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아의 일반적 사항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Ⅲ. 간호사정
1. 간호 사정 도구(Nursing assessment tool)
2. Nursing problem List & Cue Grouping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Ⅲ. 간호사정
1. 간호 사정 도구(Nursing assessment tool)
2. Nursing problem List & Cue Grouping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체온의 위험
11/9
간호목표
환아는 정삼범위미만으로 체온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11/9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환아 상태를 사정한다.
- 체온을 지속적으로 monitoring한다.(-> 체온 측정으로 인해 환아의 현재 체온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 피부색(입 주위)의 변화가 있는지 관찰한다.(->신생아의 입 주위가 푸르게 변하는 것은 추위로 인한 반응으로 체온변화를 조기 발견할 수 있다.)
2. 체온유지의 적절한 환경을 유지한다.
- 환아가 찬 물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전도를 통한 체온소실을 방지한다.)
- 환아 주위에 창문이나 냉방장치, 벽 등 열 소실 유발물체를 두지 않는다.(->방사를 통한 체온소실 방지한다.)
- omni bed를 작동시킨다.(-> omni bed에는 신생아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 목욕은 5분내로 마무리 하고 따뜻한 수건으로 피부와 모발을 말려준다.(-> 증발을 최소화하여 체온손실 방지한다.)
- 환아가 사용할 옷과 담요는 항상 건조하게 유지한다.
11/9
간호수행
11/10
11/11
11/12
11/13
11/14
12:00
37.0
36.9
37.2
37.3
36.8
18:00
37.3
37.1
36.7
37.2
37.0
- 환아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monitoring 하였다.(by RN)
- 입 주위와 피부관찰 결과 파란색으로 변하는 상태 없었음. by RN, SN)
- 환아의 현재 위치 주변엔 차가운 물체나 환경을 두지 않앗으며 체중을 잴 때 체중계에는 헝겊이 덮여있어 직접 닿지 않게 하였다. by RN
- omni bed를 항상 작동시켰다. by RN
- 환아의 담요와 옷은 건조하게 유지되어있다. by RN
- 환아의 목욕을 관찰하지 못하여 목욕 후 따뜻한 수건으로 환아를 빠르게 닦아주는지 확인하지 못함(관찰못함)
11/9- 11/13
간호평가
11/9
11/10
11/11
11/12
11/13
12:00
36.9
37.0
36.9
37.2
37.3
18:00
37.1
37.3
37.1
36.7
37.2
환아의 체온은 정상범위인 36.5~37.5를 항상 유지함(달성)
11/14
3세이하 낙상 고위험군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X
O:
- new born
- 체중을 잴 때 아이를 들어올려서 omni bed에서 측정함.
- every other day로 목욕실가서 목욕 실시함.
11/13
간호진단
3세이하 낙상 고위험군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11/13
간호목표
1. 의료수행자가 낙상예방수칙을 실천하는 것을 확인한다.
2. 대상자는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1/13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omni bed의 바퀴가 고정되어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고정되어 있지 않을 시 이동하거나 흔들릴 수 있다.)
2. 의료활동시 양쪽 side rail을 최대한 올려주고 양쪽을 다 내리는일은 없도록 한다.(-> side rail을 내릴쪽으로 환아가 낙상할 가능성이 있다.)
3. omni bed에서 체중 측정 시 환아의 수평을 유지하여 살짝 들어올려 체중을 측정한 후 조심히 내려놓는다.(-> 체중측정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4. 목욕 시 omni bed가 고정되어있는지 확인 후 수평으로 조심히 들어올려 대아로 옮긴다.(->목욕간에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11/13
간호수행
1. omni bed의 바퀴가 고정되어있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함.(by RN, SN)
2. foley나 iv등 각종 처치시에 양쪽 side rail을 다 내리지 않고 주로 환아 발측 rail만 내리고 처치함.(by RN)
3. 환아 체중측정시에 수평으로 아이를 들어올려 체중을 측정하고 다시 수평으로 들어올려 조심히 내려놓음.(by RN)
4. 환아가 목욕하는 장면을 관찰하지 못하 수행여부를 판단하지 못함.
11/14~
간호평가
1. 의료수행자가 환아의 낙상예방수칙을 실천하는 것을 확인함.
