야기>의 엽기적인 요소 많이 생략. 사실적이고 논리적인 설명 덧붙이며 설화 고쳐 씀. 빨간색 모자를 소녀의 상징물로 설정. 소녀의 죽음(낯선 사람과 함부로 대화 하거나 삶에서 궤도를 이탈하는 것이 무서운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
③ 그림형제의 <빨간 모자> : 빨간 모자가 사냥꾼의 도움으로 다시 살아남. 두 번째 늑대를 만나는 에필로그(늑대의 유혹에 다시 넘어가지 않고 할머니와 힘을 합쳐 늑대를 죽임)를 덧붙임.
④ 대부분의 동화 작가들은 그림형제의 이야기에서 두 번째 늑대가 나오는 끝부분을 없애 버림 -> 그림 형제본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 심리적 가치를 떨어뜨림.
3. <빨간 모자>를 바라보는 정신분석학자들의 시각
① 에리히 프롬 (그림형제)
- 성의 위험성을 다룬 도덕적인 이야기 : 빨간 벨벳 모자 = 월경 / 모험을 하는 소녀는 성숙한 여인이 되어 성문제와 마주침 / ‘넘어져서 병이 깨지지 않도록 길에서 벗어나지 말라.’는 경고 = 성의 위험, 처녀성 상실의 위험에 대한 경고
- 남자와 여자의 힘겨루기를 주제로 삼은 이야기 : 주요 인물은 할머니, 엄마, 딸이고 전형적인 아버지 상인 사냥꾼은 비중 없는 인물. 남자를 증오하는 여자들이 맨 끝에 승자가 되는 이야기
② 줄리어스 호이셔 (그림형제)
- 사냥꾼 = 아주 강한 아버지 상 : 행복한 결실의 원인
- 소녀는 초자아인 어머니의 가르침에 반발하고 숲 속에서 제멋대로 행동하다가 늑대에게 잡아먹힌 뒤 살아나서 비로소 모녀 사이의 갈등을 극복하고 자아를 튼튼하게 할 수 있었음.
- 늑대 = 태모, 나쁜 어머니 : 겉으로 보기에는 부정적인 인물로 보이지만 간접적인 방식으로 인간을 더욱 성숙하게 만드는 힘의 상징.
③ 브루노 베텔하임
- 페로 비판, 그림형제 높이 평가
- 늑대 = 성적인 유혹.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반사회적 성향. 부정적인 아버지상. id(쾌락원칙)
- 사냥꾼 = 구원자. 긍정적인 아버지 상. ego(현실원칙)
- 좋은 아버지인 사냥꾼의 도움으로 소녀가 오이디푸스적인 갈등과 성적인 호기심을 극복하고 더 성숙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 것, 소녀가 늑대의 뱃속에 돌을 넣어 죽일 생각을 스스로 한 것, 어머니 말씀대로 해야지 라고 자율적으로 결심한 것
④ 셀던 캐시단
- 탐식의 죄스러운 본질을 탐색한 이야기(음식을 과도하게 탐하지 마라)
4. 사회 철학자와 페미니스트의 시각
- 정신분석학자들은 이야기의 역사적, 문화적 상황과의 관계를 간과함
① 로버트 단톤의 역사학적 해석과 오류
- 프롬과 베텔하임 비판 : 옛이야기는 시대에 따라서 변형된 것인데 옛이야기의 상징과 화소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인간의 보편적 심성이 담겨 있는 것처럼 해석한 것은 잘못된 일.
- <빨간 모자> 유형의 민담 서른다섯 편 가운데 반 이상의 소녀가 죽음, 17세기 농민들의 삶(굶주림, 죽음)을 표현 -> <할머니 이야기>의 결말을 비극적으로 바꿈
- 단톤의 오류 : 잭 자이퍼스. 17세기 민담 파악되지 않음. 구체적인 증빙 자료 없음. 구전문학과 기록문학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한다는 사실 간과 -> 사료를 왜곡하거나 사료를 불성실하게 고름
② 잭 자이퍼스와 다른 페미니스트들의 시각
- 페로의 <빨간 모자>는 이중으로 성 차별적인 요소를 지님 : 민담에 담겨 있는 페미니스트적인 관점을 제멋대로 유린. 소녀를 가학적이고 피학적인 변태 성욕의 대상으로 부각
- 페로의 요정 담에 담긴 남성 우월적인 사고방식: 여자어린이의 자연적인 성향을 억압
- 베르디에 : 바늘 길, 핀 길, 할머니의 피와 살을 섭취하는 행위 따위의 화소를 소녀가 성숙기에 이르러 살림 기술과 출산 능력을 전수받아 사회에 입문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세대 간의 경쟁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봄
5. 분석심리학자의 시각
- 베레나 카스트. <빨간 모자>가 인간 심성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과 그 치료법을 임상 경험을 중심으로 말하고자 함.
① 그림 형제의 <빨간 모자>에 대한 카스트의 해석
- 소녀는 자립적인 인격 형성을 위해 어머니에게서 벗어나서 남성적인 요소와 만날 필요가 있음
- 할머니로부터 받은 빨간 모자는 소녀가 에로스의 세계를 경험할 때가 되었음을 나타냄. 소녀는 스스로 모성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될 시기가 되었는데 어머니가 방해하고 있음
② <빨간 모자>의 개작과 심리 치료
- 카스트는 어릴 때 <빨간 모자>를 즐겨 읽은 환자가 이야기 속 소녀와 같이 모성 콤플렉스에 시달리는 것을 보고 이야기 개작으로 이를 치료함
③ 늑대를 바라보는 분석 심리학자들의 시각
- 늑대는 태모 또는 여성의 심층 심리에 자리 잡은 남성적인 내적인격. 늑대는 어둠과 빛을 동시에 상징함으로 탐욕과 냉점함과 같은 어두운 본성이 잘 다스려질 경우에는 인간에게 지혜로운 충고와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동물로 바뀔 수 있음 -> 우리 내면에 자리 잡은 늑대적인 속성을 억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11.09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9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