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 목적
-날개인대 손상 검사
• 절차
- 환자는 바로 눕는다.
- 검사자는 가시돌기가 아닌 판(lamina)
위를 잡아 C2를 고정하고, 머리와 C2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가쪽굽힘시킨다.
- 이 때 관절의 움직임 정도와 끝느낌에 주목
• 해석
-(+)가쪽 굽힘시 C2의 움직임의 부족이나 강한 인대의 끝느낌이 아닌 부드러운 끝느낌, 근육의 연축,통증 ->날개인대 손상
• 목적
-상부경추불안정성 검사(transverse ligament)
• 절차
- 환자를 앉힌 후 살짝 머리를 굽힌다.
-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잡고 고정하고 다른 손의 엄지손가락은 C2의 가시돌기 위에 위치.
- 검사자가 부드럽게 이마에 앞에서 뒤 방향으로(A->P) 압력을 적용.
• 해석
-(+)앞으로 밀리거나, 움직일 때 덜컹거리는 소리 -> dens process를 transverse ligament가 안정적으로 유지 못함
-날개인대 손상 검사
• 절차
- 환자는 바로 눕는다.
- 검사자는 가시돌기가 아닌 판(lamina)
위를 잡아 C2를 고정하고, 머리와 C2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가쪽굽힘시킨다.
- 이 때 관절의 움직임 정도와 끝느낌에 주목
• 해석
-(+)가쪽 굽힘시 C2의 움직임의 부족이나 강한 인대의 끝느낌이 아닌 부드러운 끝느낌, 근육의 연축,통증 ->날개인대 손상
• 목적
-상부경추불안정성 검사(transverse ligament)
• 절차
- 환자를 앉힌 후 살짝 머리를 굽힌다.
- 검사자는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잡고 고정하고 다른 손의 엄지손가락은 C2의 가시돌기 위에 위치.
- 검사자가 부드럽게 이마에 앞에서 뒤 방향으로(A->P) 압력을 적용.
• 해석
-(+)앞으로 밀리거나, 움직일 때 덜컹거리는 소리 -> dens process를 transverse ligament가 안정적으로 유지 못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