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지역 학교사회복지(교육복지사업) 프로그램 현황 및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지역 학교사회복지(교육복지사업) 프로그램 현황 및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지역 학교사회복지(교육복지사업)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기
2. 분석하기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내용일 뿐이라고 여겨진다. 즉, 생활복지 콘텐츠 사업의 교육문화 프로그램에 특별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차라리 학생들에게 더 많은 먹거리를 제공하거나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찾아가는 방문상담 사업
찾아가는 방문상담 사업은 심리정서 위기에 놓인 청소년의 정상화에 실제적 도움이 되는 사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찾아가는 방문상담 사업으로 청소년들에게 자칫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상담사업도 온라인으로 충분히 할 수 있는 만큼, 찾아가는 방문상담 사업보다는 온라인 상담사업에 치중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Ⅲ. 결론
이상 본 과제에서는 우리지역의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사회 학생도 과거 경험해보지 못했던 낯선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완전 박멸되기 힘든 만큼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이 더 많이 계발되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실제적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 참고자료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강대중(대학교수), 김경애 외 15명 저 | 지식공작소 | 2020.06.05
  • 가격5,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0.11.17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