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ⅳ. 치료 내용 및 진행사항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ⅳ. 치료 내용 및 진행사항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필요성을 설명햇다.
체중이 증가하면 합병증의 위험이 커지므로 혈당, 체중을 관리한다.
2. 환자에게 규칙적인 식사와 간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했다.
규칙적인 식사와 간식은 영양, 건강관리에 중요하다.
3. 환자에게 특정시간 식전, 식후 혈당을 측정하도록 교육했다.
혈당 측정을 통해 고혈당, 저혈당이 오는지 확인한다.
4. 환자의 현재 경구섭취량을 확인했다.
현재 경구 섭취량을 통해 영양공급이 잘되고 있는 지 확인하고 당뇨에 영향을 미치는 지 관찰한다.
5. 환자에게 하루 4번 BST를 측정했다.
BST는 혈당을 나타내는 수치로 고혈당, 저혈당상태를 알 수 있다.
6. 고혈당 시 Novomix 30 Flexpen 300unit
(insulin) 투여했다.
고혈당 시 인슐린을 주사하여 혈당을 낮춘다.
간호 평가
Vital
Sign
시간
2019-05-27
6:00
14:00
22:00
시간
2019-05-28
2019-05-29
2019-06-01
2019-06-02
2019-06-03
혈압
117/62mmHg
116/64mmHg
117/61mmHg
06:00
123/67mmHg
133/73mmHg
103/56mmHg
111/63mmHg
125/66mmHg
맥박
74
78
84
84
69
76
71
70
호흡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체온
36.8
36.9
37.3
36.8
36.0
36.6
36.4
36.4
입원기간동안 활력징후는 정상범위로 나왔다.
간호 평가
BST 수치는 아래와 같다.
시간
날짜
06:00
10:00
12:00
14:00
20:00
22:00
5/27
102
202
202
236
237
-
5/28
161
257
254
265
224
229
5/29
159
투석
HD
155
320
219
5/30
142
250
212
240
212
183
6/1
172
279
-
311
259
6/2
131
225
-
274
231
-
6/3
116
167
195
-
-
267
6/4
163
241
-
-
-
-
섭취량과 배설량 양호하다.
intake (단위 : cc)
output
총 배설량
날짜
경구
정맥- 수액
total(in)
자연배뇨 총 소변량
5/27
1670
400
2070cc
150cc
stool 대변 : 1회
5/28
1240
250
1490
230
stool 대변 : 1회
5/31
500
0
500
250
stool 대변 : 1회
6/1
1130
0
1130
200
stool 대변 : 1회
6/2
1280
0
1280
295
stool 대변 : 1회
6/3
1850
0
1850
370
stool 대변 : 1회
간호 수행으로 ①② 단기목표에 도달했다.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만성신부전 당뇨식이를 말로 설명한다. ② 환자는 2일 내에 저혈당 대처법, 운동법을 4가지이상 말로 시범보인다. 장기목표는 1은 환자는 퇴원할때까지 혈액투석 당뇨식이를 섭취한다. 장기목표는 달성했다.
Ⅲ. 결론
본 환자는 만성콩팥신부전 환자였다. 간호진단은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질병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영양 부족, 질병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영양 부족이었다. 연세가 있는 환자이며 질병과 동반한 합병증을 가지고 있어 다른 환자보다 세심한 간호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중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간호수행 결과 건강에 이상없이 퇴원하셨다.