2. 대상자는 11/17일 까지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
11/17
적은 부모와의 접촉과 관련한 모아관계 장애의 위험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X
O:
- NICU 입원 중임
- 출생 3시간 후 바로 입원함
- 면회제한(1일 2회, 30분/회)로 인해 접촉시간이 짧음
- 중환자이기 때문에 안아주기, 모유수유 등이 금지임
11/10
간호진단
적은 부모와의 접촉과 관련한 모아관계 장애의 위험
11/10
간호목표
1. 엄마는 환아와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엄마는 대상자에게 긍정적 상호작용을 할 수있다.
11/10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면회시에 환아와 눈을 자주 마주치고 목소리를 들려주도록 한다.(-> 엄마의 목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 환아에게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서 애착을 증진시킨다)
2. 가능한 자주 면회를 올 수 있도록 격려한다.(-> 환아와의 접촉 횟수를 늘려주기 위함이다)
3. 금기가 아니라면 장갑을 끼고 환아와의 간단한 피부접촉을 하도록 한다.(-> 엄마와 환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길 수 있다.)
4. 남편과의 지지체계, 양육역할, 산후관리 참여도를 사정한다.(->남편과의 관계를 사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모아관계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5. 모유수유의 필요성을 알려주고 신생아실 냉동실에 모유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11/10
간호수행
1. 면회시 환아와 자주 눈을 마주치고 말을 걸었음(by RN)
2. 면회를 자주 오도록 격려하진 못했지만 매일 면회를 옴(by SN)
3. 장갑과 마스크를 쓰고 있는 모습을 착용하였으나 피부접촉 격려는 수행하지 못함.
4. 남편과의 지지체계, 양육역할, 산후관리의 참여정도는 보호자와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고 EMR에서도 확인할 수 없어 수행하지 못하였음.
5. 엄마에게 모유수유 서약서를 받고 모유를 냉동실에 보관하여 환아는 feeding할 때 모유를 우선적으로 먹었다.(by RN)
11/10~
간호평가
엄마는 환아와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하려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1/15
Ⅴ. 참고문헌
아동간호학Ⅰ (수문사, 홍경자 외)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홍경자 외)
드러그 인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11/9
간호목표
환아는 정삼범위미만으로 체온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11/9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환아 상태를 사정한다.
- 체온을 지속적으로 monitoring한다.(-> 체온 측정으로 인해 환아의 현재 체온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 피부색(입 주위)의 변화가 있는지 관찰한다.(->신생아의 입 주위가 푸르게 변하는 것은 추위로 인한 반응으로 체온변화를 조기 발견할 수 있다.)
2. 체온유지의 적절한 환경을 유지한다.
- 환아가 찬 물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전도를 통한 체온소실을 방지한다.)
- 환아 주위에 창문이나 냉방장치, 벽 등 열 소실 유발물체를 두지 않는다.(->방사를 통한 체온소실 방지한다.)
- omni bed를 작동시킨다.(-> omni bed에는 신생아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 목욕은 5분내로 마무리 하고 따뜻한 수건으로 피부와 모발을 말려준다.(-> 증발을 최소화하여 체온손실 방지한다.)
- 환아가 사용할 옷과 담요는 항상 건조하게 유지한다.
11/9
간호수행
11/10
11/11
11/12
11/13
11/14
12:00
37.0
36.9
37.2
37.3
36.8
18:00
37.3
37.1
36.7
37.2
37.0
- 환아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monitoring 하였다.(by RN)
- 입 주위와 피부관찰 결과 파란색으로 변하는 상태 없었음. by RN, SN)
- 환아의 현재 위치 주변엔 차가운 물체나 환경을 두지 않앗으며 체중을 잴 때 체중계에는 헝겊이 덮여있어 직접 닿지 않게 하였다. by RN
- omni bed를 항상 작동시켰다. by RN
- 환아의 담요와 옷은 건조하게 유지되어있다. by RN
- 환아의 목욕을 관찰하지 못하여 목욕 후 따뜻한 수건으로 환아를 빠르게 닦아주는지 확인하지 못함(관찰못함)
11/9- 11/13
간호평가
11/9
11/10
11/11
11/12
11/13
12:00
36.9
37.0
36.9
37.2
37.3
18:00
37.1
37.3
37.1
36.7
37.2
환아의 체온은 정상범위인 36.5~37.5를 항상 유지함(달성)
11/14
3세이하 낙상 고위험군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X
O:
- new born
- 체중을 잴 때 아이를 들어올려서 omni bed에서 측정함.
