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phasia>
<Apraxia>
<Agnosia >
<Apraxia>
<Agnosia >
본문내용
에 양쪽 다리를 넣게 될 것이다.
옷입기 실행증의 평가
: 옷입기 평가는 모든 기능으로 옷을 입을 수 있는가 평가하는 것이다.
①환자에게 셔츠를 입거나 벗는 것을 시키고 그의 행동을 지켜본다.
②환자가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지 혹은 올바른 소매 구멍을 어디에서 발견 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문제를 가지는가?
③환자는 그의 신체 좌측에 옷입기 무시가 있는가? (unilateral neglect)
④환자는 소매에 팔을 집어 넣는가 등 뒤로 셔츠를 놓을 수 있는가?
⑤환자가 정확하게 단추(button)들을 일직선으로 잠그지 못하는가?
이것들 모두가 옷입기실행증ㄹ 가고 있는 환자들의 어려움이며 운동기능의 마비 때문에 무능력한 것은 아니다. 옷입기와 구조적 실행증사이에는 도고의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옷기 실행증 평가에 구조적 실행증 검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옷입기 실행증 치료
①옷입기 위한 완전한 모형으로 훈련한다.
②왼쪽과 오른쪽 앞과 뒤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단서를 준다.
③버튼이 달린 셔츠 표면이 위로 가게 하고 지퍼 달린 바지 표면이 위로 가게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가 입을 때 마다 같은 방법으로 하고 옷 놓는 위치를 같게 한다.
④옷의 앞과 뒤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상표를 사용 할 수 있다.
⑤앞과 뒤나 왼쪽과 오른쪽에 작은 단추나 리본을 달아 색깔 정보를 줄 수 있다.
6.Verbal Apraxia 언어실행증
: 언어 실행증은 알기 쉬운 단어들을 조직하고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근육에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이것이 근육들이 손상되고 발화(speech)가 똑똑하지 않게 빨리발음(slurred)하는것과 구음장애(dyarthria)와의 차이점이 있다. 언어적 실행증 환자들은 씹기(Chewing), 삼키기(Swallowing)과 같은 자동적인 행동에 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청시 혀를 내밀 수 없다. 이것은 운동계획(motor planning)문제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왼쪽 뇌반구의 전두엽의 손상으로부터 오는 결과이다.
7.Developmental Apraxia 발달관련 실행증
: 아동에 있어서 소동작과 대동작의 수행이 어렵다.
8.Akinesia of Dyskinesia 운동불능
: 감소된 운동과 정신적 자발성의 병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환자는 조용히 앉아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하고 초조한 병적인 상태이다
9.Sequental Apraxia 순서 실행증
: 일을 수행할 때 필요한 행동의 순서를 체계화하는 능력이 결손된 것이다.
10.Kinetic Apraxia
: 손목이나 손가락과 같은 지절의 한 부분을 협응하는 능력이 결손된 것이다. (대부분 2가지가 함께 일어날 수 있다.)
Reference
최혜숙 외. 작업치료학 6판. 현문사 2011.
박지환 외. 일상생활활동-생활환경과 여가활동. 현문사 2010.
이한석 외. 임상작업치료 평가 제2판 . 계축문화사 2011.
Agnosia 정의
실인증은 감각에 의해 인지되는 친숙한 물체에 대한 인식의 결핍을 나타낸다.
실인증이 있는 환자는 감각장애나 의식장애를 가지고 있지 앉는데 보거나 듣거나 만지는 등의 특정 감각경로를 거쳐 깨달은 대상이 무엇인지 인지하지 못한다.
Agnosia 종류
1.시각실인증(visual agnosia)
기초시각기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자극을 인식하지 못함.
2.청각실인증(auditory agnosia)
소리가 들리는 것은 인지하지만. 그 소리의 의미를 알지 못함.
3.촉각실인증(tactile agnosia)
눈을 가리고 물체를 만지게 했을때 이를 인지하지 못함. 외상에 의한 두정엽의 손상~
4.얼굴실인증(prosopagnosia)
유명인이나 가족등 과거에 잘 알고 있던 얼굴을 인지 못함.
시각실인증의 하나의 형태이며, 사람 말 소리 또는 발소리등으로 식별하고자 하게 된다.
우측의 후두엽을 중심으로 손상시.
5.색실인증(color agnosia)
같은 색깔의 물건을 나란히 배여할 수 있지만 색의 이름을 말하지 못함.
