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록 하고, 다시
소리굽쇠를 진동시켜 첫 번째의 공명지점 를 찾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를 구한다.
(4) 수면을 더 낮추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두 번째 공명
지점 을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을 구한다.
(* 이때 소리굽쇠의 진동이 약해지면 수시로 때려
가면서 다시 진동하게 만든다 ! )
(5) 만약, 유리관의 길이가 충분하면, 세 번째의 공명 지점
를 찾아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를 구한다.
(6) ① 과정 (4)까지의 실험에서 반파장의 길이 는 이므로,
파장 이다.
② 과정 (5)까지의 실험을 하였다면, 반파장의 길이 는 과 가 되므로
그들의 평균값을 취한다. 따라서, 파장 이다.
(7) 소리굽쇠의 진동수 를 기록한다. (대부분 소리굽쇠의 옆면에 써있다.)
(8) 실험시의 온도 를 측정한다.
(9) 실온 때의 음속 를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10) 위의 측정값으로 때의 음속 를 식 (5)에서 계산한다.
3. 측정값
소리굽쇠 진동수 ( Hz )
601 Hz
실 온 ( )
27 C
오차
- 공명지점의 길이 : ± 0.05cm
측정 회수
공명 지점(cm)
1
2
3
4
5
평균
86.7
85.7
86.4
87
87.3
86.62
45.8
49.2
47.5
46.7
48.3
47.5
30.4
29.7
30.6
28.9
31.2
30.16
4. 결과
(1) -> 파장 에 의해 공명지점의 평균값을 대입해 파장의 실험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의 실험값은 56.47 (cm)
(2) 식을 통해 음속을 계산할 수 있다.
-> ()때 음속 계산
-> 실험실의 온도가 27일
소리굽쇠를 진동시켜 첫 번째의 공명지점 를 찾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를 구한다.
(4) 수면을 더 낮추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두 번째 공명
지점 을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을 구한다.
(* 이때 소리굽쇠의 진동이 약해지면 수시로 때려
가면서 다시 진동하게 만든다 ! )
(5) 만약, 유리관의 길이가 충분하면, 세 번째의 공명 지점
를 찾아 5회 측정하여 그 평균 를 구한다.
(6) ① 과정 (4)까지의 실험에서 반파장의 길이 는 이므로,
파장 이다.
② 과정 (5)까지의 실험을 하였다면, 반파장의 길이 는 과 가 되므로
그들의 평균값을 취한다. 따라서, 파장 이다.
(7) 소리굽쇠의 진동수 를 기록한다. (대부분 소리굽쇠의 옆면에 써있다.)
(8) 실험시의 온도 를 측정한다.
(9) 실온 때의 음속 를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10) 위의 측정값으로 때의 음속 를 식 (5)에서 계산한다.
3. 측정값
소리굽쇠 진동수 ( Hz )
601 Hz
실 온 ( )
27 C
오차
- 공명지점의 길이 : ± 0.05cm
측정 회수
공명 지점(cm)
1
2
3
4
5
평균
86.7
85.7
86.4
87
87.3
86.62
45.8
49.2
47.5
46.7
48.3
47.5
30.4
29.7
30.6
28.9
31.2
30.16
4. 결과
(1) -> 파장 에 의해 공명지점의 평균값을 대입해 파장의 실험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의 실험값은 56.47 (cm)
(2) 식을 통해 음속을 계산할 수 있다.
-> ()때 음속 계산
-> 실험실의 온도가 27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