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차 ~ 14주차까지 수업 정리
본문내용
fibrillation) : 자동제세동기(심장전기충격기)
Airway : 기도
Breathing : 호흡 / 정상성인 호흡 :
Circulation : 순환
Defibrillation : 제세동(죽기전 쇼크가하는거)
Defibrillator : 제세동기
Drug : 약물
Infant : 영아(앙팡은 영아를 뜻함)
ECG(electrocardiogram) : 심전도
Ventriculartachycardia : 심실빈맥
Ventricularfibrillation : 심실조동
2. 죽음에 관한 용어
Cardiacarrest : 심장마비
Braindeath : 뇌사
Cardiacdeath : 심장사
Vegetable state : 식물인간 / 저산소성 - 대뇌
Bospice : 호스피스 / 고통이 완화되도록 도움
Euthanasia : 안락사
DNR(Do not resuscitate) : 심폐소생술 하지마
Chest compressin : 흉부/심장 압박
Rescue breathing : 구조호흡
Rescuer : 구조자
Tracheal tube : 기관지 튜브
Nasogastric tube : 비위관 음식을 넣어줌, 공기뺌
Lung:폐
Heart:심장
CarotidArtery:경동맥, 목동맥
BrachialArtery:상완동맥, 위팔동맥
Adult,Pediatric.Infant,Neonate:성인,소아,영아,신생아
Supine:앙와위 (반듯하게 하늘을 보고 누움)
Prone:복와위 (엎어져 누워있음)
Pulse:맥박, 동맥이 지나가는 곳에 잘 잡힘
Blade:칼날
Heartattack:심장마비
Myocardiacinfarction:심근경색
Stroke:뇌졸증
Choking:질식
Cardiac massage:심장마사지
CodeRed or CodeBlue:심장마비경보
3차시 인체의 기본구조
긴급한 생명과 관계가 깊은 기관 : 뇌, 심장, 폐, 간, 콩팥
1. 체크 포인트
- 의식이 있는가 없는가
- 눈의 초점, 불빛을 통해 뇌의 상태
- 혈압 체크, 호흡 수.호흡하는 모양
- 청진을 통해 심장 상태와 폐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
2주차
1차시 정상 피부조직 및 기능
피부 : 외부 공격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 1차 방어
1. 정상 피부 조직
성인의 경우 피부는 체중의 5%를 차지하는 넓은 면적으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하여 수분과 지방, 단백질 및 무기질로 이루어짐
얇은 피부 : 눈꺼풀 1.6mm / 두꺼운 피부 : 허벅지 6mm
2. 피부의 계층
① 표피 : 무핵층(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핵증(유극층, 기저층)
② 진피 : 유두층, 망상층
③ 피하조직
* 살결 : 피부소릉(언덕부분)과 피부소구(낮은부분)의 높낮이 / 차이가 없을수록 결이 곱다.
3. 표피
- 두께가 0.03mm~1.6mm의 얇은 조직으로 혈관을 적게 포함
① 각질층 : 20 ~ 25개의 겹겹이 쌓여 가장 바깥층에 위치, 생명력이 없는 죽은 세포이다.
* 케라틴 50%, 수용액 23%, 수분 7%로 구성
* 표피의 박리현상 : 세포가 형성된 후 대략 4주가 지나면 피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가는 현상
② 투명층 : 생명력이 없는 2~3개의 층으로 손, 발바닥에 많이 분포, 엘라이딘이라는 반유동적 단백질이 수분침투를 방지하고 윤기를 부여함
③ 과립층 : 2~5개의 층으로 케라토히알린 과립이 생성되면서 각질화과정이 실제로 시작됨
④ 유극층(가시층)-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6-8개의 두터운 층으로 핵이 있으며 다세포 사이에 림프액이 있어 피부의 혈액순환과 영양공급에 관여하는 물질 대사가 이루어진다.
⑤ 기저층 진피와 경계를 이루는 물결모양의 단층이다. 중요한 역할은 새 세포형성이며 진피의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기저층의 원세포(모세포)가 상처를 입으면 세포재생이 어려워 흉터가 남는다.
