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옥수수의 특성
3. 광평옥이란?
4. 관찰일지
5. 관찰일지를 마치면서
2. 옥수수의 특성
3. 광평옥이란?
4. 관찰일지
5. 관찰일지를 마치면서
본문내용
초지학
광평옥 관찰지
1. 실험 목적
옥수수를 직접 발아 시키고 파종해 키워 봄으로서 대표적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직접 느끼며 더 가까이 관찰할 수 있다.
2. 옥수수의 특성
옥수수는 외떡잎식물로서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있다. 높이는 1.5~2.5m이도, 잎의 넓이는 5~10cm, 길이는 1m 이상이다.
상번초이며 전형적인 남방형(C4) 작물이다. 옥수수의 생육최저온도는 8도, 생육최적온도는 30도, 생육이 가능한 최고온도는 44도이다.
적산온도량은 조생종 1,100도, 중생종 1,200도, 만생종 1,300-1,400도이고, 우리나라 사료작물 중 재배면적이 가장 많다.
단위면적당 가소화양분총량(TDN) 생산이 최고이기 때문에 생산성과 경제성이 아주 높다.
황숙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담근 다음 겨울철 사일리지로 이용 할 수 있다.
저장이 쉽고 고에너지 다즙질 사료로 TMR사료의 기본이 된다. 그리고 재배의 기계화, 저장, 급여의 체계화를 만드는데 최적의 작물이다.
다양한 품종이 있기 때문에 품종의 선택과 재배기술이필요하다.
논에서 벼 대체 사료작물로도 재배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사료작물이고 단위면적당 최고의 TDN 생산성을 갖는다.
옥수수는 늙을수록 리그닌 함량이 많아진다.
사료용 옥수수에는 알곡용, 사일리지용으로 나눌 수 있다.
알곡용은 알곡만을 수확하여 이용하고 전세계 가축사료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 쓰인다. 사일리지용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식물전체를 유산발효시켜 사용한다.
또한, 옥수수의 가공 부산물인 겨, 가루, 글루텐등 거의 모든 부산물을 사료의 원료로 이용한다.
2. 광평옥이란?
광평옥은 국내 육성종이다.
사일리지용으로 2000년에 육성된 품종으로 후기녹체성이 우수하고 검은줄오갈병에도 강하다. 사일리지 및 종실겸용으로 육성된 중만생종이다.
적응지역은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의 전 지역이다.
→3월 24일 발아실험 시작
발아실험 하는 방법 1. 거즈에 증류수를 촉촉하게 적신다.
2. 옥수수를 규칙적으로 배열한다.
각각 3개의 페트리디쉬에 옥수수 알갱이 20개를 놓 는다.
→3월28일 옥수수가 발아됨
종자에서 유근이 먼저 나오고 잎이 나와야 정상발아이다.
A의 발아세 B의 발아세 C의 발아세
15/20100 16/20100 18/20100
=75% =80% =90%
발아세란?
96시간 안에 발아립수 / 공시립수100
3~4회 반복 시험하여 최고의 발아 수를 나타낸 구와 최저구와의 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때, 평균율로써 나타낸다.
→3월 28일 옥수수를 파종함
대상조파한다.
먼저, 잡초와 자갈 등을 제거한다.
땅을 고르게 만든다.
비료를 정해진 양만큼 땅에 뿌린 뒤 그 위에 1cm정 도의 두께로 흙을 덮어준다.
3cm 정도의 깊이에 옥수수 종자를 심는다.
간격은 20cm로 한다.
한 구멍에 2개씩 심는다. (나중에 두 개 중 약한 옥수수를 제거하기 위해)
진압을 한다. (너무 세게 밟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 물을 충분히 준다.
옥수수는 벚꽃이 피는 시기가 파종적기이다. 평균 10℃ 이상에서 생육을 시작한다.
7~10일이면 발아하기 시작한다. 비료성분이 많으면 매우 빨리 자란다.
→4월1일
4월2일
4월4일
파종한 지 6일째,
아직 발아 된, 새싹 이 보이지 않는다.
→4월12일 새싹이 나옴
파종 한지 2주후에 발아됨
(진압을 세게 하였거나, 3cm이상으로 심었는지 2주 가 다
광평옥 관찰지
1. 실험 목적
옥수수를 직접 발아 시키고 파종해 키워 봄으로서 대표적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직접 느끼며 더 가까이 관찰할 수 있다.
