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포유동물 세포기관 배양 (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8 포유동물 세포기관 배양 (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재료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및 묘사
7. 고찰
8. 참고자료

본문내용

.
3) 부신을 한 개씩 각 well에 넣고 30분 동안 pre-incubation 한다.
4) 조직을 새로운 media에 옮겨 1시간 동안 main-incubation 한다.
5) 배양이 끝난 후 배양액을 e-tube에 모아 HPLC 장치로 부신의 분비능을 확인한다.
6. 실험 결과 및 묘사
1) HPLC 결과 그래프를 standard 그래프와 비교하여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 peak를 확인한다.
standard의 그래프를 보면 약7분 58초에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었고 약9분 35초 에피네프린이 분비되었다. 따라서 7~8분대에 Peak를 기록한 물질이 노르에피네프린이고 9~10분에 peak를 기록한 물질은 에피네프린이라고 볼 수 있다.
Fig. 1. HPLC 결과 그래프 (RPMI 1640 media)
동물세포를 장기간 배양하기위한 RPMI 1640에서의 그래프에서는 노르에프네프린이라느 물질이 약7분33초에 111326라는 높이의 peak를 보였고 약11분17초에 에피네프린이 66862이라는 높이의 peak를 보인다.
Fig. 2. HPLC 결과 그래프 (RPMI 1640+NP)
동물세포를 장기간 배양하기위한 RPMI 1640 배양액에 환경호르몬 물질인 NP(노닐페놀)d이라는 물질을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약 7분34초에 노르에프네프린이 110109인 높이의 peak를 찍었고 에프네프린 물질은 약 11분17초에 62976의 높이를 기록했다.
RPMI 1640 배양액 실험에 사용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standard의 수치를 이용해야한다. 2.5ug 의 에피네프린은 1565423의 높이를 기록했다. 필자의 실험의 Xug의 에피네프린을 사용하여 66862의 peak가 나왔다. 비례식을 이용해 보면
2.5(ug)= 1565423: X(ug)= 66862 이다.
이를 계산하면 X는 약 0.106이란 값이 나온다.
이런식으로 RPMI 1640 배양액에서의 사용된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을 확인해보면
2.5(ug)= 1568459: X(ug)= 111326 이다.
이를 계산하면 X는 약 0.177이란 값이 나온다.
이를 통하여 필자의 실험에 사용된 노르에피네프린은 0.177ug이고 에피네프린은 0.106ug이다.
2) 분비된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의 양을 비교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처리한 배양액에 배양되었을 때 부신의 분비 기능이 어떻게 변했는지 서술한다.
필자의 실험에 사용된 장애물질은 노닐페놀이다. 일단 노닐페놀에 대하여 알바본다면 노닐페놀은 페놀에 탄소수가 9개인 분자사슬이붙은 화합물로 무색 또는 옅은 황색의 끈적끈적한 액체이며, 이 노닐페놀을 원료로 생성된 것이 NPEs이다.
노닐페놀은 대부분 계면활성제로 이용되는 NPEs의 원료로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란 손에 사는 미생물을 연구할 때 조사한 물질로써 기름과 물을 섞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주로 주방용 세정제, 세척제, 세안제, 삼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 밖에 에폭시 수지 및 페인트 첨가제, 인쇄 잉크의 재료, 산화방지제의 원료, 페놀수지용 적층판의 원료로 사용된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작용 기전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정상호르몬처럼 작용하는 장애물질이 있따 이러한 장애물질은 생체내 호르몬처럼 표적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정상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그러한 물질로써는 DES, 비스페놀A, PCB, 노닐페놀, 프탈레이트에스테르 등 (에스트로젠 유사체로 작용) 필자가 진행한 실험에서사용된 장애물질도 정상호르몬처럼 작용하는 장애물질을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노닐페놀을 넣은 배양액에서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모두 정상배양액보다 적게 분비가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4.01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