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3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2 Materials
3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하다. 이를 고정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또한 세포를 죽이게 되어 더 이상의 원하지 않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고정을 하기 위해서는 미생물 시료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얇게 펴서 바른다. 이렇게 얇게 펴진 시료를 도말(smear)이라고 한다. 도말한 시료를 공기에 말린 다음에 알코올 램프나 불꽃 위로 몇 번 지나가도록 하여 미생물체를 슬라이드 표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불꽃은 시료에 직접 닿지 않게 해줘야 한다. 또 다른 고정 방법으로는 메탄올을 도말위에 덮어 1분정도 처리하는 방법이다.
2. 염색
이렇게 염색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그람염색법을 사용하여 염색을 한다. 염색의 원리는 사프라닌은 염기성 염색약으로 양전하를 띤다. 반면 세균의 표면은 음전하를 띤다. 따라서 음전하인 세균의 표면을 양전하를 띠는 염기성 염색약으로 염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람염색법에서 확인했듯이 단지 사프라닌으로 염색이 되었기에 E.coli, Bacillus는 그람음성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배율설정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은 낮은 배율부터 높은 배율로 배율을 올려가면서 상을 찾는데 이 이유는 처음부터 높은 배율로 찾으려고 하면 초점도 안맞아 있는 상태에서 상을 찾기에는 너무 힘드므로 낮은 배율로 대략적인 상의 위치를 찾고 점점 배율을 높여가면서 상을 찾아가야 한다. 그리고 관찰 시에는 제물대를 위로 쭉 올려 놓고 천천히 내리면서 상을 찾아야 한다. 낮은 배율일 때는 상관없지만, 높은 배율일 때는 올리다보면 렌즈에 닿아 버리기에 렌즈에 닿지 않게 최대한 올려놓고 그 다음 천천히 내리면서 상의 초점을
2. 염색
이렇게 염색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그람염색법을 사용하여 염색을 한다. 염색의 원리는 사프라닌은 염기성 염색약으로 양전하를 띤다. 반면 세균의 표면은 음전하를 띤다. 따라서 음전하인 세균의 표면을 양전하를 띠는 염기성 염색약으로 염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람염색법에서 확인했듯이 단지 사프라닌으로 염색이 되었기에 E.coli, Bacillus는 그람음성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배율설정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은 낮은 배율부터 높은 배율로 배율을 올려가면서 상을 찾는데 이 이유는 처음부터 높은 배율로 찾으려고 하면 초점도 안맞아 있는 상태에서 상을 찾기에는 너무 힘드므로 낮은 배율로 대략적인 상의 위치를 찾고 점점 배율을 높여가면서 상을 찾아가야 한다. 그리고 관찰 시에는 제물대를 위로 쭉 올려 놓고 천천히 내리면서 상을 찾아야 한다. 낮은 배율일 때는 상관없지만, 높은 배율일 때는 올리다보면 렌즈에 닿아 버리기에 렌즈에 닿지 않게 최대한 올려놓고 그 다음 천천히 내리면서 상의 초점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