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측정 자극
3. 한계법1) 실험 절차2) 결과
4. 항상자극법1) 실험 절차2) 결과
5. 결론
2. 측정 자극
3. 한계법1) 실험 절차2) 결과
4. 항상자극법1) 실험 절차2) 결과
5. 결론
본문내용
확인해볼 수 있다. 따라서 16000과 16200 사이의 중간 값인 16100Hz를 필자의 청각 중 고음에 대한 역치로 삼을 수 있었다.
자극
빈도
15000Hz
1.0
15200Hz
1.0
15400Hz
1.0
15600Hz
1.0
15800Hz
0.8
16000Hz
0.7
16200Hz
0.4
16400Hz
0.2
16600Hz
0
16800Hz
0
17000Hz
0
4. 결론
지금까지 본 글에서는 다양한 감각 중 필자의 청각 중 고음의 역치를 측정해보았다. 청각의 경우 시각과 달리 음을 듣고 판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언가를 지각하거나 위험을 판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필자의 고음에 대한 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한계법과 항상자극법을 사용해 판별했으며 그 결과 두 결과에서 모두 16100Hz 정도가 필자의 고음에 대한 역치라는 점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역치를 확인해보았다는 점은 의미가 있지만 한계가 남아있다. 대략적인 역치는 확인했지만 정확한 역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200Hz가 단위였기 때문에 그 사이 세부적인 역치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진행하게 될 경우 대략적으로 찾아낸 범위에서 세부적으로 접근한다면 정확한 역치를 찾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음에 대한 역치만을 살펴보았을 뿐 저음에 대해서는 탐색해보지 않았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방법을 통해 저음에 대해서도 탐색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글에서 찾아본 청각 외에도 다른 감각에 대한 역치를 찾아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각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자극
빈도
15000Hz
1.0
15200Hz
1.0
15400Hz
1.0
15600Hz
1.0
15800Hz
0.8
16000Hz
0.7
16200Hz
0.4
16400Hz
0.2
16600Hz
0
16800Hz
0
17000Hz
0
4. 결론
지금까지 본 글에서는 다양한 감각 중 필자의 청각 중 고음의 역치를 측정해보았다. 청각의 경우 시각과 달리 음을 듣고 판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언가를 지각하거나 위험을 판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필자의 고음에 대한 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한계법과 항상자극법을 사용해 판별했으며 그 결과 두 결과에서 모두 16100Hz 정도가 필자의 고음에 대한 역치라는 점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역치를 확인해보았다는 점은 의미가 있지만 한계가 남아있다. 대략적인 역치는 확인했지만 정확한 역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200Hz가 단위였기 때문에 그 사이 세부적인 역치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진행하게 될 경우 대략적으로 찾아낸 범위에서 세부적으로 접근한다면 정확한 역치를 찾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음에 대한 역치만을 살펴보았을 뿐 저음에 대해서는 탐색해보지 않았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방법을 통해 저음에 대해서도 탐색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글에서 찾아본 청각 외에도 다른 감각에 대한 역치를 찾아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각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