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고시 해부생리학 정리 (가로 Ver)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가고시 해부생리학 정리 (가로 V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림프관 -> 왼빗장밑정맥 (정맥각) -> 팔머리정맥 -> 위대정맥
오른쪽 머리, 팔 가슴 -> 오른림프관 -> 오른빗장밑정맥 (정맥각) -> 팔머리정맥
6. 편도
(tonsils)
종류
① 목구멍편도 : 입안과 인두 사이의 가쪽벽에 위치
② 혀편도 : 혀뿌리의 위면에 위치
③ 인두편도
* 목구멍에서 3개의 편도
왈데이어편도고리 (Waldeyer\'s tonsil ring) 형성
기능 : 입을 통하여 들어오는 이물질에 방어 작용
호흡계통
I. 호흡기관
1. 코안
상피조직 : 거짓중층원주섬모상피
술잔세포 : 점액 분비
2. 코곁굴
호흡계통 구성 순서
코안 -> 인두 -> 후두 -> 기관 -> 기관지 ->
종말세기관지 -> 호흡세기관지 -> 허파꽈리관 -> 허파꽈리주머니
3. 후두 (larynx)
1) 개요
기도 - 식도 - 목뼈
C4-6번 높이
2) 후두연골 (laryngeal cartillage)
6종 9개
방패연골 (1개) : 후두융기 (Adam\'s apple) 형성
반지연골 (1개) : 가락지 모양
후두덮개연골 (1개) : 후두덮개의 기초 - 탄력연골
모뿔연골 (2개) : 성대돌기 - 발성에 관여
- 방패연골, 모뿔연골 사이에 성대주름
잔뿔연골 (2개)
쐐기연골 (2개)
3) 후두안 (laryngeal cavity)
성대 : 길이 - 1.5~2cm, 점막 -> 중층편평상피
후두덮개 (epiglottis) : 탄력연골 - 음식물의 기관유입 방지
4) 후두의 근육
뒤반지모뿔근 -> 성대문을 여는데 관여
지배신경 : 미주신경의 가지
4. 기관 (trachea)
점막 :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기관연골 : 15-20개 -> C자형 유리연골
기관갈림 : T5 높이
* 후두점막 : 거짓중층섬모상피 / 성대주름 : 중층편평상피
5. 기관지
(bronchus)
기관지 분지 순서
기관 -> 기관지 -> 종말세기관지 -> 호흡세기관지 -> 허파꽈리
왼기관지 (left bronchus)
2가지 (위-아래엽)
길이 5-6cm
길고 가늘다
정중선과 46도 정도
오른기관지 (right bronchus)
3가지 (위-중간-아래엽)
길이 2-3cm
짧고 굵다
정중선 24도 정도
이물질 유입 가능성
6. 허파
1) 개요
2겹의 가슴막으로 싸여 있음
허파문(hilum) : 허파정맥 -> 허파동맥 -> 기관지 통과 (VAB)
허파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은 기관지동맥 (허파동맥 X)
2) 구분
오른허파
620g
3엽
왼허파
570g
2엽
허파혀, 심장패임 (왼허파의 특징)
3) 허파꽈리
(alveolus)
가스교환 부위 (분압차에 의한 확산)
허파꽈리상피세포
① 제 I 형 세포 : 호흡상피세포
② 제 II 형 세포 : 표면활성제 분비 -> 허파꽈리의 표면장력 감소
먼지세포 (식작용)
4) 허파속기관지
호흡부분 (가스교환 부위)
호흡세기관지 -> 허파꽈리관 -> 허파꽈리주머니 -> 허파꽈리
종말세기관지 X
5) 허파의 혈관
