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1) 벼도열병
(2) 세균성벼알마름병
(3) 고추탄저병
(4) 오이바이러스병
(5) 배나무붉은무늬병
1.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하시오.
(1) 담배가루이
(2) 온실가루이
<참고문헌>
(1) 벼도열병
(2) 세균성벼알마름병
(3) 고추탄저병
(4) 오이바이러스병
(5) 배나무붉은무늬병
1.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하시오.
(1) 담배가루이
(2) 온실가루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2004년 경남과 전남 지역 토마토 재배지와 2005년 고추류에 발생.
마. 연 10회 이상 발생.
3) 기주 및 피해
가. 전세계적으로 600종 이상의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고구마, 수박, 목화, 가지, 호박, 참외, 고추, 오이등을 가해.
나. 약충과 성충은 잎 뒷면에 기생 · 흡즙하여 증상유발.
다. 100종 이상의 바이러스를 매개.
라.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가 주요.
4) 방제법
가. 방제를 통해 밀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
나. 황색끈끈이트랩 : 밀도예찰과 바이러스병 발생여부를 진단하여 피해를 초기 차단.
다. 생물적 방제 : 황온좀벌, 온실가루이조벌을 이용
(2)온실가루이
1) 형태적 특징
가. 성충 몸길이 1.4mm 정도로 옅은 황색.
나. 표면은 흰 왁스가 덮여 있으며, 날개는 반투명한 흰색.
다. 유충은 타원형의 투명한 흰색.
라. 유충은 2회 탈피하며, 번데기는 0.7~0.8mm의 납작한 타원형으로 표면에 11쌍의 가느다란
가시돌기가 존재.
마. 알은 길이가 0.2mm으로 자루가 달린 포탄모양
2) 발생생태
가. 북아메리카의 서남부 지역이 원산지.
나. 국내는 1977년 2월 수원에서 처음 발견.
다. 시설하우스의 대표적인 난방제 해충.
라. 암컷은 우화 후 2~3일 이내에 잎 표면에 원형으로 알을 낳아 ⇒ 총 산란수는 213개 정도
마. 15~26℃에서 발육기간을 보면, 알은 7~12일, 유충은 8~12일, 번데기는 5~6일, 성충의
수명은 18~30일.
바. 유성생식을 하여 수정된 알은 암컷이 되고, 수정되지 않은 알은 수컷이 됨.
사. 시설재배지에서 연 10세대 이상 발행하여 증식력이 높아 짧은 기간 내에 대량 발생할 가능성 높아.
아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뒤션에서 군집생활.
자.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100~300개.
차. 부화약충은 이동성이 있어 적당한 장소를 탐색하여 구침을 꽂고 고착, 2령 이후에는 다리가 퇴화되어 한 곳에 붙어서 흡즙.
3) 기주 및 피해
가. 오이,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거베라, 장비 등 84과 249종의 식물을 가해하여 기주범위 넓음.
나. 약충과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 먹어 ⇒ 잎이 퇴색되고 위조, 낙엽, 고사.
다. 배설물(감로)로 인하여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라. 잎 뒷면에 주로 발생, 아래쪽으로 쳐진 잎 뒷면에 서식하므로 방제하기 어려워.
4) 방제법
가. 황색끈끈이 트랩 : 성충은 황색에 유인됨으로 유인하여 발생을 예찰하고 약제처리를 통하여 밀도를 낮춰
나. 생물적 방제 : 온실가루이좀벌 · 황온좀벌 · 가루이노린재 이용 ⇒ 밀도가 높아졌을 때,
가루이무당벌레를 이용.
다. 시설 하우스 내·외부의 작물 잔여물이나 기주가 되는 잡초를 완전히 제거.
라. 유충과 번데기는 방제 어려워 ⇒ 저밀도 또는 발생 초기 약제를 2~3회 살포.
