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식중독의 개념
(2) 살모넬라 식중독
(3) 최근 5년간 감염 사례
(4) 예방법
3. 결론
4. 참고자료
2. 본론
(1) 식중독의 개념
(2) 살모넬라 식중독
(3) 최근 5년간 감염 사례
(4) 예방법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 쉽게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예방법
살모넬라 식중독 관리는 매우 어려운 편에 해당한다. 특히 원인균을 식료품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는 가축들을 통한 감염이 매우 쉽기 때문인데, 분변을 통해서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살모넬라균의 특성상 대부분의 가축이 감염환경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식품의 생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조리과정을 통해 사멸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균은 불충분하게 한번 가열한 식품을 재가열하는 경우 내열성이 증가하여 보다 고열에서 사멸하게 되므로, 재조리식품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오염된 식품의 경우 맛이나 냄새의 변화가 없고 육안으로도 오염 여부가 판단되지 않으므로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살모넬라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74도이상에서 20분 이상 가열하면 충분히 안전하다. 또한 음식을 다루기 전, 조리 중, 조리 후 반드시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어 2차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모든 고기류, 특히 조류와 난류의 경우 완전히 조리하여 먹도록 하고 생달걀이나 비살균우유 등의 섭취에 주의하여야 한다. 조리되지 않은 재료는 반드시 조리된 재료와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하고 조리도구는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분리하고 깨끗이 세척해야한다.
애완동물에 의한 감염도 주의가 필요하다. 강아지나 고양이 등에 의해서도 충분히 감염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과 접촉하면 반드시 손을 세척하도록 한다. 특히 파충류를 통해 감염되기 쉬우므로 애완용 거북이 등을 주의하도록 한다.
이처럼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생이 가장 중요하다. 식품 자체의 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반드시 위생을 신경써서 충분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광호, 「`13년 식중독 원인조사 검사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3. 결론
지금까지 식중독의 개념과 대표적인 여름철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에 대해 알아보았다. 식중독은 여름철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오늘날 보온이 활발이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인해 어느 시기라도 충분히 발병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음식의 맛이나 육안으로는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예방적 차원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복날은 지나갔지만 여전히 가금류와 난류의 소비는 많은 편이다. 조리과정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살균된 제품을 사용하며 위생에 신경써야 할 때다. 웰빙만 외치지 말고 실제로 먹는 음식을 건강하게 조리하여 실질적인 건강한 삶을 누려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 도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강원대학교 산하협력단, 「생산 및 유통소비단계 계란 취급 가이드라인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이광호, 「`13년 식중독 원인조사 검사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식품안전나라(http://www.foodsafetykorea.go.kr/).
(4) 예방법
살모넬라 식중독 관리는 매우 어려운 편에 해당한다. 특히 원인균을 식료품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는 가축들을 통한 감염이 매우 쉽기 때문인데, 분변을 통해서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살모넬라균의 특성상 대부분의 가축이 감염환경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식품의 생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조리과정을 통해 사멸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균은 불충분하게 한번 가열한 식품을 재가열하는 경우 내열성이 증가하여 보다 고열에서 사멸하게 되므로, 재조리식품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오염된 식품의 경우 맛이나 냄새의 변화가 없고 육안으로도 오염 여부가 판단되지 않으므로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살모넬라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74도이상에서 20분 이상 가열하면 충분히 안전하다. 또한 음식을 다루기 전, 조리 중, 조리 후 반드시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어 2차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모든 고기류, 특히 조류와 난류의 경우 완전히 조리하여 먹도록 하고 생달걀이나 비살균우유 등의 섭취에 주의하여야 한다. 조리되지 않은 재료는 반드시 조리된 재료와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하고 조리도구는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분리하고 깨끗이 세척해야한다.
애완동물에 의한 감염도 주의가 필요하다. 강아지나 고양이 등에 의해서도 충분히 감염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과 접촉하면 반드시 손을 세척하도록 한다. 특히 파충류를 통해 감염되기 쉬우므로 애완용 거북이 등을 주의하도록 한다.
이처럼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생이 가장 중요하다. 식품 자체의 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반드시 위생을 신경써서 충분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광호, 「`13년 식중독 원인조사 검사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3. 결론
지금까지 식중독의 개념과 대표적인 여름철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에 대해 알아보았다. 식중독은 여름철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오늘날 보온이 활발이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인해 어느 시기라도 충분히 발병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음식의 맛이나 육안으로는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예방적 차원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복날은 지나갔지만 여전히 가금류와 난류의 소비는 많은 편이다. 조리과정에서 충분히 가열하고, 살균된 제품을 사용하며 위생에 신경써야 할 때다. 웰빙만 외치지 말고 실제로 먹는 음식을 건강하게 조리하여 실질적인 건강한 삶을 누려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 도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강원대학교 산하협력단, 「생산 및 유통소비단계 계란 취급 가이드라인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이광호, 「`13년 식중독 원인조사 검사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식품안전나라(http://www.foodsafetykorea.go.kr/).
추천자료
식품위생학4공통)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
식품위생학2019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한...
2019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식중독균의 특징 및 증상 등)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
식품위생학 ) 1.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