적합한 간호를 위해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질환에 대해 공부하였고 만성콩팥신부전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만성콩팥신부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길 바라며 이 보고서를 통해서 질높은 간호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Ⅳ. 느낀점
내가 맡은 케이스 환자는 만성콩팥신부전환자로 73세 남자 환자였다. 40년동안 진행된 당뇨로 고혈압과 함께 만성신부전이 왔고 연세가 많으며 혼자 사시는 분이여서 “퇴원 후에도 자가간호를 잘 하실수 있을까?” 걱정이 든 환자였다. 그래서 입원기간동안 인슐린 자가투여법 및 자가간호법 이해정도를 여러차례 물었고 잘 모르는 부분을 다시 설명해드렸다. 보청기를 사용할 정도로 귀가 잘 안들리시는 환자였기 때문에 적절한 어조와 목소리 크기로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였고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공감하여 답하였다. 저번 병동은 외과여서 입원기간이 짧아 환자와 라포형성을 하며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이 적어 아쉬웠는데 이번 병동은 내과라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환자에게 더 많이 다가가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친해지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어 좋았다. 이런 시간을 가질수록 환자는 경계를 풀고 환자의 정보를 더 드러냈고 이로 인해 얻은 환자의 정보는 환자에게 적합하고 알맞은 간호를 선택하는데 유용했다.
그리고 투석환자는 아무래도 건강한 신장을 가진 사람에 비해 피곤해지며 신장의 기능이 효과적이지 못한다고 한다. 신장은 한번 고장이 나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확률이 낮은 기관이라 이로 인해 나는 건강관리를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신장에 대해 자세히 공부한 경험이었다. 두 번째 실습을 나가보면서 한 특수병동에서 이루어지는 간호와 각각의 상황을 접해보는 것은 이론만 배웠던 것과는 체감이 달랐고 그에 맞는 대처법을 배울 수 있어서 소중하고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되는 시간이라고 느꼈다.
아프신 환자들을 보며 지금 건강한 것에 대해 소중함을 느끼며 내가 작은 일이여도 환자의 안위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에 기뻤다. 간호사의 길을 선택한 것이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만큼 해를 가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두려움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고 더 열심히 공부해서 유능한 간호사, 환자에게 꼭 필요한 간호사가 되고 싶다.
Ⅴ.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하)/ 황옥남 외 / 2018 / 현문사
2. 성인간호학(하)/ 조경숙 외/ 2016 / 수문사
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외/ 2016/ 포널스출판사
4. 간호학 자습서- 성인간호학 2/ 유해영 /2009/ 현문사
5. Google 사진인용
6. [네이버 지식백과] 만성 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체중이 증가하면 합병증의 위험이 커지므로 혈당, 체중을 관리한다.
2. 환자에게 규칙적인 식사와 간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했다.
규칙적인 식사와 간식은 영양, 건강관리에 중요하다.
3. 환자에게 특정시간 식전, 식후 혈당을 측정하도록 교육했다.
혈당 측정을 통해 고혈당, 저혈당이 오는지 확인한다.
4. 환자의 현재 경구섭취량을 확인했다.
현재 경구 섭취량을 통해 영양공급이 잘되고 있는 지 확인하고 당뇨에 영향을 미치는 지 관찰한다.
5. 환자에게 하루 4번 BST를 측정했다.
BST는 혈당을 나타내는 수치로 고혈당, 저혈당상태를 알 수 있다.
6. 고혈당 시 Novomix 30 Flexpen 300unit
(insulin) 투여했다.
고혈당 시 인슐린을 주사하여 혈당을 낮춘다.
간호 평가
Vital
Sign
시간
2019-05-27
6:00
14:00
22:00
시간
2019-05-28
2019-05-29
2019-06-01
2019-06-02
2019-06-03
혈압
117/62mmHg
116/64mmHg
117/61mmHg
06:00
123/67mmHg
133/73mmHg
103/56mmHg
111/63mmHg
125/66mmHg
맥박
74
78
84
84
69
76
71
70
호흡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18회/분
체온
36.8
36.9
37.3
36.8
36.0
36.6
36.4
36.4
입원기간동안 활력징후는 정상범위로 나왔다.
간호 평가
BST 수치는 아래와 같다.
