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결과보고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방지 장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방지 장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연구 동기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정의
2) 관련 연구동양 분석


나.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1) 연구의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의 기대효과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하나이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 각자 맡은 파트에 협동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이번 캡스톤 디자인을 진행하게 되었다.
2. 본론
가. 연구 동기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정의
‘노인 혼자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무연고 사망, 이른바 \'고독사\'가 해마다 증가해 홀몸노인에 특화한 실효성 있는 정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홀몸노인 무연고 사망자는 최근 5년간 3천331명에 달했다.
서한기 기자, 「노인 고독사 해마다 증가」, 연합뉴스, 2018.10.06. 제1면
연도별로 보면 2014년 538명, 2015년 661명, 2016년 750명, 2017년 835명 등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18년 6월 현재 547명을 기록했다.‘
“지난 2013년 1월 3일 79세 할머니는 차디찬 방 안에서 숨졌다. 이 할머니는 2012년 남편을 여의고 홀로 지내다 뒤늦게 가족에게 발견됐다. 영하 10도의 추위에도 보일러를 켜지 않고 전기장판으로만 버티다 결국 변을 당했다. 자식에게 보일러비조차 부담을 주고 싶어 하지 않은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구동환 기자, 「독거노인실태」, 일요시사, 2019.12.02. 제1면
위의 기사들 내용처럼 최근 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발생하고 있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로 인하여 홀로 생활하는 노인들의 수가 기하학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고독사 및 문제점 들에 대하여 우리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2) 관련 연구동양 분석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현재 “대화가 가능한 스피커” 가 있고 이 스피커를 통해 노인상담사나 특정인들과 대화를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노인분들도 간단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최소한의 버튼만을 활용해 간편히 만들어 졌다. 그 외의 기능으로 스피커 안에 이동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어르신의 움직임을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중앙 관재 사이트에서 파악이 가능하다. 이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되면 상담사가 직접 방문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도어 센서라는 것도 개발이 되었다. 이 센서는 현관문에 설치하여 외출빈도와 이동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창문에 설치하면 집안의 환기 또는 문단속 여부를 알 수 있다. 특히 냉장고나 약이 들어있는 서랍 등에 설치하게 되면 식사 혹은 약을 잘 챙겨 드시는지도 확인 가능한 센서이다.
나.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1) 연구의 목적
독거노인의 고독사 문제를 고찰하고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독거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안하고자 한다.
2. 독거노인 집 안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위급상황 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3.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호자가 독거노인의 생사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4. 독거노인과 보호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더 효과적이고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5.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집의 각 방마다 센서를 설치하여 각 데이터 값을 받아 독거노인의
생활패턴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도출된 생활패턴을 활용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안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2) 연구의 기대효과
독거노인이 쓰러지거나 오랫동안 움직임이 없는 등의 위험을 찾아내어 신속한 대처 및 케어가 기대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독거노인에게도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생활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독거노인과 돌보는 사람 또는 보호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접급성을 제공하는 사례도 부족하다.
스마트에서 앱을 통해 독거노인의 감지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독거노인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상황 확인 가능한 효율적인 접근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고령화 시대의 가장 중대한 문제인 고독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3) 연구 내용
가.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해 값을 받아들이는 파트
가) 라즈베리 파이의 파이썬으로 LED 깜빡이기
-------------------------------------------------------
import RPI.GPIO as GPIO
import time
GPIO.setwarrings(False)
GPIO.setmode(GPIO.BOARD)
GPIO.setup(8, GPIO.OUT)
while True :
GPIO.output(8, 1)
time.sleep(1)
GPIO.output(8, 0)
time.sleep(1)
GPIO.cleanup()
-------------------------------------------------------
- 라즈베리 파이의 파이썬을 이용하여 while 문을 사용하여 작동을 직접 멈추기전까지 LED를 1초마다 깜빡이게 만들었다. 다음 동작에서 while 문을 쓰기위해 연습 삼아 해본것도 있으며, LED를 구동하여 HC-SR501(인체감지센서)가 작동이 되는지 확인을 위해 LED를 깜빡이게 하는 실험을 하였다.
나) LED와 HC-SR501(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깜빡이기
----------------------------------------------------------
import RPi.GPIO as GPIO
import time
import paho.mqtt.client as mqtt
GPIO.setwarnings(False)
GPIO.setmode(GPIO.BCM)
GPIO.setup(21, GPIO.IN)
while True:
if GPIO.input(21):
t = time.localtime()
print (\"%d:%d:%d 1/LIVINGROOM motion detected!!
continue for 10sec\" %(t.tm_hour, t.tm_min, t.tm_sec))
t = time.localtime()
print (\"%d:%d:%d NOT detected\" %(t.tm_hour, t.tm_min, t.tm_sec))
GPIO.cleanup()
----------------------------------------------------------
-LED를 사용하여 HC-SR501(인체감지센서)에 감지가 되었을
  • 가격4,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1.05.24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