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검사(Hematology)
1) WBC Count (백혈구 수치)
2) HB(hemoglobin)
3) HT (헤마토크리트)-전체 혈액속 적혈구의 백분율
4) Platelet count, PLT ( 혈소판 )
5)적혈구 수 (RBC)
2. Chest PA Lat(Chest X-ray)
3. EKG(심전도 검사)
1) WBC Count (백혈구 수치)
2) HB(hemoglobin)
3) HT (헤마토크리트)-전체 혈액속 적혈구의 백분율
4) Platelet count, PLT ( 혈소판 )
5)적혈구 수 (RBC)
2. Chest PA Lat(Chest X-ray)
3. EKG(심전도 검사)
본문내용
혈구수의 감소
- 출혈
- 용혈
- 영양소 결핍 (철분 또는 비타민 B12의 부족)
- 유전적 이상 (겸상 적혈구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 약물 섭취
- 골수부전
- 만성 질환 (종양 또는 패혈증)
- 다른 장기부전(신장질환)
② 적혈구의 증가
적혈구의 증가는 높은 고도에서와 같이 신체의 산소요구량이 증가 될 때에는 생리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선천성 심질환과 같은 만성 무산소증에서도 이런 생리적인 적혈구 증가가 나타난다. 다적혈구혈증은 적혈구 생성이 과다한 상태로 일종의 신생물 형성의 결과이다.
2. Chest PA Lat(Chest X-ray): Both side pleural effusion with fluid shifting
-검사 목적:
주로 이학적 검사와 환자의 증상을 듣고 난후 의심되는 부위를 focus해서 검사를 하게 된다
병이 의심되면 검사를 하는데, 그중 한가지가 CT와 같은 영상 의학적 검사이다. 영상의학적 검사는 눈으로 직접 병변을 볼수있고, 병변이 어느정도까지 심 각한지를 판단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경우가 많아서이다.
-검사방법:
흔히 서 있는 자세로 촬영하지만, 앉거나 누워서 촬영할 수도 있다. 촬영기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촬영하는 동안 대부분 방사선사의 지시에 따라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참은 상태에서 촬영한다. 보통 후전면과 측면 등 1~2장을 촬영한다.
가슴사진을 posterior to anterior로 가슴을 대고 찍는 방법이다.(x-ray beam이 뒤에서 앞으로 통과)
chest Rt. Lat는 chest right lateral로 오른쪽 측면에서 찍는 방법으로
가슴 오른쪽 부위를 판쪽에 대고 반대쪽,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엑스레이가 통과하도록
옆으로 서서 팔을 들고 찍는 방법이다.
3. EKG(심전도 검사)
-검사 목적:
심장의 기능과 건강, 그리고 정상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됨. 생리학적 이해를 통하여 진단 할 수 있는 심장의 부정맥을 확인하는 데 가장 쉽고 정확한 방법.
-검사 방법:
심근(心筋 : 심장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조직)의 수축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적 변화를 곡선으로 기록. 러닝머신과 비슷하게 생긴, 바닥에 벨트가 구르는 뜀틀 위에서 처음에는 천천히, 점차 빠르게 걷거나 뛰면서 검사한다. 운동하는 동안 계속 심전도를 모니터링하고 혈압을 재면서 검사한다.
검사 시간은 준비 및 검사를 합쳐서 1시간 또는 그 미만이다.
- 출혈
- 용혈
- 영양소 결핍 (철분 또는 비타민 B12의 부족)
- 유전적 이상 (겸상 적혈구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 약물 섭취
- 골수부전
- 만성 질환 (종양 또는 패혈증)
- 다른 장기부전(신장질환)
② 적혈구의 증가
적혈구의 증가는 높은 고도에서와 같이 신체의 산소요구량이 증가 될 때에는 생리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선천성 심질환과 같은 만성 무산소증에서도 이런 생리적인 적혈구 증가가 나타난다. 다적혈구혈증은 적혈구 생성이 과다한 상태로 일종의 신생물 형성의 결과이다.
2. Chest PA Lat(Chest X-ray): Both side pleural effusion with fluid shifting
-검사 목적:
주로 이학적 검사와 환자의 증상을 듣고 난후 의심되는 부위를 focus해서 검사를 하게 된다
병이 의심되면 검사를 하는데, 그중 한가지가 CT와 같은 영상 의학적 검사이다. 영상의학적 검사는 눈으로 직접 병변을 볼수있고, 병변이 어느정도까지 심 각한지를 판단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경우가 많아서이다.
-검사방법:
흔히 서 있는 자세로 촬영하지만, 앉거나 누워서 촬영할 수도 있다. 촬영기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촬영하는 동안 대부분 방사선사의 지시에 따라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참은 상태에서 촬영한다. 보통 후전면과 측면 등 1~2장을 촬영한다.
가슴사진을 posterior to anterior로 가슴을 대고 찍는 방법이다.(x-ray beam이 뒤에서 앞으로 통과)
chest Rt. Lat는 chest right lateral로 오른쪽 측면에서 찍는 방법으로
가슴 오른쪽 부위를 판쪽에 대고 반대쪽,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엑스레이가 통과하도록
옆으로 서서 팔을 들고 찍는 방법이다.
3. EKG(심전도 검사)
-검사 목적:
심장의 기능과 건강, 그리고 정상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됨. 생리학적 이해를 통하여 진단 할 수 있는 심장의 부정맥을 확인하는 데 가장 쉽고 정확한 방법.
-검사 방법:
심근(心筋 : 심장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조직)의 수축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적 변화를 곡선으로 기록. 러닝머신과 비슷하게 생긴, 바닥에 벨트가 구르는 뜀틀 위에서 처음에는 천천히, 점차 빠르게 걷거나 뛰면서 검사한다. 운동하는 동안 계속 심전도를 모니터링하고 혈압을 재면서 검사한다.
검사 시간은 준비 및 검사를 합쳐서 1시간 또는 그 미만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