2. 옥수수의 특성
옥수수는 외떡잎식물로서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있다. 높이는 1.5~2.5m이도, 잎의 넓이는 5~10cm, 길이는 1m 이상이다.
상번초이며 전형적인 남방형(C4) 작물이다. 옥수수의 생육최저온도는 8도, 생육최적온도는 30도, 생육이 가능한 최고온도는 44도이다.
적산온도량은 조생종 1,100도, 중생종 1,200도, 만생종 1,300-1,400도이고, 우리나라 사료작물 중 재배면적이 가장 많다.
단위면적당 가소화양분총량(TDN) 생산이 최고이기 때문에 생산성과 경제성이 아주 높다.
황숙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담근 다음 겨울철 사일리지로 이용 할 수 있다.
저장이 쉽고 고에너지 다즙질 사료로 TMR사료의 기본이 된다. 그리고 재배의 기계화, 저장, 급여의 체계화를 만드는데 최적의 작물이다.
다양한 품종이 있기 때문에 품종의 선택과 재배기술이필요하다.
논에서 벼 대체 사료작물로도 재배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사료작물이고 단위면적당 최고의 TDN 생산성을 갖는다.
옥수수는 늙을수록 리그닌 함량이 많아진다.
사료용 옥수수에는 알곡용, 사일리지용으로 나눌 수 있다.
알곡용은 알곡만을 수확하여 이용하고 전세계 가축사료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 쓰인다. 사일리지용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식물전체를 유산발효시켜 사용한다.
또한, 옥수수의 가공 부산물인 겨, 가루, 글루텐등 거의 모든 부산물을 사료의 원료로 이용한다.
2. 광평옥이란?
광평옥은 국내 육성종이다.
사일리지용으로 2000년에 육성된 품종으로 후기녹체성이 우수하고 검은줄오갈병에도 강하다. 사일리지 및 종실겸용으로 육성된 중만생종이다.
적응지역은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의 전 지역이다.
→3월 24일 발아실험 시작
발아실험 하는 방법 1. 거즈에 증류수를 촉촉하게 적신다.
2. 옥수수를 규칙적으로 배열한다.
각각 3개의 페트리디쉬에 옥수수 알갱이 20개를 놓 는다.
→3월28일 옥수수가 발아됨
종자에서 유근이 먼저 나오고 잎이 나와야 정상발아이다.
A의 발아세 B의 발아세 C의 발아세
15/20100 16/20100 18/20100
=75% =80% =90%
발아세란?
96시간 안에 발아립수 / 공시립수100
3~4회 반복 시험하여 최고의 발아 수를 나타낸 구와 최저구와의 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때, 평균율로써 나타낸다.
→3월 28일 옥수수를 파종함
대상조파한다.
먼저, 잡초와 자갈 등을 제거한다.
땅을 고르게 만든다.
비료를 정해진 양만큼 땅에 뿌린 뒤 그 위에 1cm정 도의 두께로 흙을 덮어준다.
3cm 정도의 깊이에 옥수수 종자를 심는다.
간격은 20cm로 한다.
한 구멍에 2개씩 심는다. (나중에 두 개 중 약한 옥수수를 제거하기 위해)
진압을 한다. (너무 세게 밟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 물을 충분히 준다.
옥수수는 벚꽃이 피는 시기가 파종적기이다. 평균 10℃ 이상에서 생육을 시작한다.
7~10일이면 발아하기 시작한다. 비료성분이 많으면 매우 빨리 자란다.
→4월1일
4월2일
4월4일
파종한 지 6일째,
아직 발아 된, 새싹 이 보이지 않는다.
→4월12일 새싹이 나옴
파종 한지 2주후에 발아됨
(진압을 세게 하였거나, 3cm이상으로 심었는지 2주 가 다
추천자료
프로포절-지역사회 중년여성과 함께하는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모자가정)의 아동보호 및 지...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모자가정)의 아동보호 및 지원사업 사회복지 사업계획서
장애아동 행동 특성 관찰일지외 진단을 위한 문제점의 점검사항 정리
아동관찰일지 아동발달영역별 관찰 및 분석 - 아동관찰일지, 관찰보고서, 발달영역별 관찰
영유아관찰기록서식모음(관찰일지,영아반, 유아반, 관찰척도요약지, 기본생활습관평가체크리...
4월 3주일안 (만4세) 일일보육계획안 (월요일 ~ 금요일) - 주제: 봄과 동식물 / 소주제: 동물...
화이트클로버 발아실험 및 관찰일지 (초지학리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