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Introduction)
Ⅱ. 이론 (Theory)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Ⅴ. 오차분석 (Error Analysis)
Ⅵ. 토의 (Discussion)
Ⅶ. 참고문헌 (References)
Ⅱ. 이론 (Theory)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Ⅴ. 오차분석 (Error Analysis)
Ⅵ. 토의 (Discussion)
Ⅶ. 참고문헌 (References)
본문내용
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가 흐른다.
-> V=IR (V:전압, I:전류, R:저항)
2. 다이오드(Diode)
->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으로 전압이 임계치 보다 낮으면, 어떠한 전류도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3. P-N접합 다이오드
-> P-N접합 다이오드의 Ptype 반도체 (+)전원을, Ntype 반도체 (-)전원을 연결할 때를 순방향 전압이라고 한다. 이때, 다이오드를 통해 큰전류가 흐른다. 이는 Ptype 반도체 내의 hole이 Ntype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Ntype 반도체에서 전자가 Ptype 반도체로 이동한다. 이때 Ptype 반도체에서 Ntype 반도체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반대로 P-N접합 다이오드의 Ntype 반도체에 (+)전원을, Ptype 반도체에 (-)전워을 연결할 때 역방향 전압이 걸린다. 이때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3. 반도체(Semiconductor)의 종류와 원리
-> p형(vacancy가 전자에 비해 많은)과 n형(전자가 vacancy비해 많은)의 반도체 혹은 반도체와 금속을 접합시켜 각각에 전극을 부착한 것. 전자를 p-n 접합 다이오드, 후자를 쇼트키 다이오드라 한다. 전류-전압 특성이 옴의 법칙에 따르지 않고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비대칭적인 거동을 한다.
3. 저항기의 색깔띠
->고체저항의 크기는 저항의 색깔 띠로 쉽게 알 수 있다. 보통 저항에는 그림과 같이 4개의 색 띠가 있다. 저항의 색 띠는 각각 10의 자리 수, 1의 자기 수, 십의 지수 및 오차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로들면 10Ω의 색깔띠 순서는 갈색-검정-검정이다. 100Ω의 색깔띠는 갈색-검정-갈색이다.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1. 실험준비물
저항 10Ω, 100Ω,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1개씩, 바나나 플러그 패치 코드, 악어집게, 비커, 소금, 집게막대기, 스탠드
2. 실험과정
고체의 저항측정
①저항 10Ω, 100Ω, 다이오드에 악어클립을 연결하여 저항을 측정한다.
- 액체의 저항측정
① 두 전극의 위쪽에 악어클립을 연결하여 0.01Hz에서 소금물의 농도를 각각 1%,2%,5%로 바꿔가면서 실험한다. 또 소금물의 농도가 1%일 때, 0.1Hz,1Hz일때의 저항값도 측정한다.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1. 고체저항 결과
V-I 그래프
-> V-I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1이다. 이를 역수로 취해주면 저항값 10이 나온다.
-> 여기서 기울기가 0.0106이다. 이를 역수로 취해주면 94.34가 나온다. 이는 저항값이다.
-> 빨간색 LED 1.7V 문턱전압을 확인했다.
-> 노랑색 LED의 문턱전압 1.8V가 측정되었다.
-> 초록색 LED 문턱전압 1.9V가 측정되었다.
-> 다이오드의 문턱전압 0.7V가 측정되었다.