- every other day로 목욕실가서 목욕 실시함.
11/13
간호진단
3세이하 낙상 고위험군으로 인한 낙상위험성
11/13
간호목표
1. 의료수행자가 낙상예방수칙을 실천하는 것을 확인한다.
2. 대상자는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1/13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omni bed의 바퀴가 고정되어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고정되어 있지 않을 시 이동하거나 흔들릴 수 있다.)
2. 의료활동시 양쪽 side rail을 최대한 올려주고 양쪽을 다 내리는일은 없도록 한다.(-> side rail을 내릴쪽으로 환아가 낙상할 가능성이 있다.)
3. omni bed에서 체중 측정 시 환아의 수평을 유지하여 살짝 들어올려 체중을 측정한 후 조심히 내려놓는다.(-> 체중측정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4. 목욕 시 omni bed가 고정되어있는지 확인 후 수평으로 조심히 들어올려 대아로 옮긴다.(->목욕간에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11/13
간호수행
1. omni bed의 바퀴가 고정되어있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함.(by RN, SN)
2. foley나 iv등 각종 처치시에 양쪽 side rail을 다 내리지 않고 주로 환아 발측 rail만 내리고 처치함.(by RN)
3. 환아 체중측정시에 수평으로 아이를 들어올려 체중을 측정하고 다시 수평으로 들어올려 조심히 내려놓음.(by RN)
4. 환아가 목욕하는 장면을 관찰하지 못하 수행여부를 판단하지 못함.
11/14~
간호평가
1. 의료수행자가 환아의 낙상예방수칙을 실천하는 것을 확인함.
2. 대상자는 11/17일 까지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
11/17
적은 부모와의 접촉과 관련한 모아관계 장애의 위험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S: X
O:
- NICU 입원 중임
- 출생 3시간 후 바로 입원함
- 면회제한(1일 2회, 30분/회)로 인해 접촉시간이 짧음
- 중환자이기 때문에 안아주기, 모유수유 등이 금지임
11/10
간호진단
적은 부모와의 접촉과 관련한 모아관계 장애의 위험
11/10
간호목표
1. 엄마는 환아와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엄마는 대상자에게 긍정적 상호작용을 할 수있다.
11/10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 면회시에 환아와 눈을 자주 마주치고 목소리를 들려주도록 한다.(-> 엄마의 목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 환아에게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서 애착을 증진시킨다)
2. 가능한 자주 면회를 올 수 있도록 격려한다.(-> 환아와의 접촉 횟수를 늘려주기 위함이다)
3. 금기가 아니라면 장갑을 끼고 환아와의 간단한 피부접촉을 하도록 한다.(-> 엄마와 환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길 수 있다.)
4. 남편과의 지지체계, 양육역할, 산후관리 참여도를 사정한다.(->남편과의 관계를 사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모아관계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5. 모유수유의 필요성을 알려주고 신생아실 냉동실에 모유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11/10
간호수행
1. 면회시 환아와 자주 눈을 마주치고 말을 걸었음(by RN)
2. 면회를 자주 오도록 격려하진 못했지만 매일 면회를 옴(by SN)
3. 장갑과 마스크를 쓰고 있는 모습을 착용하였으나 피부접촉 격려는 수행하지 못함.
4. 남편과의 지지체계, 양육역할, 산후관리의 참여정도는 보호자와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고 EMR에서도 확인할 수 없어 수행하지 못하였음.
5. 엄마에게 모유수유 서약서를 받고 모유를 냉동실에 보관하여 환아는 feeding할 때 모유를 우선적으로 먹었다.(by RN)
11/10~
간호평가
엄마는 환아와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하려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1/15
Ⅴ. 참고문헌
아동간호학Ⅰ (수문사, 홍경자 외)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홍경자 외)
드러그 인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추천자료
(아동) 호흡곤란증후군 RDS 사례연구
PED케이스스터디, 아동케이스스터디, 중이염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NICU)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A+ (premature baby, CASE, 간호과정, 사례연구)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Acute Bronchitis Pneumonia -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Acute Bronchitis Pneumonia case study 급성기관지염 케이스간호과정 ...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