* 취침 2시간 정도 경과 후
새 세포형성 활동 왕성
케라틴을 만드는 각질 형성 세포
피부색을 좌우하는 색소형 세포
4. 진피
- 표피보다 20~40배 두꺼우며 실직적인 피부
- 콜라겐과 엘라스틴 및 무코다당류로 구성
- 신체의 탄력과 윤기를 유지하는데 역할
가장 두꺼운 부분은 5mm,
① 유두층 : 솔방울 모양의 돌기는 모세혈관이 몰려있어 기저층에 영양공급, 노화되면 물결모양이 편편해지며 촉각과 통각이 있음
② 망상층 : 콜라겐과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져 과잉파열을 막음 진피층에서 가장 두꺼운 층, 세포성분과 세포간 물질로 이루어짐. 압각, 온각, 한각이 있음
5. 표피의 부속물
각질형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 랑거한스 세포(긴수뇨세포, 이물질 침입에 신체 방어반응 인지 및 중계역할외부항원을 림프구에 전달역할), 인지세포(머켈세포, 신경자극을 뇌에 전달), 색소형성세포(멜라노사이트, 기저층에 위치하며 피부색결정, 멜라닌의 양과 크기가 중요, 단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보호, 손발바닥은 티로시나아제 형성이 흰색을 띈다)
6. 피하조직
- 진피조직보다 매우 두꺼운 층으로 영양상태의 기반이 되는 저장지방으로 이루어짐
- 체형을 결정지으며 외상으로부터 내부를 보호
- 표피와 진피의 활동에 영양 보급을 하며 열의 발산을 막아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고 물을 저장하여 수분조절을 함
손바닥, 발바닥 : 탄력지방
안륜근, 구련근 : 지방조직 거의 X
* 셀룰라이트 : 평상시 운동이 부족하거나 몸에 남아 있던 노폐물과 수분이 지방세포들의 주변에 뭉치는 것
7. 피부의 기능
① 보호기관으로서의 역할
- 체온조절 기능
- 증발조절기능
- 세균 미생물의 침입 시 방어 기능
- 압력, 충격, 마찰로부터의 보호기능,
- 날씨에 의한 영향. 화학적 영향. 광선으로부터의 보호기능
② 저장기관으로서의 역할
: 표피, 진피에서는 각종 영양분과 수분 보유 장소
③ 영양분 교환기관으로서의 역할
- 물질전환의 역할, 프로비타민D가 비타민D로 전환 및 활성화가 된다.
- 지방은 물에 용해되고 탄수화물로 전환
④ 감각기관으로서의 역할
- 피부 1cm²에는 통각점 200개, 촉각점 25개, 냉각점 12개, 온각점 2개 가량 존재
- 촉각점 : 손
Airway : 기도
Breathing : 호흡 / 정상성인 호흡 :
Circulation : 순환
Defibrillation : 제세동(죽기전 쇼크가하는거)
Defibrillator : 제세동기
Drug : 약물
Infant : 영아(앙팡은 영아를 뜻함)
ECG(electrocardiogram) : 심전도
Ventriculartachycardia : 심실빈맥
Ventricularfibrillation : 심실조동
2. 죽음에 관한 용어
Cardiacarrest : 심장마비
Braindeath : 뇌사
Cardiacdeath : 심장사
Vegetable state : 식물인간 / 저산소성 - 대뇌
Bospice : 호스피스 / 고통이 완화되도록 도움
Euthanasia : 안락사
DNR(Do not resuscitate) : 심폐소생술 하지마
Chest compressin : 흉부/심장 압박
Rescue breathing : 구조호흡
Rescuer : 구조자
Tracheal tube : 기관지 튜브
Nasogastric tube : 비위관 음식을 넣어줌, 공기뺌
Lung:폐
Heart:심장
CarotidArtery:경동맥, 목동맥
BrachialArtery:상완동맥, 위팔동맥
Adult,Pediatric.Infant,Neonate:성인,소아,영아,신생아
Supine:앙와위 (반듯하게 하늘을 보고 누움)
Prone:복와위 (엎어져 누워있음)
Pulse:맥박, 동맥이 지나가는 곳에 잘 잡힘
Blade:칼날
Heartattack:심장마비
Myocardiacinfarction:심근경색
Stroke:뇌졸증
Choking:질식
Cardiac massage:심장마사지
CodeRed or CodeBlue:심장마비경보
3차시 인체의 기본구조
긴급한 생명과 관계가 깊은 기관 : 뇌, 심장, 폐, 간, 콩팥
1. 체크 포인트
- 의식이 있는가 없는가
- 눈의 초점, 불빛을 통해 뇌의 상태
- 혈압 체크, 호흡 수.호흡하는 모양
- 청진을 통해 심장 상태와 폐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
2주차
1차시 정상 피부조직 및 기능
피부 : 외부 공격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 1차 방어
1. 정상 피부 조직
성인의 경우 피부는 체중의 5%를 차지하는 넓은 면적으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하여 수분과 지방, 단백질 및 무기질로 이루어짐
얇은 피부 : 눈꺼풀 1.6mm / 두꺼운 피부 : 허벅지 6mm
2. 피부의 계층
① 표피 : 무핵층(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핵증(유극층, 기저층)
② 진피 : 유두층, 망상층
③ 피하조직
* 살결 : 피부소릉(언덕부분)과 피부소구(낮은부분)의 높낮이 / 차이가 없을수록 결이 곱다.