-> 여기서 순방향인 경우에도 일정 이상 전압을 걸어주어야만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 액체저항 결과
--> V-I의 그래프가 너무 겹치고 어떤게 0->+인지 -인지 구분이 가지않아서 t-A,t-V로 해서 대략적으로 구했습니다
3-2 액체저항 결과
-> 주파수가 다른 1% 소금물의 전압에 따른 전류 그래프이다. 극이 바뀌면 전자는 관성과 그 반대 방향의 극으로 가려는 힘이 작용하게된다. 주파수에 따라 극이 바뀌는 빈도수가 바뀌게 되고, 관성의 영향도 바뀌기 때문에 그래프의 형태가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저항값도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3 액체저항 결과
-> (0->+) 로 변할 때는 그에 맞춰 이온들이 배열된다. 따라서 전류가 잘 흐른다. 하지만 (+->0)로 변할
-> V=IR (V:전압, I:전류, R:저항)
2. 다이오드(Diode)
->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으로 전압이 임계치 보다 낮으면, 어떠한 전류도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3. P-N접합 다이오드
-> P-N접합 다이오드의 Ptype 반도체 (+)전원을, Ntype 반도체 (-)전원을 연결할 때를 순방향 전압이라고 한다. 이때, 다이오드를 통해 큰전류가 흐른다. 이는 Ptype 반도체 내의 hole이 Ntype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Ntype 반도체에서 전자가 Ptype 반도체로 이동한다. 이때 Ptype 반도체에서 Ntype 반도체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반대로 P-N접합 다이오드의 Ntype 반도체에 (+)전원을, Ptype 반도체에 (-)전워을 연결할 때 역방향 전압이 걸린다. 이때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3. 반도체(Semiconductor)의 종류와 원리
-> p형(vacancy가 전자에 비해 많은)과 n형(전자가 vacancy비해 많은)의 반도체 혹은 반도체와 금속을 접합시켜 각각에 전극을 부착한 것. 전자를 p-n 접합 다이오드, 후자를 쇼트키 다이오드라 한다. 전류-전압 특성이 옴의 법칙에 따르지 않고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비대칭적인 거동을 한다.
3. 저항기의 색깔띠
->고체저항의 크기는 저항의 색깔 띠로 쉽게 알 수 있다. 보통 저항에는 그림과 같이 4개의 색 띠가 있다. 저항의 색 띠는 각각 10의 자리 수, 1의 자기 수, 십의 지수 및 오차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로들면 10Ω의 색깔띠 순서는 갈색-검정-검정이다. 100Ω의 색깔띠는 갈색-검정-갈색이다.
Ⅲ. 실험장치 및 실험절차 (Apparatus & Procedure)
1. 실험준비물
저항 10Ω, 100Ω,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1개씩, 바나나 플러그 패치 코드, 악어집게, 비커, 소금, 집게막대기, 스탠드
2. 실험과정
고체의 저항측정
①저항 10Ω, 100Ω, 다이오드에 악어클립을 연결하여 저항을 측정한다.
- 액체의 저항측정
① 두 전극의 위쪽에 악어클립을 연결하여 0.01Hz에서 소금물의 농도를 각각 1%,2%,5%로 바꿔가면서 실험한다. 또 소금물의 농도가 1%일 때, 0.1Hz,1Hz일때의 저항값도 측정한다.
Ⅳ. 데이터 및 결과 (Data & Results)
1. 고체저항 결과
V-I 그래프
-> V-I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1이다. 이를 역수로 취해주면 저항값 10이 나온다.
-> 여기서 기울기가 0.0106이다. 이를 역수로 취해주면 94.34가 나온다. 이는 저항값이다.
-> 빨간색 LED 1.7V 문턱전압을 확인했다.
-> 노랑색 LED의 문턱전압 1.8V가 측정되었다.
-> 초록색 LED 문턱전압 1.9V가 측정되었다.
-> 다이오드의 문턱전압 0.7V가 측정되었다.
-> 여기서 순방향인 경우에도 일정 이상 전압을 걸어주어야만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 액체저항 결과
--> V-I의 그래프가 너무 겹치고 어떤게 0->+인지 -인지 구분이 가지않아서 t-A,t-V로 해서 대략적으로 구했습니다
3-2 액체저항 결과
-> 주파수가 다른 1% 소금물의 전압에 따른 전류 그래프이다. 극이 바뀌면 전자는 관성과 그 반대 방향의 극으로 가려는 힘이 작용하게된다. 주파수에 따라 극이 바뀌는 빈도수가 바뀌게 되고, 관성의 영향도 바뀌기 때문에 그래프의 형태가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저항값도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3 액체저항 결과
-> (0->+) 로 변할 때는 그에 맞춰 이온들이 배열된다. 따라서 전류가 잘 흐른다. 하지만 (+->0)로 변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