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고전의이해, 공통) 교재(2021)에서 동양의 고전을 다룬 장을 하나 골라서 지은이 소개부터 본문 및 원문의 내용을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시오.(박지원의 연암집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양고전의이해, 공통) 교재(2021)에서 동양의 고전을 다룬 장을 하나 골라서 지은이 소개부터 본문 및 원문의 내용을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시오.(박지원의 연암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박지원 『연암집』의 요약 및 독후감

1. 지은이(연암 박지원) 소개
2. 박지원 『연암집』 의 요약
3. 박지원 『연암집』의 독후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며 바람직한 우도(友道)를 제시해서 당대의 시대상으로 보아 가장 혁신적인 것은 계급의식의 타파에 있고, 벗을 사귀는 데에서 신분의 차이는 고려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고자 했다. 선귤자는 소외된 천민계층의 인물 가운데서 청렴한 인격의 소유자인 예덕선생을 발견하고 그를 존경한다는 말로 새로운 인간상,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시한 것이다.
6) 민옹전
실존 인물인 민유신(閔有信)의 전기로, 능력은 있으나 불우하게 인생을 마친 그의 삶을 통해 당시의 세태를 풍자한 소설로 실존 인물인 민유신(閔有信)이 죽은 뒤에 그가 남긴 몇 가지 일화와 작자 스스로 민유신을 만나 겪었던 일들을 엮고 뇌를 붙인 전기(傳記)이다. 「민옹전」은 유능한 재주와 포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펼 수 없는 조선 말기의 무반(武班)계통을 풍자적으로 설정해, 불우한 무관이었던 민옹을 그린 것이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인정과 기미를 날카롭게 파헤쳤으며, 작자의 실학적 인도주의의 바탕을 엿보게 한다.
7) 김신선전
작가가 김홍기(金弘基)란 이름의 김신선(金神仙)의 존재에 매력을 느끼고 그를 만나기 위해 끈질기게 추적하나 끝내 만나지 못한다는 내용의 소설로 김신선은 곡식을 먹지 않고 면벽해서 수양한 결과 몸이 가벼워져 국내 명산을 두루 찾아다닌 특이한 인물이다. 이 작품은 이러한 김신선의 존재에 많은 관심과 매력을 느꼈던 작가가 그를 만나보려고 끈질기게 추적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여항인들을 통하여 김신선이 같은 여항인으로 세상을 피해 자유롭게 살아가는 인물임을 알게 되며, 김신선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서울의 도시적 풍경과 여항인의 생활 모습이 여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8) 우상전
박학다재한 우상 이언진이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탁월한 문장 실력으로 운아 선생(雲我先生)이라는 칭호까지 받았으나, 불우한 인생을 보내다가 죽을 때 자신의 저서를 불태워 버렸다는 내용으로, 조정의 인재 등용 실책과 자기만족에 도취해 핍박한 생활을 한 양반학자를 풍자한 소설로 통역관으로 문장을 잘 했던 우상 이언진을 그린 작품이다. 우상은 역관의 미천한 신분이지만, 그의 뛰어난 문장은 결코 버릴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그와 같은 인물이 널리 알려지지 않음을 안타까이 여겨 그를 그린 것이다. 연암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사람을 사귈 때에 계급을 초월하여 재능이 있는 자를 아끼고 우정을 쌓는 모습을 알 수 있다.
9) 마장전
말 거간꾼들의 입을 빌려 친구 사귀기의 어려움을 말하면서, 군자로 행세하던 당시의 문인과 학자들의 친구 사귀는 도리가 위선적이고 극도로 부패하여 말 거간꾼만도 못하다는 것을 풍자한 소설인「마장전」은 서울의 하류층 인물인 세 사람을 등장시켜 당시 ‘군자의 사귐’을 비판한다. 연암 박지원은 자서(自序)에서 “붕우의 도리가 오륜(五倫)의 맨 끝에 놓인 것은 소홀히 한 것이거나 낮게 본 것이 아니다. 위선과 거짓으로 사람을 사귀는 양반들의 사귐을 ‘군자의 사귐’이라고 하면서 세 걸인이 그를 비웃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끝맺음으로써 풍자 효과를 극대화했다.
10) 열녀 함양 박씨전
남편을 잃고 3년 상을 마친 후 음독 자살을 한 박씨 부인의 절의를 그린 소설로 연암 박지원은 열녀 박씨를 기리면서 박씨와 같은 행위를 두고 열을 지키기에 얼마나 피눈물 나는 극기가 필요한가를 그 반대의 경우를 들어 그 지나침을 풍자했다. 박씨의 순절을 완곡히 비판하면서 그러한 행위가 만연하는 사회적 풍조, 나아가 과부의 개가를 금지시킨 사회제도에까지 비판을 확대했다.
※ 참고문헌
류종렬 외,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박지원 저, 연암집 상, 돌베개, 2007
박지원 저, 연암집 하, 돌베개, 2007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3.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