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컴퓨터 레포트(4)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이크로컴퓨터 레포트(4)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PU의 내부구조

2. CPU의 ALU의 동작 순서

3. CPU의 계산 순서와 Instruction Cycle

4. CPU 내부의 Registers의 기능

5. CPU 내부의 Control Unit

6. 레포트를 쓰고 나서...

본문내용

1110
STORE 14
100
불러온 데이터 \"A\"를 13번지에 기억
001
0
001101
LOAD 13
101
\"A\"를 14번지의 수와 덧셈
011
0
001110
ADD 14
110
15번지에 결과 값 \"A\"를 기억
010
0
001111
STORE 15
111
계산 종료
111
0
000000
HALT
-Machine code : 명령어를 2진수로 바꿔 표현 한다.
-Assembly code : 줄여서 사용하는 명령어 코드이다.
● Assembly Program(Mnemonic code)
-조립 프로그램으로써 함축적 코드라고도 한다. Assembly Program의 종류는 4가지로 표현되는데, Address와 같은 자리인 Label, 명령어를 나타내는 Op-code, registers나 data가 명령어 동작 대상인 Operand, 그리고 “;“ 뒤쪽에 변역을 하지 않는 Comments가 있다.
●명령어의 종류
-명령어의 종류로는 CISC chip과 RISC chip으로 분류된다.
-CISC chip : 종류가 다양하지만 명령어가 복잡하고 하드웨어로 만들어 가격이 비싸다.
-RISC chip : 명령어가 몇 개 안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가격이 저렴하다.
● Arithmetic Logic Unit의 동작 순서
Program Counter가 가리키는 내용이 Address Bus에서 Memory의 번지로 지정된다.
명령어가 registers에 들어온다.
Program Counter가 1씩 증가한다.
실행이 되고 명령어가 동작한다.
● Instruction Cycle
-Instruction Cycle에는 명령어 Cycle로써 2가지 종류로 나누어 진다. 첫 번째로는 Fetch Cycle(호출 Cycle)이다. Fetch Cycle은 위의 과 같이 불러들이는 동작을 하는 Cycle이고, 두 번째로는 Execution Cycle이다. Execution Cycle은 위의 와 같이 실행하는 Cycle로써 실행이 되고 명령어가 동작한다.
4. CPU 내부의 Registers의 기능
-Registers는 순간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Special purpose registers과 General purpose registers로 나누어진다.
·Special purpose registers
-Program Counter(PC), 누산기, Flag, Instruction registers등 이처럼 이름을 가진 registers이다.
·General purpose registers
-B, C, D, E, H, L처럼 이름이 없는 순서대로나, Data Memory 또는 RAM address registers인 registers이다.
5. CPU 내부의 Control Unit
-Control Unit은 클락 신호에 따라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Control Unit은 2진수인 명령어를 해석하여 동작을 하고,
명령어에 따라 어떤 신호가 동작 할 건지 제어한다. 또한 주변장치에 신호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6. 레포트를 쓰고 나서...
-레포트를 쓰고 나서 microcomputer 안의 CPU의 내부에 대해 배웠습니다. CPU의 내부구조에는 Arithmetic Logic Unit, Registers, Control Unit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Arithmetic Logic Unit은 2개의 데이터 사이에서 연산하며 A와 B가 각 각 4비트이면 결과 값이 4비트가 나오고 16비트이면 결과 값이 16비트가 나와서 결과 값 R이 다시 A로 가서 기억되는 것이 누산기라고 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이렇게 기억되는 곳인 Flag / State registers(상태레지스터)에는 Z(zero), C(carry), V(overflow)의 값을 저장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Registers는 이름이 있는 Special purpose registers와 B, C, D, E, H, L처럼 이름이 없는 순서대로 General purpose registers를 배웠습니다. Control Unit은 클락 신호에 따라 CPU의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한번 더 복습하게 되어 좋았습니다.
전 시간에는 CPU의 외부구조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시간에는 CPU의 내부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CPU의 외부와 내부구조를 알게 되어 CPU라는 장치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전자,   전기,   컴퓨터,   마이컴,   공학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2.0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