시간
날짜
06:00
10:00
12:00
14:00
20:00
22:00
5/27
102
202
202
236
237
-
5/28
161
257
254
265
224
229
5/29
159
투석
HD
155
320
219
5/30
142
250
212
240
212
183
6/1
172
279
-
311
259
6/2
131
225
-
274
231
-
6/3
116
167
195
-
-
267
6/4
163
241
-
-
-
-
섭취량과 배설량 양호하다.
intake (단위 : cc)
output
총 배설량
날짜
경구
정맥- 수액
total(in)
자연배뇨 총 소변량
5/27
1670
400
2070cc
150cc
stool 대변 : 1회
5/28
1240
250
1490
230
stool 대변 : 1회
5/31
500
0
500
250
stool 대변 : 1회
6/1
1130
0
1130
200
stool 대변 : 1회
6/2
1280
0
1280
295
stool 대변 : 1회
6/3
1850
0
1850
370
stool 대변 : 1회
간호 수행으로 ①② 단기목표에 도달했다.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만성신부전 당뇨식이를 말로 설명한다. ② 환자는 2일 내에 저혈당 대처법, 운동법을 4가지이상 말로 시범보인다. 장기목표는 1은 환자는 퇴원할때까지 혈액투석 당뇨식이를 섭취한다. 장기목표는 달성했다.
Ⅲ. 결론
본 환자는 만성콩팥신부전 환자였다. 간호진단은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질병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영양 부족, 질병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영양 부족이었다. 연세가 있는 환자이며 질병과 동반한 합병증을 가지고 있어 다른 환자보다 세심한 간호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중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간호수행 결과 건강에 이상없이 퇴원하셨다.
적합한 간호를 위해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질환에 대해 공부하였고 만성콩팥신부전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만성콩팥신부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길 바라며 이 보고서를 통해서 질높은 간호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Ⅳ. 느낀점
내가 맡은 케이스 환자는 만성콩팥신부전환자로 73세 남자 환자였다. 40년동안 진행된 당뇨로 고혈압과 함께 만성신부전이 왔고 연세가 많으며 혼자 사시는 분이여서 “퇴원 후에도 자가간호를 잘 하실수 있을까?” 걱정이 든 환자였다. 그래서 입원기간동안 인슐린 자가투여법 및 자가간호법 이해정도를 여러차례 물었고 잘 모르는 부분을 다시 설명해드렸다. 보청기를 사용할 정도로 귀가 잘 안들리시는 환자였기 때문에 적절한 어조와 목소리 크기로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였고 환자의 말에 경청하고 공감하여 답하였다. 저번 병동은 외과여서 입원기간이 짧아 환자와 라포형성을 하며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이 적어 아쉬웠는데 이번 병동은 내과라서 입원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환자에게 더 많이 다가가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친해지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어 좋았다. 이런 시간을 가질수록 환자는 경계를 풀고 환자의 정보를 더 드러냈고 이로 인해 얻은 환자의 정보는 환자에게 적합하고 알맞은 간호를 선택하는데 유용했다.
그리고 투석환자는 아무래도 건강한 신장을 가진 사람에 비해 피곤해지며 신장의 기능이 효과적이지 못한다고 한다. 신장은 한번 고장이 나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확률이 낮은 기관이라 이로 인해 나는 건강관리를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신장에 대해 자세히 공부한 경험이었다. 두 번째 실습을 나가보면서 한 특수병동에서 이루어지는 간호와 각각의 상황을 접해보는 것은 이론만 배웠던 것과는 체감이 달랐고 그에 맞는 대처법을 배울 수 있어서 소중하고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되는 시간이라고 느꼈다.
아프신 환자들을 보며 지금 건강한 것에 대해 소중함을 느끼며 내가 작은 일이여도 환자의 안위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에 기뻤다. 간호사의 길을 선택한 것이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만큼 해를 가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두려움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고 더 열심히 공부해서 유능한 간호사, 환자에게 꼭 필요한 간호사가 되고 싶다.
Ⅴ.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하)/ 황옥남 외 / 2018 / 현문사
2. 성인간호학(하)/ 조경숙 외/ 2016 / 수문사
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외/ 2016/ 포널스출판사
4. 간호학 자습서- 성인간호학 2/ 유해영 /2009/ 현문사
5. Google 사진인용
6. [네이버 지식백과] 만성 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