3. 표피
- 두께가 0.03mm~1.6mm의 얇은 조직으로 혈관을 적게 포함
① 각질층 : 20 ~ 25개의 겹겹이 쌓여 가장 바깥층에 위치, 생명력이 없는 죽은 세포이다.
* 케라틴 50%, 수용액 23%, 수분 7%로 구성
* 표피의 박리현상 : 세포가 형성된 후 대략 4주가 지나면 피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가는 현상
② 투명층 : 생명력이 없는 2~3개의 층으로 손, 발바닥에 많이 분포, 엘라이딘이라는 반유동적 단백질이 수분침투를 방지하고 윤기를 부여함
③ 과립층 : 2~5개의 층으로 케라토히알린 과립이 생성되면서 각질화과정이 실제로 시작됨
④ 유극층(가시층)-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6-8개의 두터운 층으로 핵이 있으며 다세포 사이에 림프액이 있어 피부의 혈액순환과 영양공급에 관여하는 물질 대사가 이루어진다.
⑤ 기저층 진피와 경계를 이루는 물결모양의 단층이다. 중요한 역할은 새 세포형성이며 진피의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기저층의 원세포(모세포)가 상처를 입으면 세포재생이 어려워 흉터가 남는다.
* 취침 2시간 정도 경과 후
새 세포형성 활동 왕성
케라틴을 만드는 각질 형성 세포
피부색을 좌우하는 색소형 세포
4. 진피
- 표피보다 20~40배 두꺼우며 실직적인 피부
- 콜라겐과 엘라스틴 및 무코다당류로 구성
- 신체의 탄력과 윤기를 유지하는데 역할
가장 두꺼운 부분은 5mm,
① 유두층 : 솔방울 모양의 돌기는 모세혈관이 몰려있어 기저층에 영양공급, 노화되면 물결모양이 편편해지며 촉각과 통각이 있음
② 망상층 : 콜라겐과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져 과잉파열을 막음 진피층에서 가장 두꺼운 층, 세포성분과 세포간 물질로 이루어짐. 압각, 온각, 한각이 있음
5. 표피의 부속물
각질형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 랑거한스 세포(긴수뇨세포, 이물질 침입에 신체 방어반응 인지 및 중계역할외부항원을 림프구에 전달역할), 인지세포(머켈세포, 신경자극을 뇌에 전달), 색소형성세포(멜라노사이트, 기저층에 위치하며 피부색결정, 멜라닌의 양과 크기가 중요, 단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보호, 손발바닥은 티로시나아제 형성이 흰색을 띈다)
6. 피하조직
- 진피조직보다 매우 두꺼운 층으로 영양상태의 기반이 되는 저장지방으로 이루어짐
- 체형을 결정지으며 외상으로부터 내부를 보호
- 표피와 진피의 활동에 영양 보급을 하며 열의 발산을 막아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고 물을 저장하여 수분조절을 함
손바닥, 발바닥 : 탄력지방
안륜근, 구련근 : 지방조직 거의 X
* 셀룰라이트 : 평상시 운동이 부족하거나 몸에 남아 있던 노폐물과 수분이 지방세포들의 주변에 뭉치는 것
7. 피부의 기능
① 보호기관으로서의 역할
- 체온조절 기능
- 증발조절기능
- 세균 미생물의 침입 시 방어 기능
- 압력, 충격, 마찰로부터의 보호기능,
- 날씨에 의한 영향. 화학적 영향. 광선으로부터의 보호기능
② 저장기관으로서의 역할
: 표피, 진피에서는 각종 영양분과 수분 보유 장소
③ 영양분 교환기관으로서의 역할
- 물질전환의 역할, 프로비타민D가 비타민D로 전환 및 활성화가 된다.
- 지방은 물에 용해되고 탄수화물로 전환
④ 감각기관으로서의 역할
- 피부 1cm²에는 통각점 200개, 촉각점 25개, 냉각점 12개, 온각점 2개 가량 존재
- 촉각점 : 손
추천자료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화상 기도폐쇄 코피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현황,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운영절차...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말과 수놀이학습,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문제해결협동학습...
조선대인강 생활속의 응급조치 퀴즈 및 중간고사족보 및 요약집
학습부진및장애
초등) <보건수업 계획안(기본 응급처치)> 응급 처치, 나도 할 수 있어요.
조선대학교 안영준 교수님 생활속의 응급처치 족보
2012년_1학기_생활속의_응급처치
[아동안전관리] 영유아의 안전사고 사례를 조사하고 각 사례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