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아통합보육의 개념
2. 장애아 통합보육의 중요성
3.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프로그램의 필요성
4.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 보육현장의 개선 방향
1)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의 충분한 수급
2) 편의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
3) 특수교사의 전문 인력 수급
4)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장애아통합보육의 개념
2. 장애아 통합보육의 중요성
3.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프로그램의 필요성
4.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 보육현장의 개선 방향
1)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의 충분한 수급
2) 편의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
3) 특수교사의 전문 인력 수급
4)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4)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
첫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에 보조 인력에 대한 지원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하며,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이 원하는 활동과 시간대에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장애아 통합보육교사가 보조 인력을 요구하는 활동 시간은 간식과 식사지도, 화장실 다녀오기, 손씻기 등 일상적인 개인 생활지도에 중점을 두고, 일일계획안의 프로그램 활동 시, 아동과의 상호작용 시에도 함께 할 수 있는 시간대에 보조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이러한 장애아 통합보육교사의 요구에 맞춰 하루에 4시간부터 5시간 정도 투입을 해야 한다.
둘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요구에 따라 보조 인력을 선정하여 지원해야 할 것이다. 시설장들이 선호하는 보조 인력으로 고졸 이상으로 사전 교육을 받은 20대 후반부터 40대 후반의 보조 인력을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재정적인 측면을 고려하며 시설 부담금액을 1인당 월 30만원 이하로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의 재정적인 지원이 있을 경우 시설의 보조 인력 투입 계획은 있으나,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조 인력 투입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재정상 월 30만원 이하의 예산이 있다는 결과, 시설 부담금액을 30만원 이하로 낮추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 보육현장의 개선 방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장애아동은 보육시설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수행하기 어려운 학습 및 교과내용을 개별화프로그램으로 일반아동과 같이 과제를 수행하며 그런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하게 되며 일반아동은 장애아동의 결함과 한계를 수용하고 도와줌으로서 상호보완 작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일반 교사나 특수교사의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나 인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요한 외 (2015). 특수교육학개론(2판). 서울: 학지사.
신은희 (2017). 특별직무교육과정 장애아보육과정. 경기도: 에듀넷
김용순 (2018). 장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영 (2017).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
첫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에 보조 인력에 대한 지원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하며,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이 원하는 활동과 시간대에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장애아 통합보육교사가 보조 인력을 요구하는 활동 시간은 간식과 식사지도, 화장실 다녀오기, 손씻기 등 일상적인 개인 생활지도에 중점을 두고, 일일계획안의 프로그램 활동 시, 아동과의 상호작용 시에도 함께 할 수 있는 시간대에 보조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이러한 장애아 통합보육교사의 요구에 맞춰 하루에 4시간부터 5시간 정도 투입을 해야 한다.
둘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요구에 따라 보조 인력을 선정하여 지원해야 할 것이다. 시설장들이 선호하는 보조 인력으로 고졸 이상으로 사전 교육을 받은 20대 후반부터 40대 후반의 보조 인력을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재정적인 측면을 고려하며 시설 부담금액을 1인당 월 30만원 이하로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의 재정적인 지원이 있을 경우 시설의 보조 인력 투입 계획은 있으나,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조 인력 투입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재정상 월 30만원 이하의 예산이 있다는 결과, 시설 부담금액을 30만원 이하로 낮추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신지체 및 발달지체아동의 장애통합 보육현장의 개선 방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장애아동은 보육시설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수행하기 어려운 학습 및 교과내용을 개별화프로그램으로 일반아동과 같이 과제를 수행하며 그런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하게 되며 일반아동은 장애아동의 결함과 한계를 수용하고 도와줌으로서 상호보완 작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일반 교사나 특수교사의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나 인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요한 외 (2015). 특수교육학개론(2판). 서울: 학지사.
신은희 (2017). 특별직무교육과정 장애아보육과정. 경기도: 에듀넷
김용순 (2018). 장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영 (2017).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