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프랑스의 특징
1) 공식명칭
2) 파리
3) 언어
3. 주거 형태를 결정하는 요소
1) 물리적 요소
(1) 지리
(2) 지형
(3) 기후
2)사회문화적 요소
(1) 국민성
(2) 종교
(3) 결혼관
(4) 여성의 지위와 사회 활동
(5) 경제력 및 경제 수준
4. 프랑스 주택의 일반적 특징
1)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2) 캔틸레버가 있는 집이 등장하였다.
3) 목조건축이 많다
4) 지역별로 다양한 주거 양상
(1)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주택
(2) 동서의 산악지대 가운데 바스크지방의 주택
(3) 동북부 지방의 주택
(4) 노르망디 지방의 주택
5. 프랑스의 시대별 건축
1) 고딕건축
2) 르네상스 건축
3) 바로크 건축
4) 로코코 건축
6. 참고 문헌
2. 프랑스의 특징
1) 공식명칭
2) 파리
3) 언어
3. 주거 형태를 결정하는 요소
1) 물리적 요소
(1) 지리
(2) 지형
(3) 기후
2)사회문화적 요소
(1) 국민성
(2) 종교
(3) 결혼관
(4) 여성의 지위와 사회 활동
(5) 경제력 및 경제 수준
4. 프랑스 주택의 일반적 특징
1)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2) 캔틸레버가 있는 집이 등장하였다.
3) 목조건축이 많다
4) 지역별로 다양한 주거 양상
(1)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주택
(2) 동서의 산악지대 가운데 바스크지방의 주택
(3) 동북부 지방의 주택
(4) 노르망디 지방의 주택
5. 프랑스의 시대별 건축
1) 고딕건축
2) 르네상스 건축
3) 바로크 건축
4) 로코코 건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리적으로 반영시켜서 교회건축 양식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 이것은 유럽인들이 일반적으로 가졌던 깊은 종교적인 신앙심을 외형적으로 표현하려는 여러 세대에 걸친 노력의 산물이었고, 그들의 현세생활에서의 주목적인 신에 대한 봉사와 사후세계에서의 구제를 얻기 위하여 건축되었다.
② 첨두형 아치
첨두형 아치는 출입구와 창 기타 모든 개구부에 사용되었고, 지붕은 높게 솟아 올라가게 만들었다. 하늘을 향해 솟은 첨탑, 피너클(pinacle), 스티플(steeple), 스파이어(spire) 등은 고딕양식에서 주요한 특징이다.
③ 리브 보울트 (Ribbed Vault)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사용되었던 교차 보울트에 첨두형 아치의 리브를 덧대어 구조적으로 보강한 것이다. 첨두형 아치의 사용은 리브 보울트의 구조체계가 정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도 가능하게 하였다.
④ 플라잉 버트레스 (Flying buttress)
보울트 구조의 하중은 전부 리브가 받으며 이 하중은 한 곳에 모이게 되고, 이 부분에 작용하는 횡력(橫力)은 매우 크게 되므로 버트레스를 두어 이것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네이브와 아일의 사이와 같이 벽체 하부의 아치로 지지한 곳은 플라잉 버트레스의 구조법을 사용하여 그 횡력을 바깥쪽의 버트레스에 전달하고, 이 구조는 전체적인 구조를 더욱 안정감 있게 만들었다.
2) 르네상스 건축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번성한 르네상스 건축은 1495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입 담시 전파되었고, 교회 등의 종교건축보다는 귀족을 위한 궁정, 성 건축에 많이 사용되었다.
① 일반적 특징
르네상스는 오랫동안 쇠퇴한 것을 재생시킨다는 의미로 흔히 ‘문예부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탈리아인들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이는 번성했던 로마로 다시 돌아가자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수평적, 인본주의
중세의 지나친 신 중심의 건축에서 벗어나 인간을 세계의 중심으로 보고, 건축도 인간에 맞추어 설계하였다. 교회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건축과 달리 공공건물, 궁, 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발전하였다.
4) 로코코 건축
16세기를 지나 르네상스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음직이 일어났고, 이는 후기 르네상스 시대로 이어진다. 이것은 일반적인 후기 양식인 ‘과도한 장식이 수반되는 후퇴’가 아닌 복합적이고 격변하는 시대 상황에 발 맞추어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인 바로크 양식으로 발전하게 된다.
① 일반적 특징
르네상스 시대의 모티프를 그대로 가지고 와서 사용하였으나, 그 방식이 매우 자유롭고 대담하게 되었으며, 음영감, 동적인 감각을 강조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역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②베르사유 궁전
베르사유 궁전은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건축되었고, 수천 명의 귀족과 공무원이 머무르던 곳이었다. 베르사유의 정 중앙에는 거대한 접견용 홀들이 있는데 웅장한 규모와 사치스러움으로 유명하다. 이는 루이 14세 시대에 몇 번의 증축 공사를 거쳐 더 화려해지고 사치스러워졌다.
5) 로코코 건축
바로크 양식의 절대적 후원자였던 루이 14세의 죽음 이후로 바로크 건축에 뒤이어 발전된 건축양식이며, 프랑스에서 시작으로 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바로크는 공적인 공간 위주로 발달되어 거대하고 남성적이었으나, 로코코는 조금 더 아기자기하고 여성적인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생활, 프라이버시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있어, 내부공간을 조금 더 아름답게 장식하기도 하였다.