<참고문헌>
1. 최재을·유승헌·김길하·조수원·김태성.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 김형무 외 5.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3. 김길하, 김동순, 박정규, 조수원, 윤영남, 이경열. 『삼고 해충학 이론과 응용 - 』. 향문사
4. 작물기술정보 , 농사로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mo?pageIndex=2&pageSize=10&menuId=PS00067&sStdPrdlstCode=CP05CP52&sStdTchnlgyCode=GP02&sRdaStdPrdlstCode=CP&kidofcomdtyNo=22908
마. 연 10회 이상 발생.
3) 기주 및 피해
가. 전세계적으로 600종 이상의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고구마, 수박, 목화, 가지, 호박, 참외, 고추, 오이등을 가해.
나. 약충과 성충은 잎 뒷면에 기생 · 흡즙하여 증상유발.
다. 100종 이상의 바이러스를 매개.
라.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가 주요.
4) 방제법
가. 방제를 통해 밀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
나. 황색끈끈이트랩 : 밀도예찰과 바이러스병 발생여부를 진단하여 피해를 초기 차단.
다. 생물적 방제 : 황온좀벌, 온실가루이조벌을 이용
(2)온실가루이
1) 형태적 특징
가. 성충 몸길이 1.4mm 정도로 옅은 황색.
나. 표면은 흰 왁스가 덮여 있으며, 날개는 반투명한 흰색.
다. 유충은 타원형의 투명한 흰색.
라. 유충은 2회 탈피하며, 번데기는 0.7~0.8mm의 납작한 타원형으로 표면에 11쌍의 가느다란
가시돌기가 존재.
마. 알은 길이가 0.2mm으로 자루가 달린 포탄모양
2) 발생생태
가. 북아메리카의 서남부 지역이 원산지.
나. 국내는 1977년 2월 수원에서 처음 발견.
다. 시설하우스의 대표적인 난방제 해충.
라. 암컷은 우화 후 2~3일 이내에 잎 표면에 원형으로 알을 낳아 ⇒ 총 산란수는 213개 정도
마. 15~26℃에서 발육기간을 보면, 알은 7~12일, 유충은 8~12일, 번데기는 5~6일, 성충의
수명은 18~30일.
바. 유성생식을 하여 수정된 알은 암컷이 되고, 수정되지 않은 알은 수컷이 됨.
사. 시설재배지에서 연 10세대 이상 발행하여 증식력이 높아 짧은 기간 내에 대량 발생할 가능성 높아.
아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뒤션에서 군집생활.
자.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100~300개.
차. 부화약충은 이동성이 있어 적당한 장소를 탐색하여 구침을 꽂고 고착, 2령 이후에는 다리가 퇴화되어 한 곳에 붙어서 흡즙.
3) 기주 및 피해
가. 오이,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거베라, 장비 등 84과 249종의 식물을 가해하여 기주범위 넓음.
나. 약충과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 먹어 ⇒ 잎이 퇴색되고 위조, 낙엽, 고사.
다. 배설물(감로)로 인하여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라. 잎 뒷면에 주로 발생, 아래쪽으로 쳐진 잎 뒷면에 서식하므로 방제하기 어려워.
4) 방제법
가. 황색끈끈이 트랩 : 성충은 황색에 유인됨으로 유인하여 발생을 예찰하고 약제처리를 통하여 밀도를 낮춰
나. 생물적 방제 : 온실가루이좀벌 · 황온좀벌 · 가루이노린재 이용 ⇒ 밀도가 높아졌을 때,
가루이무당벌레를 이용.
다. 시설 하우스 내·외부의 작물 잔여물이나 기주가 되는 잡초를 완전히 제거.
라. 유충과 번데기는 방제 어려워 ⇒ 저밀도 또는 발생 초기 약제를 2~3회 살포.
<참고문헌>
1. 최재을·유승헌·김길하·조수원·김태성.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 김형무 외 5.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3. 김길하, 김동순, 박정규, 조수원, 윤영남, 이경열. 『삼고 해충학 이론과 응용 - 』. 향문사
4. 작물기술정보 , 농사로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mo?pageIndex=2&pageSize=10&menuId=PS00067&sStdPrdlstCode=CP05CP52&sStdTchnlgyCode=GP02&sRdaStdPrdlstCode=CP&kidofcomdtyNo=229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