6.질병실인증(anosagnosia)
자신의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불완전마비(hemiparesis)나 신체 한쪽의 감각소실이 있는 환자에게 질병 실인증이 나타나 면 신체의 마비 증상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대게 오른쪽 두정엽에 병적인 증상이 있을때 왼쪽 팔다리의 증상을 인식하지 못하는 형태 로 나타난다. 좌측 반신마비가 있는 환자에게 \" 팔 다리가 움직여지지 않는 곳이 있습니 다?\" 라고 질문하면 “없어요“ 또는 다 잘 움직여요~ 라고 대답하는 것.
Agnosia 평가
1) visual agnosia평가
- 형태인식 검사
도구: 형태 보드(form board), 형태카드
- LOTCA의 물건 인식
환자아게 8가지의 일상적인 물건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주고 각 물체의 이름을 말하게 한다.
2) 입체 감각 인식의 평가
일반 물건을 확인하고 그것의 촉각적 성질을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
3) color agnosi평가
정확하게 채색된 두 가지 일반 물건들과 정확하게 채색되지 않은 두 가지 물건들을 제공한 다. 정확하게 채색되지 않은 물건들을 집으라고 요청한다.
4) prosopagnosia평가
TFRT(Test of Facial Recognition Test)가유용. 이것은 다양한 조명 상태에서 전면과 가쪽 보기로 제공되는 여러개의 얼굴매칭을 제공하여 동일한 것을 짝 맞추게 한다.
5)auditory agnosia평가
Agnosia 치료
- 원하는 사물을 구하고 찾기 위해 입체 감각지각 같은 정상 감각을 이용하도록 가르치고 일관된 장소에서 머리빗과 같이 흔하게 사용하는 물체를 두는 적응적 방법 혹은 보상법에 초첨을 맞춘다.
- 교정적 접근법은 환자가 과제수행 동안 비언어적, 촉각 운동감각 가이드를 이용하거나, 과제수행에 필요한 물체를 구분하는 훈련을 포함한다.
Reference
최혜숙 외. 작업치료학 6판. 현문사 2011.
박지환 외. 일상생활활동-생활환경과 여가활동. 현문사 2010.
이한석 외. 임상작업치료 평가 제2판 . 계축문화사 2011.
옷입기 실행증의 평가
: 옷입기 평가는 모든 기능으로 옷을 입을 수 있는가 평가하는 것이다.
①환자에게 셔츠를 입거나 벗는 것을 시키고 그의 행동을 지켜본다.
②환자가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지 혹은 올바른 소매 구멍을 어디에서 발견 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문제를 가지는가?
③환자는 그의 신체 좌측에 옷입기 무시가 있는가? (unilateral neglect)
④환자는 소매에 팔을 집어 넣는가 등 뒤로 셔츠를 놓을 수 있는가?
⑤환자가 정확하게 단추(button)들을 일직선으로 잠그지 못하는가?
이것들 모두가 옷입기실행증ㄹ 가고 있는 환자들의 어려움이며 운동기능의 마비 때문에 무능력한 것은 아니다. 옷입기와 구조적 실행증사이에는 도고의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옷기 실행증 평가에 구조적 실행증 검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옷입기 실행증 치료
①옷입기 위한 완전한 모형으로 훈련한다.
②왼쪽과 오른쪽 앞과 뒤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단서를 준다.
③버튼이 달린 셔츠 표면이 위로 가게 하고 지퍼 달린 바지 표면이 위로 가게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가 입을 때 마다 같은 방법으로 하고 옷 놓는 위치를 같게 한다.
④옷의 앞과 뒤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상표를 사용 할 수 있다.
⑤앞과 뒤나 왼쪽과 오른쪽에 작은 단추나 리본을 달아 색깔 정보를 줄 수 있다.
6.Verbal Apraxia 언어실행증
: 언어 실행증은 알기 쉬운 단어들을 조직하고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근육에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이것이 근육들이 손상되고 발화(speech)가 똑똑하지 않게 빨리발음(slurred)하는것과 구음장애(dyarthria)와의 차이점이 있다. 언어적 실행증 환자들은 씹기(Chewing), 삼키기(Swallowing)과 같은 자동적인 행동에 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청시 혀를 내밀 수 없다. 이것은 운동계획(motor planning)문제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왼쪽 뇌반구의 전두엽의 손상으로부터 오는 결과이다.
