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달한다.’고 말하였다. 하지만 이야기를 잘 듣다 보면 꾸준히 공부하는 삶을 살아온 저자가 자신의 인생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이야기는 젊은 사람, 공부하는 사람, 실패한 사람,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해준다. 진정한 어른이 없는 이 시대에 <라틴어 수업>을 만나고 한동일 교수를 알게 된 것은 아주 큰 행운이다.
추천자료
발도르프 교육 원리의 특징
[인문과학] 사회계층이 교육현장(수업)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 개방시대의 논의
플라톤과 퀸틸리아누스의 교육 사상과 역사적 배경
[구성주의][구성주의 특성][구성주의 필요성][구성주의 수업원리][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교수방법의 유형 고찰과 LOGO프로그래밍(로고프로그래밍)의 개념, LOGO프로그래밍(로고프로그...
'죽은 시인의 사회'를 통해본 교육의 주체와 전인교육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목표와 기능,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수업원리, 도덕과...
덕과 공리주의 - 이해 경험 사례 제시 및 분석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