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증상
3) 합병증
4) 진단
5) 치료와 간호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분류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증상
3) 합병증
4) 진단
5) 치료와 간호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분류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10)
3-5. 유산소운동은 주5회, 근력운동은 주3회 이상 실시하며 운동은 등에 땀이 조금 나고, 심장이 조금 뛰며, 숨이 차기는 하나 같이 있는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가 좋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간호수행
(우선순위)
1-1. 대상자가 당뇨식이에 대해 아는 정도를 사정했다.
1-2.. 하루 7회 병실 내에서 BST 측정을 했다.
(07am, 10am, 12pm, 14pm, 20pm, 22pm)
2-1. 고혈당 시 Apidra 3u를 추가적으로 투여했다.
(5/10 14pm, 20pm BST : 342, 293)
(5/12 14pm BST : 400)
(5/14 10am BST : 457)
2-2. (Pen) Apidra SoloStar 3ml과 Toujeo solostar PEN을 매일 3회 투여했다.
(아침에는 속효성, 지속성 함께 사용하고 아침식전에는 속효성만 사용)
3-1. 당뇨식이에 대해 교육했다.
(탄수화물 양 제한,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 저염식이, 균형 있는 영양소)
3-2. 고혈당 지속 시 당뇨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3-3. 자가 투여 인슐린 주사제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에 대하여 교육했다.
3-4. 공복 시 / 식후 혈당 정상치에 교육했다.
(공복 100mg/dl 미만 정상, 126mg/dl 이상 당뇨병
식후 2시간 140mg/dl 미만 정상, 200mg/dl 이상 당뇨병)
3-5. 당뇨병 환자의 올바른 운동법(횟수, 시간, 강도)에 대해 교육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혈당이 바로 정상범위에 이르지 못했지만 공복 시 혈당 보다 식후 혈당이 더 높음을 교육하니 덜 불안해하였고, 처방된 저염식이에 따라 식사를 하는 모습 볼 수 있었다.
식이요법과 당뇨 조절을 꾸준히 시행하여 2주 후 혈당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정상범위 내로 돌아오기 시작했고, 당뇨 식이요법에 대한 설명을 직접 할 수 있었다.
(부분적 목표 달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발에 갑자기 쥐가 나요.”
“발이랑 종아리 쪽이 저려요. 왜 그런 거죠?”
객관적
자료
2016. 02 DM 진단받음
BS control 안 되고 있음
NNSI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검사 3점 (신경병증 의심)
NSS 신경병증 증상 점수 7점 (중증)
간호진단
(우선순위)
당뇨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간호
계획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당뇨 합병증 교육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후 2주 이내에 발의 저린감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당뇨 합병증에 대하여 말로 설명할 수 있다.
간호중재 설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간호중재 계획)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대상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사정한다.
② 대상자가 당뇨 합병증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사정한다.
③ 대상자의 발 검진을 주기적으로 시행한다.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하루 7회 BST 측정을 한다.
②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주기적으로 발 마사지를 한다.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대상자에게 당뇨성 신경병증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② 대상자에게 정기적인 발 검진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호중재
설정의 이론적 근거
1-1. 말초신경병증의 임상증상은 처음에 찌르르한 느낌, 저린 느낌, 과잉감각 등의 감각이상과 특히 밤에 작열감이 나타난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49)
1-2, 1-3. 신경병증이 진전되면서 발의 감각이 없어진다. 고유감각이 저하되고 가벼운 자극에 대한 감각이 약해져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진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49)
2-1. 당뇨병관리의 목적은 엄격한 혈당관리와 혈압조절로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예방하고나 그 진행을 억제하는 데 있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13)
혈당치에 따라 인슐린양,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관리가 달라진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3-1. 당뇨병 발 병변은 신경장애로 인해 발견이 늦어져 중증화하기 쉬우므로 신발 끼임이나 긴 발톱 등에 주의한다. (For nursing review book, 의학교육 p. 257)
3-2. 혈당이 높아지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액 찌꺼기와 지방 덩어리 등이 혈관벽에 놀러 붙어 혈액의 순환이 잘 되지 않으며 심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발로의 혈액 순환은 더욱 어려워진다. 순환장애가 진행되면 신경에도 문제가 생겨 발의 감각이 둔해지며, 이러한 상황에서 발에 상처가 생기면 잘 아물지 않을 뿐 아니라, 높은 혈당으로 인해 감염의 위험성도 올라간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간호수행
(우선순위)
1-1.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사정했다.