7.Developmental Apraxia 발달관련 실행증
: 아동에 있어서 소동작과 대동작의 수행이 어렵다.
8.Akinesia of Dyskinesia 운동불능
: 감소된 운동과 정신적 자발성의 병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환자는 조용히 앉아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하고 초조한 병적인 상태이다
9.Sequental Apraxia 순서 실행증
: 일을 수행할 때 필요한 행동의 순서를 체계화하는 능력이 결손된 것이다.
10.Kinetic Apraxia
: 손목이나 손가락과 같은 지절의 한 부분을 협응하는 능력이 결손된 것이다. (대부분 2가지가 함께 일어날 수 있다.)
Reference
최혜숙 외. 작업치료학 6판. 현문사 2011.
박지환 외. 일상생활활동-생활환경과 여가활동. 현문사 2010.
이한석 외. 임상작업치료 평가 제2판 . 계축문화사 2011.
Agnosia 정의
실인증은 감각에 의해 인지되는 친숙한 물체에 대한 인식의 결핍을 나타낸다.
실인증이 있는 환자는 감각장애나 의식장애를 가지고 있지 앉는데 보거나 듣거나 만지는 등의 특정 감각경로를 거쳐 깨달은 대상이 무엇인지 인지하지 못한다.
Agnosia 종류
1.시각실인증(visual agnosia)
기초시각기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자극을 인식하지 못함.
2.청각실인증(auditory agnosia)
소리가 들리는 것은 인지하지만. 그 소리의 의미를 알지 못함.
3.촉각실인증(tactile agnosia)
눈을 가리고 물체를 만지게 했을때 이를 인지하지 못함. 외상에 의한 두정엽의 손상~
4.얼굴실인증(prosopagnosia)
유명인이나 가족등 과거에 잘 알고 있던 얼굴을 인지 못함.
시각실인증의 하나의 형태이며, 사람 말 소리 또는 발소리등으로 식별하고자 하게 된다.
우측의 후두엽을 중심으로 손상시.
5.색실인증(color agnosia)
같은 색깔의 물건을 나란히 배여할 수 있지만 색의 이름을 말하지 못함.
6.질병실인증(anosagnosia)
자신의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불완전마비(hemiparesis)나 신체 한쪽의 감각소실이 있는 환자에게 질병 실인증이 나타나 면 신체의 마비 증상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대게 오른쪽 두정엽에 병적인 증상이 있을때 왼쪽 팔다리의 증상을 인식하지 못하는 형태 로 나타난다. 좌측 반신마비가 있는 환자에게 \" 팔 다리가 움직여지지 않는 곳이 있습니 다?\" 라고 질문하면 “없어요“ 또는 다 잘 움직여요~ 라고 대답하는 것.
Agnosia 평가
1) visual agnosia평가
- 형태인식 검사
도구: 형태 보드(form board), 형태카드
- LOTCA의 물건 인식
환자아게 8가지의 일상적인 물건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주고 각 물체의 이름을 말하게 한다.
2) 입체 감각 인식의 평가
일반 물건을 확인하고 그것의 촉각적 성질을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
3) color agnosi평가
정확하게 채색된 두 가지 일반 물건들과 정확하게 채색되지 않은 두 가지 물건들을 제공한 다. 정확하게 채색되지 않은 물건들을 집으라고 요청한다.
4) prosopagnosia평가
TFRT(Test of Facial Recognition Test)가유용. 이것은 다양한 조명 상태에서 전면과 가쪽 보기로 제공되는 여러개의 얼굴매칭을 제공하여 동일한 것을 짝 맞추게 한다.
5)auditory agnosia평가
Agnosia 치료
- 원하는 사물을 구하고 찾기 위해 입체 감각지각 같은 정상 감각을 이용하도록 가르치고 일관된 장소에서 머리빗과 같이 흔하게 사용하는 물체를 두는 적응적 방법 혹은 보상법에 초첨을 맞춘다.
- 교정적 접근법은 환자가 과제수행 동안 비언어적, 촉각 운동감각 가이드를 이용하거나, 과제수행에 필요한 물체를 구분하는 훈련을 포함한다.
Reference
최혜숙 외. 작업치료학 6판. 현문사 2011.
박지환 외. 일상생활활동-생활환경과 여가활동. 현문사 2010.
이한석 외. 임상작업치료 평가 제2판 . 계축문화사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