실질혈관 : 기관지동맥, 기관지정맥
기능혈관 : 허파동맥, 허파정맥
7. 가슴세로칸
(mediastinum)
위치 : 왼-오른허파 사이
수용 장기 : 기관, 식도, 가슴샘, 심장, 대동맥, 위대정맥 등
비뇨계통
I. 콩팥의 구조와 기능
1. 개요
구성 : 콩팥 -> 요관 -> 방광 -> 요도
콩팥 위치 : T11-L3 사이 (복막뒤장기) / 왼쪽 높음 (간 때문에)
콩팥동맥은 요의 생산, 영양공급을 동시
2. 기능
산-염기 평형조절 (항상성)
호르몬 분비
① 레닌 : 혈압 저하 -> 혈압상승
② 적혈구생성소 : 저산소증 -> 적혈구 생성 촉진
③ 칼시트리올 : 작은창자에서 칼슘흡수 촉진
3. 구조
① 콩팥겉질 : 콩팥소체 (토리 + 토리주머니), 토리쪽곱슬세관, 먼쪽곱슬세관
② 콩팥속질 : 콩팥세관고리 (헨레고리), 집합세관
3. 콩팥단위
(네프론)
콩팥단위 : 콩팥소체 + 콩팥세관
① 콩팥소체 : 토리 + 토리주머니 (보우만주머니)
② 콩팥세관 : 토리쪽곱슬세관, 헨리고리 -> 먼쪽곱슬세관
콩팥단위
콩팥소체
토리주머니
두 겹의 막 / 발세포
토리
동맥성 모세혈관이 뭉침
콩팥세관
토리쪽곱슬세관
보만주머니에서 시작
K+, 포도당, 아미노산, 단백질 (100% 재흡수)
Na+ 80% 재흡수
헨레고리
H 고리, 좌-우 각으로 구분
먼쪽곱슬세관
집합관으로 연결
NA+ 20% 재흡수
K+, H+, NH3 분비
* 재흡수 : 혈액으로 들어가는 것 l 재분비 : 세관으로 들어가는 것
II. 토리여과
1. 토리여과
여과기전
이뉼린 청소율 (클리어런스)
토리근접세포 : 레닌 생산
2. 세관의 재흡수
1) 세뇨관의 재흡수와 분비
재흡수
재분비
토리쪽곱슬세관
K+, 포도당, 아미노산, 단백질 (100%)
Na+ (80%)
creatine, 페니실린, 마뇨산 (PAH)
먼쪽곱슬세관
Na+ 20%
K+, H+, NH3
호르몬
작용 부위
기능
알도스테론
먼쪽곱슬세관
Na+ 재흡수 l K+ 재분비
안지오텐신 II
토리쪽곱슬세관
염분, 수분의 재흡수 촉진 / H- 재분비 촉진
ADH
먼쪽곱슬세관
물 재흡수
ANP
먼쪽곱슬세관, 집합세관
염분의 재흡수 억제
* K+ : 토리쪽곱슬세관 재흡수 -> 먼쪽곱슬세관 재분비
* 물의 흡수
토리쪽곱슬세관 : 삼투압 - 강제적 재흡수
먼쪽곱슬세관 : ADH - 임의적 재흡수
① 능동적 재흡수
포도당 및 아미노산 : 토리쪽곱슬세관 완전흡수
Na+ : 토리쪽곱슬세관 (80%), 먼쪽곱슬세관 (20%) 흡수
먼쪽 Na 재흡수 - 알도스테론
K+ : 토리쪽곱슬세관 재흡수 -> 먼쪽곱슬세관 재분비
② 수동적 재흡수
확산, 삼투 현상
③ 물의 재흡수
의무적 재흡수 : 물 85% - 토리쪽 재흡수
촉진적 재흡수 : 신체요구량에 따름 - 먼쪽, 집합관 재흡수 (ADH 작용)
2) 콩팥분비 호르몬
알도스테론 : Na+, 수분 재흡수 촉진, K+ 분비 촉진 (콩팥관류량 감소 시) (부신겉질)
ADH : 혈장삼투압이 높아지면 수분 재흡수 촉진 (뇌하수체 뒤엽)
레닌 : 콩팥 혈류량 감소, 나트륨 재흡수량 감소 시 작용 (콩팥)
레닌 (콩팥) 분비 -> 안지오텐신 II (혈장)-> 알도스테론 (부신겉질) 분비 촉진
-> Na+, 수분 재흡수 촉진 -> 콩팥혈류 및 혈압 증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0.11.30
  • 저작시기201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