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bladder cancer) case study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광암(bladder cancer)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 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간호

Ⅲ. 본론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결과
3. 약물요법
4.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 미간을 찡그리며 통증 호소하는 모습 관찰됨.
(3) 몸을 웅크리고 배를 붙잡고 있는 모습 관찰됨.
(4) NRS 통증 척도(numerical rating scale, 0-10 scale)로 측정한 통증 강도 8점(8/31 10AM).
(5) Vital sign: BP 130/70㎜Hg- PR 105회/min- RR 22회/min- BT 36.8℃
⇒통증으로 인해 대상자의 맥박과 호흡수가 증가한 것 확인함.
간호
목표
단기
목표
① 4시간 안에 NRS 통증 점수가 5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② 8시간 안에 활력 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될 것이다.
③ 1일 안에 NRS 통증 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④ 1일 안에 대상자는 통증이 나아졌다는 언어적 표현을 할 것이다.
장기
목표
① 퇴원 전까지 대상자는 통증이 없다는 언어적 표현을 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Vital sign은 대상자의 상태 파악을 위한 기본적 지표이며, 통증이 있을 시 교감신경의 자극으로 맥박, 혈압, 호흡이 상승할 수 있다.
NRS 통증 척도(numerical rating scale, 0-10 scale)를 사용하여 통증의 강도, 지속기간, 양상을 사정한다.
통증은 개인마다 다르게 경험하는 주관적인 것이므로 그 정도와 특성의 사정은 중재의 평가 및 재계획의 근거가 된다.
NRS 척도는 대상자가 받아들이는 통증의 강도와 그 변화를 숫자를 통해 측정하므로 주관적인 통증을 객관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통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있는지 사정하여 적절히 중재한다.
통증을 악화시키는 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도울 수 있다.
배뇨되는 소변의 양상을 확인한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나는 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합병증으로 인한 과다 출혈이 있다면 통증 또한 심할 것이다. 수술 후 몇일 정도 나타나는 혈뇨는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지속되거나 시간당 30cc이하의 핍뇨가 나타날 경우 합병증을 의미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약물의 화학적 작용으로 통증지각이 감소되게 해준다.
좌욕을 시행하도록 중재한다.
좌욕은 온열 요법으로써 방광 부위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대상자에게 통증 발생 및 악화시 즉시 보고하도록 설명하고 대상자의 호출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고통스러운 경험 중에는 대상자의 시간 인지가 왜곡될 수 있다. 통증 완화 지연에 대한 불안과 공포는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악화되는 경우에는 수술 후 합병증을 의미할 수 있어 즉각적 중재가 요구되므로 대상자의 통증에 빠르게 반응하는 것은 중요하다.
편안한 환경에서 휴식하도록 격려한다.
피로와 긴장은 통증을 악화시키므로 통증의 최소화를 위해 편안한 환경에서 휴식하여 긴장하지 않고 이완하며 피로하지 않게 돕는다.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 수용한다.
통증은 개인마다 다르게 느끼며 주관적인 경험으로 심리적인 상태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불안감, 무력감 등 불안정한 심리로 인해 통증이 더욱 악화될 수 있으므로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한 정서적 지지가 요구된다.
통증이 어느정도 완화되었을 때 비약물적요법으로 전환요법, 심호흡, 이완요법 등을 시행한다.
비약물적 중재는 경미하거나 중 정도의 통증에 효과가 있으며 약물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통증 지각과 통증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키도록 돕는다.
시행되는 치료와 대상자 상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적절한 정보제공을 통해 대상자가 상황을 이해하고 통제감을 가지며 불안, 걱정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통증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쉽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중재는 중요하다.
간호
수행
1. 수술 후 OP 바이탈을 시행했다(15분마다 4회, 30분마다 2회, 1시간 후 1회). OP 바이탈 이후에 4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수술 후 초기에 맥박 105회/분, 호흡22회/분으로 약간 증가되었으나 30분 후 활력징후 모두 정상범위로 안정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활력 징후를 유지했다.
2. NRS 통증 척도 사용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하고 양상, 빈도를 사정했다.날짜
시간
위치
양상
빈도
점수
8/31
10:00
복부
쑤심, 타는 것 같고 욱신함
지속적
8
11:00
복부
욱신함, 타는 것 같음
지속적
5
13:00
복부
쑤심
간헐적
5
14:00
복부
욱신함
모르겠음
4
17:00
복부
욱신함
모르겠음
3
9/1
8:00
복부
욱신함
간헐적
3
11:00
복부
우리함
가끔
2
3. 대상자는 시끄럽고 추운 환경에서 정신이 없어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으며 이불을 덮어주고 병실 온도를 따뜻하게 해 주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했다.
4. Foley catheter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 양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했다. 2일 동안 혈뇨가 섞여 배출되었으나 점점 옅어지는 양상을 보였고 2일 후에는 맑은 소변색으로 배출되었다.
5. 진통제를 투약하고 부작용 여부를 관찰했다. 유의미한 부작용은 없었다.
① Fentanyl Citrate Inj. 2㎖ (Fentanyl Citrate 78.5μg/㎖) 0.5 IM
② Tramadol Soluble Tab. 50㎎ P.O TID
6. 대상자에게 좌욕이 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 경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하루 3회씩 각 20분 정도 좌욕을 시행하도록 격려하고 안내했으며 대상자 협조했다.
7.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필요시 망설이지 말고 바로 호출하도록 설명했다. 대상자 손 닿는 곳에 호출벨을 두고 사용법을 안내했다. 대상자 호출 시마다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중재했다.
8. 소음을 최소화하고 조용하고 잘 정돈된 환경에서 침상 안정 및 휴식하도록 했다. 대상자 주변에 커튼을 치고 조명을 어둡게 조절하여 청각적, 시각적 자극이 적은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9.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 및 수용했다.
▷Pt: “배가 너무 아파요. ”
▷RN: (대상자의 눈을 마주치고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하는 모습)“많이 아프시죠? 막 수술하고 나오셔서 아프실거에요…수술 잘
  • 가격3,7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20.12.21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3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