(NNSI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검사 3점, NSS 신경병증 증상 점수 7점)
1-2. 당뇨 합병증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사정했다.
(당뇨 합병증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으나, 예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보임)
2-1. 하루 7회 병실 내에서 BST 측정을 했다.
(07am, 10am, 12pm, 14pm, 20pm, 22pm)
2-2. vital sign과 혈당을 측정할 때마다 하루 1회 이상 발 마사지를 해주었다.
3-1. 당뇨성 신경병증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통증이나 저린 감각이 있으면 보고하고, 정기적인 검사와 발 간호, 고혈당 조절, 아침기상 후, 잠자기 전, 운동 전후 스트레칭 하도록 교육함)
3-2. 정기적인 발 간호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혈당이 높아지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순환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발의 감각이 둔해져 상처가 생기면 잘 아물지 않고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짐을 교육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당뇨 합병증 교육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발의 저린감이 가끔 있으나 전과 비교했을 때 빈도와 강도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부분적 목표 달성)
Ⅳ.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하」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저, 현문사 (2013)
「for nurse REVIEW BOOK」 의학교육 편집부 저, 의학교육 (2014)
3-5. 유산소운동은 주5회, 근력운동은 주3회 이상 실시하며 운동은 등에 땀이 조금 나고, 심장이 조금 뛰며, 숨이 차기는 하나 같이 있는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가 좋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간호수행
(우선순위)
1-1. 대상자가 당뇨식이에 대해 아는 정도를 사정했다.
1-2.. 하루 7회 병실 내에서 BST 측정을 했다.
(07am, 10am, 12pm, 14pm, 20pm, 22pm)
2-1. 고혈당 시 Apidra 3u를 추가적으로 투여했다.
(5/10 14pm, 20pm BST : 342, 293)
(5/12 14pm BST : 400)
(5/14 10am BST : 457)
2-2. (Pen) Apidra SoloStar 3ml과 Toujeo solostar PEN을 매일 3회 투여했다.
(아침에는 속효성, 지속성 함께 사용하고 아침식전에는 속효성만 사용)
3-1. 당뇨식이에 대해 교육했다.
(탄수화물 양 제한,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 저염식이, 균형 있는 영양소)
3-2. 고혈당 지속 시 당뇨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3-3. 자가 투여 인슐린 주사제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에 대하여 교육했다.
3-4. 공복 시 / 식후 혈당 정상치에 교육했다.
(공복 100mg/dl 미만 정상, 126mg/dl 이상 당뇨병
식후 2시간 140mg/dl 미만 정상, 200mg/dl 이상 당뇨병)
3-5. 당뇨병 환자의 올바른 운동법(횟수, 시간, 강도)에 대해 교육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혈당이 바로 정상범위에 이르지 못했지만 공복 시 혈당 보다 식후 혈당이 더 높음을 교육하니 덜 불안해하였고, 처방된 저염식이에 따라 식사를 하는 모습 볼 수 있었다.
식이요법과 당뇨 조절을 꾸준히 시행하여 2주 후 혈당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정상범위 내로 돌아오기 시작했고, 당뇨 식이요법에 대한 설명을 직접 할 수 있었다.
(부분적 목표 달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발에 갑자기 쥐가 나요.”
“발이랑 종아리 쪽이 저려요. 왜 그런 거죠?”
객관적
자료
2016. 02 DM 진단받음
BS control 안 되고 있음
NNSI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검사 3점 (신경병증 의심)
NSS 신경병증 증상 점수 7점 (중증)
간호진단
(우선순위)
당뇨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간호
계획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당뇨 합병증 교육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후 2주 이내에 발의 저린감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당뇨 합병증에 대하여 말로 설명할 수 있다.
