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그 남은 만큼의 성인 인구를 인구가 적은 다른 도시에 보내서 그 곳의 수를 채우게 한다. 유토피아에서 노예란, 전쟁 포로라 하더라도 유토피아 사람들이 직접 싸우다가잡은 포로도 아니고 세습적인 노예도 아니며 외국의 노예시장에서 사들인 자들도 아니다. 여기서 노예는 자기 나라의 죄수들이거나 아니면 외국의 사형수들이다. 이 중 전자가 더 나쁜 대우를 받는데, 왜냐하면 도덕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훌륭한 교육을 받고서도 죄를 범한다는 것은 다른경우보다 더 나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남녀 관계는 엄경하게 통제되어 부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혼할 수 없다. 유토피아 인들이 전쟁을 수행하는 유일한 때는 미리부터 충분히 상의해 왔고, 또한 전쟁의 원인이 정당하며 보상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해서 전쟁 수단밖에 남지 않은 경우에 한한다. 그렇게 평화적인 방법이 불가능할 때에는 앞으로는 겁이 나서 같은 짓을 다시 하지 못하도록 엄중히 처벌한다. 유토피아에는 여러 가지 종교가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태양이나 달을 신으로 모시고, 또 어떤 사람들은 여러 유성을 섬기기도 한다. 유토피아인들은 설령 누가 그리스도교를 믿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믿는 것을 막지는 않는다.
토마스 모어가 왜 이러한 이상사회를 꿈꾸었는지는 그 시대적 배경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나온 시대적 배경은 영국에서 자본주의가 성장하고 있었던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거지와 실업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 당시 영국에서는 인클로져 정책으로 귀족과 지주들을 보다 많은 이윤 획득을 위해 농사를 짓는 농부들을 그들의 농토에서
토마스 모어가 왜 이러한 이상사회를 꿈꾸었는지는 그 시대적 배경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나온 시대적 배경은 영국에서 자본주의가 성장하고 있었던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거지와 실업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 당시 영국에서는 인클로져 정책으로 귀족과 지주들을 보다 많은 이윤 획득을 위해 농사를 짓는 농부들을 그들의 농토에서
추천자료
신화의 허구진실
유토피아주의
유토피아 & 디스토피아
Utopia VS Distopia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중국정치사상, 등소평사상(마오쩌둥사상과 덩샤오핑사상)]중국정치사상의 역사, 중국정치사...
[작가 분석] 작가 최인훈의 환상성, 환상성 속의 세계 - 최인훈 「춘향뎐」, 「금오신화」에...
[유토피아의 개념과 유토피아 관련 사상] 유토피아(Utopia)는 왜 존재할 수 없었나 - 유토피...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읽고, 독후감, 서평
세상읽기와 논술 C형 1번.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건강불평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