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목표
이론
기구 및 시약
실험 방법
이론
기구 및 시약
실험 방법
본문내용
(cal)는 에너지의 단위로, 온도가 다른 물체 간에 전해지는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즉, 물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로 되는 열의 양이다. 과거에는 열과 일이 동등한 것이라고 주장되었다. 이에 따라 칼로리는 ‘열’을 나타내는 단어인 ‘calor’에서 유래하였으며, 물 1g의 온도를 1℃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로 정의되었다. J은 에너지 또는 일의 국제단위(SI 단위)이다. (줄)의 관계를 갖고 있다.
기구 및 시약
━━━━━━━━━━━━━━━━━━━━━━━━━━━━━━━━━━━━━━━━
조별
Vernier 컴퓨터 인터페이스 (LabPro 또는 Go! Link)/컴퓨터
온도 센서
스탠드
스티로폼 열량계 (소, 대)
250 mL 비커
100 mL 눈금실린더 2 개
약수저
공통
항온조/온도계
저울 (10 mg)
CaCl2 (무수물)
NaCl, 베이킹소다
식초 (5%)
폐기물용 1 L 비커
실험 방법
━━━━━━━━━━━━━━━━━━━━━━━━━━━━━━━━━━━━━━━━
Part Ⅰ : 발열반응/흡열반응
1. 소형 스티로폼 열량계의 well 하나에 물 또는 식초를 ~3 mL 넣고 온도를 측정한다.
2. 아래의 표에 주어진 화합물의 하나를 ~1 mL (약수저의 작은 쪽으로 1 ~ 2 개 정도) 가하고
잘 섞어준 후 용액의 최대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3. 같은 방법으로 각 화합물을 물 또는 식초와 혼합하고, 최대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Part Ⅱ : 스티로폼 열량계의 열용량
1. 눈금실린더에 50.0 mL의 따뜻한 물을 넣고, ~50 ℃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항온조에
서 온도가 같아질 때까지 넣어 둔다.
2. 스티로폼 열량계에 250 mL 비커를 넣고, 실온의 물 50.0 mL를 가한다.
3. 스티로폼 열량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다. 온도 센서가 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며, 또한 온
도 센서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4. LoggerPro 프로그램에서 \'Collect\' 버튼을 누르고 스티로폼 열량계와 물의 온도가 일정해 질
때까지 기다린다.
5. 항온조에 넣어둔 실린더의 물의 온도를 0.1 ℃ 까지 측정하고, 실린더의 물을 재빨리 스티로
폼 열량계에 가하고 뚜껑을 덮는다. 이때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열량계 내의 물을 잘 섞어
주며, 계속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6.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되면 \'Stop\' 버튼을 누른다.
7. 데이터 파일을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한다. (온도 변화 그래프는 출력하여 보고서에 첨부한
다.)
Part Ⅲ : Heat of Solution
1. 0.1 몰의 CaCl2 또는 의 무게를 10 mg까지 측정한다.
2. 스티로폼 열량계에 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마른 휴지로 물기를 모두 닦아 내고 충분히 건조
시킨다.
3. 스티로폼 열량계에 250 mL 비이커를 넣고, 실온의 물 100.0 mL를 가한다.
4. 스티로폼 열량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다. 온도 센서가 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며, 또한 온
도 센서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5. LoggerPro 프로그램에서 \'Collect\' 버튼을 누르고 스티로폼 열량계와 물의 온도가 일정해 질
때까지 기다린다.
6. 앞에서 무게를 재어 둔 CaCl2 또는 를 재빨리 스티로폼 열량계에 가하고 뚜껑을
덮는다. 이때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화합물이 용해되도록 잘 저어주며, 계속 온도 변화를 측
정한다.
7.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되면 \'Stop\' 버튼을 누른다.
8. 데이터 파일을 또 다른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한다. (온도 변화 그래프는 출력하여 보고서에
첨부한다.)