간호중재 설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간호중재 계획)
1) 진단적 지시 (관찰, 사정해야 할 내용)
① 대상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사정한다.
② 대상자가 당뇨 합병증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사정한다.
③ 대상자의 발 검진을 주기적으로 시행한다.
2) 치료적 지시 (직접 간호활동 등)
① 하루 7회 BST 측정을 한다.
②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주기적으로 발 마사지를 한다.
3) 교육적 지시 (환자와 가족 교육)
① 대상자에게 당뇨성 신경병증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② 대상자에게 정기적인 발 검진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호중재
설정의 이론적 근거
1-1. 말초신경병증의 임상증상은 처음에 찌르르한 느낌, 저린 느낌, 과잉감각 등의 감각이상과 특히 밤에 작열감이 나타난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49)
1-2, 1-3. 신경병증이 진전되면서 발의 감각이 없어진다. 고유감각이 저하되고 가벼운 자극에 대한 감각이 약해져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진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49)
2-1. 당뇨병관리의 목적은 엄격한 혈당관리와 혈압조절로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예방하고나 그 진행을 억제하는 데 있다.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 613)
혈당치에 따라 인슐린양,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관리가 달라진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3-1. 당뇨병 발 병변은 신경장애로 인해 발견이 늦어져 중증화하기 쉬우므로 신발 끼임이나 긴 발톱 등에 주의한다. (For nursing review book, 의학교육 p. 257)
3-2. 혈당이 높아지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액 찌꺼기와 지방 덩어리 등이 혈관벽에 놀러 붙어 혈액의 순환이 잘 되지 않으며 심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발로의 혈액 순환은 더욱 어려워진다. 순환장애가 진행되면 신경에도 문제가 생겨 발의 감각이 둔해지며, 이러한 상황에서 발에 상처가 생기면 잘 아물지 않을 뿐 아니라, 높은 혈당으로 인해 감염의 위험성도 올라간다.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간호수행
(우선순위)
1-1. 말초신경병증 증상을 사정했다.
(NNSI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검사 3점, NSS 신경병증 증상 점수 7점)
1-2. 당뇨 합병증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사정했다.
(당뇨 합병증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으나, 예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보임)
2-1. 하루 7회 병실 내에서 BST 측정을 했다.
(07am, 10am, 12pm, 14pm, 20pm, 22pm)
2-2. vital sign과 혈당을 측정할 때마다 하루 1회 이상 발 마사지를 해주었다.
3-1. 당뇨성 신경병증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통증이나 저린 감각이 있으면 보고하고, 정기적인 검사와 발 간호, 고혈당 조절, 아침기상 후, 잠자기 전, 운동 전후 스트레칭 하도록 교육함)
3-2. 정기적인 발 간호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혈당이 높아지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순환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발의 감각이 둔해져 상처가 생기면 잘 아물지 않고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짐을 교육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당뇨 합병증 교육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발의 저린감이 가끔 있으나 전과 비교했을 때 빈도와 강도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부분적 목표 달성)
Ⅳ.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하」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저, 현문사 (2013)
「for nurse REVIEW BOOK」 의학교육 편집부 저, 의학교육 (2014)
추천자료
뇌하수체 선종 케이스
[케이스스터디][급성위장염][미숙아]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미숙아 케이스스터...
자궁근종, 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동맥경화, 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스터디...
대장암 CASE STUDY, 성인간호 실습 A+성적 받은 자료입니다! 문헌고찰有 간호과정有
지역사회간호실습 정선군보건소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오마하 진단 3개 간호중재 간호계...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
급성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과정 2개 포함), A+받은 자료입...
위암 케이스 스터디 A+자료 (문헌고찰, 간호사정 포함 간호진단 2개까지 모두 상세히 기술함)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A+ 자료 (문헌고찰, 간호과정 완벽정리) 세세한 간호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