①두드러지지 않는 건물 외형
로코코 건축의 특징은 건물 내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시대 건축가들은 건물 위부의 장식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는 바로크 양식과의 두드러지는 차이점이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파리의 오펠 드 수비스가 있다.
②창틀, 대들보, 기둥, 문틀이 존재하지 않는다.
창틀, 대들보, 기둥, 문틀이 삐져나오는 것을 없애고, 안에서 볼 때 모두 평평해 보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건축 구조에서 필수적인 것이므로 벽이나 천장에 메워넣는 식으로 눈에만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③살롱-친교와 교류의 공간
살롱의 특징으로는 인간 중심적인 낮은 천장과, 작지만 친밀한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점이다. 적은 인원의 사람들이 모여 친목을 다졌고, 이는 후에 왕실 사교문화의 중심 공간이 된다.
6. 참고 문헌
윤복자, 『세계의 주거 문화』, 신광출판사, 2000-01-15
한택수, 『프랑스 문화 교양강의 18』, 김영사, 2008-02-10
이춘건, 『프랑스 문화와 예술』, 신아사, 2016-08-25
② 첨두형 아치
첨두형 아치는 출입구와 창 기타 모든 개구부에 사용되었고, 지붕은 높게 솟아 올라가게 만들었다. 하늘을 향해 솟은 첨탑, 피너클(pinacle), 스티플(steeple), 스파이어(spire) 등은 고딕양식에서 주요한 특징이다.
③ 리브 보울트 (Ribbed Vault)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사용되었던 교차 보울트에 첨두형 아치의 리브를 덧대어 구조적으로 보강한 것이다. 첨두형 아치의 사용은 리브 보울트의 구조체계가 정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도 가능하게 하였다.
④ 플라잉 버트레스 (Flying buttress)
보울트 구조의 하중은 전부 리브가 받으며 이 하중은 한 곳에 모이게 되고, 이 부분에 작용하는 횡력(橫力)은 매우 크게 되므로 버트레스를 두어 이것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네이브와 아일의 사이와 같이 벽체 하부의 아치로 지지한 곳은 플라잉 버트레스의 구조법을 사용하여 그 횡력을 바깥쪽의 버트레스에 전달하고, 이 구조는 전체적인 구조를 더욱 안정감 있게 만들었다.
2) 르네상스 건축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번성한 르네상스 건축은 1495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입 담시 전파되었고, 교회 등의 종교건축보다는 귀족을 위한 궁정, 성 건축에 많이 사용되었다.
① 일반적 특징
르네상스는 오랫동안 쇠퇴한 것을 재생시킨다는 의미로 흔히 ‘문예부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탈리아인들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이는 번성했던 로마로 다시 돌아가자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수평적, 인본주의
중세의 지나친 신 중심의 건축에서 벗어나 인간을 세계의 중심으로 보고, 건축도 인간에 맞추어 설계하였다. 교회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건축과 달리 공공건물, 궁, 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발전하였다.
4) 로코코 건축
16세기를 지나 르네상스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음직이 일어났고, 이는 후기 르네상스 시대로 이어진다. 이것은 일반적인 후기 양식인 ‘과도한 장식이 수반되는 후퇴’가 아닌 복합적이고 격변하는 시대 상황에 발 맞추어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인 바로크 양식으로 발전하게 된다.
① 일반적 특징
르네상스 시대의 모티프를 그대로 가지고 와서 사용하였으나, 그 방식이 매우 자유롭고 대담하게 되었으며, 음영감, 동적인 감각을 강조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역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②베르사유 궁전
베르사유 궁전은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건축되었고, 수천 명의 귀족과 공무원이 머무르던 곳이었다. 베르사유의 정 중앙에는 거대한 접견용 홀들이 있는데 웅장한 규모와 사치스러움으로 유명하다. 이는 루이 14세 시대에 몇 번의 증축 공사를 거쳐 더 화려해지고 사치스러워졌다.
5) 로코코 건축
바로크 양식의 절대적 후원자였던 루이 14세의 죽음 이후로 바로크 건축에 뒤이어 발전된 건축양식이며, 프랑스에서 시작으로 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바로크는 공적인 공간 위주로 발달되어 거대하고 남성적이었으나, 로코코는 조금 더 아기자기하고 여성적인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생활, 프라이버시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있어, 내부공간을 조금 더 아름답게 장식하기도 하였다.
①두드러지지 않는 건물 외형
로코코 건축의 특징은 건물 내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시대 건축가들은 건물 위부의 장식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는 바로크 양식과의 두드러지는 차이점이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파리의 오펠 드 수비스가 있다.
②창틀, 대들보, 기둥, 문틀이 존재하지 않는다.
창틀, 대들보, 기둥, 문틀이 삐져나오는 것을 없애고, 안에서 볼 때 모두 평평해 보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건축 구조에서 필수적인 것이므로 벽이나 천장에 메워넣는 식으로 눈에만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③살롱-친교와 교류의 공간
살롱의 특징으로는 인간 중심적인 낮은 천장과, 작지만 친밀한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점이다. 적은 인원의 사람들이 모여 친목을 다졌고, 이는 후에 왕실 사교문화의 중심 공간이 된다.
6. 참고 문헌
윤복자, 『세계의 주거 문화』, 신광출판사, 2000-01-15
한택수, 『프랑스 문화 교양강의 18』, 김영사, 2008-02-10
이춘건, 『프랑스 문화와 예술』, 신아사, 2016-08-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