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욕구조사의 배경
2) 욕구조사 방법 및 주요 결과
3)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는 사회적 가치 및 당위성
4) 문제와 관련하여 핵심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욕구를 중심으로 기술
5) 욕구 해결을 위한 기존 프로그램의 한계
6)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방향성
2) 욕구조사 방법 및 주요 결과
3)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는 사회적 가치 및 당위성
4) 문제와 관련하여 핵심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욕구를 중심으로 기술
5) 욕구 해결을 위한 기존 프로그램의 한계
6)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방향성
본문내용
생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치료와 마음챙김 명상이 가미된 인지행동집단치료의 효과비교, 충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다양한 불안유발 상황에 노출시키고, 그 상황에 머물러 있도록 격려하여 불안이 감소하게 하는 노출치료 프로그램에도 한계점이 있었다. 첫째, 발표불안은 상대적으로 다른 사회불안 보다 노출 기회가 매우 적은 편이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발표를 경험할 기회는 많지 않으며 또 그러한 상황이 연출된다 하더라도 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노출연습을 할 기회가 적어진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둘째, 발표불안을 가진 사람들은 상황이 너무 위협적이고 두렵기 때문에 노출치료에 대한 참여를 거부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중도탈락률이 커질 수 있다. 실제로 이정윤(1997)의 연구에서 노출치료 집단에 속했던 참가자의 37.3%가 치료 도중 탈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노출치료가 발표불안에 변화를 가져오기는 하지만 충분한 정도는 아니었다는 연구 결과는(Mattick et al., 1989) 노출치료의 한계를 보여준다. 김송언(2013),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수용기반 노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학사논문
6)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방향성
필요성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발표에 대한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율이 23.3%로 낮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유로는 ‘자신감이 없어서’ 38%, ‘미흡한 실력으로 조원들에게 피해가 갈까봐’ 38%, ‘주목받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25%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학생 스스로의 발표에 대한 자신감 확립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매우 그렇다’에 73%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방향성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회기가 정해져서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출석률이 저조한 한계점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소극적인 참여자들을 격려하고 자신감을 고취시켜 저조한 출석률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 이다. 따라서 시각적, 청각적으로 직접 경험해보는 실습위주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발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노출치료 프로그램은 중도탈락률이 커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노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야 할 것 이다.
다양한 불안유발 상황에 노출시키고, 그 상황에 머물러 있도록 격려하여 불안이 감소하게 하는 노출치료 프로그램에도 한계점이 있었다. 첫째, 발표불안은 상대적으로 다른 사회불안 보다 노출 기회가 매우 적은 편이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발표를 경험할 기회는 많지 않으며 또 그러한 상황이 연출된다 하더라도 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노출연습을 할 기회가 적어진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둘째, 발표불안을 가진 사람들은 상황이 너무 위협적이고 두렵기 때문에 노출치료에 대한 참여를 거부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중도탈락률이 커질 수 있다. 실제로 이정윤(1997)의 연구에서 노출치료 집단에 속했던 참가자의 37.3%가 치료 도중 탈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노출치료가 발표불안에 변화를 가져오기는 하지만 충분한 정도는 아니었다는 연구 결과는(Mattick et al., 1989) 노출치료의 한계를 보여준다. 김송언(2013),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수용기반 노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학사논문
6)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방향성
필요성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발표에 대한 학생들의 주도적 참여율이 23.3%로 낮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유로는 ‘자신감이 없어서’ 38%, ‘미흡한 실력으로 조원들에게 피해가 갈까봐’ 38%, ‘주목받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25%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학생 스스로의 발표에 대한 자신감 확립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매우 그렇다’에 73%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방향성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회기가 정해져서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출석률이 저조한 한계점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소극적인 참여자들을 격려하고 자신감을 고취시켜 저조한 출석률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 이다. 따라서 시각적, 청각적으로 직접 경험해보는 실습위주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발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노출치료 프로그램은 중도탈락률이 커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노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야 할 것 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