※ 시간이 되면 CaCl2와 두 화합물에 모두 대하여 실험을 한다.
기구 및 시약
━━━━━━━━━━━━━━━━━━━━━━━━━━━━━━━━━━━━━━━━
조별
Vernier 컴퓨터 인터페이스 (LabPro 또는 Go! Link)/컴퓨터
온도 센서
스탠드
스티로폼 열량계 (소, 대)
250 mL 비커
100 mL 눈금실린더 2 개
약수저
공통
항온조/온도계
저울 (10 mg)
CaCl2 (무수물)
NaCl, 베이킹소다
식초 (5%)
폐기물용 1 L 비커
실험 방법
━━━━━━━━━━━━━━━━━━━━━━━━━━━━━━━━━━━━━━━━
Part Ⅰ : 발열반응/흡열반응
1. 소형 스티로폼 열량계의 well 하나에 물 또는 식초를 ~3 mL 넣고 온도를 측정한다.
2. 아래의 표에 주어진 화합물의 하나를 ~1 mL (약수저의 작은 쪽으로 1 ~ 2 개 정도) 가하고
잘 섞어준 후 용액의 최대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3. 같은 방법으로 각 화합물을 물 또는 식초와 혼합하고, 최대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Part Ⅱ : 스티로폼 열량계의 열용량
1. 눈금실린더에 50.0 mL의 따뜻한 물을 넣고, ~50 ℃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항온조에
서 온도가 같아질 때까지 넣어 둔다.
2. 스티로폼 열량계에 250 mL 비커를 넣고, 실온의 물 50.0 mL를 가한다.
3. 스티로폼 열량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다. 온도 센서가 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며, 또한 온
도 센서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4. LoggerPro 프로그램에서 \'Collect\' 버튼을 누르고 스티로폼 열량계와 물의 온도가 일정해 질
때까지 기다린다.
5. 항온조에 넣어둔 실린더의 물의 온도를 0.1 ℃ 까지 측정하고, 실린더의 물을 재빨리 스티로
폼 열량계에 가하고 뚜껑을 덮는다. 이때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열량계 내의 물을 잘 섞어
주며, 계속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6.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되면 \'Stop\' 버튼을 누른다.
7. 데이터 파일을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한다. (온도 변화 그래프는 출력하여 보고서에 첨부한
다.)
Part Ⅲ : Heat of Solution
1. 0.1 몰의 CaCl2 또는 의 무게를 10 mg까지 측정한다.
2. 스티로폼 열량계에 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마른 휴지로 물기를 모두 닦아 내고 충분히 건조
시킨다.
3. 스티로폼 열량계에 250 mL 비이커를 넣고, 실온의 물 100.0 mL를 가한다.
4. 스티로폼 열량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다. 온도 센서가 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며, 또한 온
도 센서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5. LoggerPro 프로그램에서 \'Collect\' 버튼을 누르고 스티로폼 열량계와 물의 온도가 일정해 질
때까지 기다린다.
6. 앞에서 무게를 재어 둔 CaCl2 또는 를 재빨리 스티로폼 열량계에 가하고 뚜껑을
덮는다. 이때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화합물이 용해되도록 잘 저어주며, 계속 온도 변화를 측
정한다.
7.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되면 \'Stop\' 버튼을 누른다.
8. 데이터 파일을 또 다른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한다. (온도 변화 그래프는 출력하여 보고서에
첨부한다.)
※ 시간이 되면 CaCl2와 두 화합물에 모두 대하여 실험을 한다.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실험 2. 여러가지 수화물 예비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기체의 몰질량 예비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화학양론과 한계반응물 예비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화학양론과 한계반응물 결과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청사진의 광화학 예비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침전반응과 이온의 검출 결과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침전반응과 이온의 검출 예비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실험 10. 원자의 방출 스펙트럼 실험 예비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A+ 1등 자료] 실험 11. 화학반응과 에너지 실험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