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에어 소개
2. 진에어 경쟁우위 및 핵심역량
3. 진에어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4. 진에어 향후전략제시
2. 진에어 경쟁우위 및 핵심역량
3. 진에어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4. 진에어 향후전략제시
본문내용
-제주 왕복 이용권을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가 진행된 바 있다. 또한 SNS의 대표적인 페이스 북을 통해 좋아요를 누르면 진 에어 그린콘서트 표를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SNS 프로모션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는 요즘 진에어도 동참하고 있다.
(4) 포지셔닝전략
진에어는 누구나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가격을 제공하는 항공사로 소비자들에게 자사의 항공상품을 부각시키고 있다. 가격에 민감한 20-30대를 타깃으로 정했기 때문에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에 비해 가격이 낮은 저가항공사이지만 다른 저가항공사에 비해 서비스 품질이 좋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가항공사 가운데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진에어 향후전략제시
저가항공사의 이용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산은 많다. 국내 저가항공사들이 해외로 진출을 하듯이, 해외 저가항공사들의 국내 진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아시아 최대 저가항공사인 말레이시아의 에어아시아도 인천∼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취항했으며, 올해는 일본 2위 항공사인 전일본공수가 저가항공사를 설립, 한국과 중국을 잇는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고 중국 저가항공사인 춘추항공도 인천 취항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저가항공사들도 글로벌 경쟁력을 준비해야 할 때다. 이렇게 해외 저가항공사들이 들어오지만, 국내 저가항공사들이 국제선은 점유율은 늘었다고 하지만 그 점유율은 너무 미비하다. 평균 2시간 이내 거리인 한중일 노선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운임을 비교하면 대략 저가항공사는 60-70%대 정도로 형성 되어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을 잇는 노선이 해마다 여객이 크게 늘어나는 황금시장이라는 점에서 각국의 항공사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저가항공사들의 국제선 노선을 확대해 항공 산업의 파이를 키워야 한다.
현재 부정기편 형태로 중국에 몇 개 노선에 취항하고 있는 진에어는 정기편 노선을 확보 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국 항공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한-중 노선의 경쟁강도가 치열하고 항공사들의 수익구조가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뚜렷한 대책 없이 방관하고 있을 시장이 아닌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도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메이저 도시의 공항은 대형 항공사들의 슬롯이 꽉 차 있기 때문에 진에어와 같은 저가 항공사의 취항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제 2 거점도시 등을 타겟으로 하여 취항지를 결정해야 한다.
(4) 포지셔닝전략
진에어는 누구나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가격을 제공하는 항공사로 소비자들에게 자사의 항공상품을 부각시키고 있다. 가격에 민감한 20-30대를 타깃으로 정했기 때문에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에 비해 가격이 낮은 저가항공사이지만 다른 저가항공사에 비해 서비스 품질이 좋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가항공사 가운데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진에어 향후전략제시
저가항공사의 이용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산은 많다. 국내 저가항공사들이 해외로 진출을 하듯이, 해외 저가항공사들의 국내 진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아시아 최대 저가항공사인 말레이시아의 에어아시아도 인천∼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취항했으며, 올해는 일본 2위 항공사인 전일본공수가 저가항공사를 설립, 한국과 중국을 잇는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고 중국 저가항공사인 춘추항공도 인천 취항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저가항공사들도 글로벌 경쟁력을 준비해야 할 때다. 이렇게 해외 저가항공사들이 들어오지만, 국내 저가항공사들이 국제선은 점유율은 늘었다고 하지만 그 점유율은 너무 미비하다. 평균 2시간 이내 거리인 한중일 노선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운임을 비교하면 대략 저가항공사는 60-70%대 정도로 형성 되어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을 잇는 노선이 해마다 여객이 크게 늘어나는 황금시장이라는 점에서 각국의 항공사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저가항공사들의 국제선 노선을 확대해 항공 산업의 파이를 키워야 한다.
현재 부정기편 형태로 중국에 몇 개 노선에 취항하고 있는 진에어는 정기편 노선을 확보 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국 항공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한-중 노선의 경쟁강도가 치열하고 항공사들의 수익구조가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뚜렷한 대책 없이 방관하고 있을 시장이 아닌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도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메이저 도시의 공항은 대형 항공사들의 슬롯이 꽉 차 있기 때문에 진에어와 같은 저가 항공사의 취항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제 2 거점도시 등을 타겟으로 하여 취항지를 결정해야 한다.
추천자료
진에어의 성공요인과 나아갈 방향
여행정보제공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저가항공시장분석,제주항공사례,제주항공경영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실용항공사 진에어 (저가항공사,저가항공사 성공및 실패사례, 시장현황, 진에어 마케팅전략)
아시아나항공(Asiana Airlines) 서비스마케팅 성공사례분석 및 타항공사 서비스마케팅전략과 ...
티웨이 ( t’way ) 항공 기업 분석 및 경영전략
에어비앤비(Airbnb)의 성공전략 분석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진에어 기업분석* 진에어 SWOT,STP분석및 마케팅,경영전략사례분석* 진에어 향후운영전략제언...
제주항공 기업 경영전략분석과 SWOT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