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례소개
2. 문헌고찰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2. 문헌고찰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9 mg/dL)
불안정한 glucose가 측정됨
10/19
10/20
FBS
165
146
2PPBS
105
232
3PM
207
210
간호진단
당뇨와 관련된 말초조직 관류 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말초조직 관류 장애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3일까지 혈당조절관리법과 발 관리법을 각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하지쪽 동맥의 맥박을 측정한다.
혈당조절관리법을 교육한다.
발 관리법을 교육한다.
금연하도록 한다.
필요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족배동맥의 맥박을 1분간 측정하고 요골동맥의 맥박과 비교하였다.
혈당을 조절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알맞은 열량의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하였다.
설탕, 꿀, 염분, 기름 많은 음식, 술, 청량음료를 제한하고 고섬유식이를 하도록 하였다.
혈당치가 최고인 시간에 가벼운 걷기 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알맞은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혈당측정시간을 알려주고 그 시간엔 병실에 있도록 하였다.
발 상처가 더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앞이 막힌 신발과 굽이 낮은 신발을 신도록 하고 맨발로 다니지 않도록 하였다.
발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처 드레싱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흡연은 발의 상처와 눈의 시력변화를 악화시킴을 교육하고 금연하도록 격려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newpex 20mg를 저녁 식후 30분에, Vesseldue-F soft cap를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onglyza 5mg을 아침 식전 30분에 1정씩, Lasix 40mg을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2정 복용하도록 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당뇨병의 대혈관합병증의 하나인 하지동맥의 죽상경화증은 무릎 아래 혈관을 가장 자주 침범하며, 이로 인해 말초부위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어 보행 시 통증이 유발되고, 만성적인 혈류 장애가 있다.
혈당의 증가는 신경병증과 미세혈관질환의 악화인자가 된다.
신경병증과 말초혈관질환은 발의 감염위험을 증가시킨다.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혈류의 흐름을 빠르게 악화시킨다.
고지혈증치료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이뇨제로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 및 혈당을 조절하고 부종을 감소시킨다.
평가
대상자는 10월 28일, 퇴원 시 “금연에 성공했어요.”라고 말로 표현하였고, 발 관리법을 교육해 준대로 앞이 막힌 신발과 굽이 낮은 신발을 신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22일까지는 발 드레싱 유지를 하지 못하였으나, 이후로 드레싱을 건들지 않고 잘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28일까지 매일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약물도 잘 복용하고 가벼운 걷기 운동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혈당 측정 시간에도 병실에 잘 있어 규칙적으로 혈당측정을 할 수 있었다.
대상자는 10월 23일에 “혈당조절은 규칙적인 식사, 가벼운 걷기운동, 약물복용, 혈당측정시간에 자리에 있는 것이고, 발은 앞이 막힌 신발, 맨발로 다니지 않는 것, 드레싱 풀지 않는 것이에요.”라고 말하였다.
<간호진단2>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발에 딱지 떨어졌는데 그 이후로 낫질 않아서 입원했어요.”
객관적 자료
왼쪽 발꿈치에 DM foot 관찰됨
발의 상처 치유 지연
발의 부종 관찰됨
불안정한 glucose가 측정됨
10/19
10/20
FBS
165
146
2PPBS
105
232
3PM
207
210
간호진단
대사변화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발의 상처에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2일까지 피부 관리법을 2가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10월 23일까지 피부 관리법을 스스로 시행해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피부 병변 부위를 드레싱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피부에 손을 대지 않도록 교육한다.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여 이를 기록하며, 변화가 있을 시 보고 하였다.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체온이 상승하는 지 주의깊게 관찰하였다.
세균 감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매일 simple dressing방법으로 피부병변 부위를 드레싱하였다.
미지근한 물로 발을 깨끗하게 씻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로션을 바르도록 교육하였다.
상처가 있는 피부에 손을 대면 세균감염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손을 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하루에 두 번 감염예방을 위해 N/S 100ml에 Prepenem 주 500mg 2병을 mix하여 IV dropping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현재 피부상태를 사정하여 피부손상이 어느 정도인지, 감염증상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체온 1℃ 상승 시 산소요구량이 10% 높아지므로 짧은 시간에도 괴사가 일어날 수 있다.
드레싱은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피부 괴사, 표피 파괴, 세균증식을 억제한다.
손의 접촉은 세균감염을 촉진한다.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약물이다.
평가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매일 규칙적으로 발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으며, 매일 상처를 드레싱을 잘 유지하여 28일까지 농성배액과 발적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는 10월 22일에 “발은 매일 따뜻한 물에 씻고 잘 말려야해요. 그리고 손을 대면 안돼요.”라고 피부관리법을 3가지 말하였다. 그리고 10월 23일에 대상자 스스로 발을 씻고 닦은 후 로션을 바르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E. 참고문헌
- 조경숙 외 공저(2014).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p.604~652
차영남 외 공저(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
불안정한 glucose가 측정됨
10/19
10/20
FBS
165
146
2PPBS
105
232
3PM
207
210
간호진단
당뇨와 관련된 말초조직 관류 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말초조직 관류 장애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3일까지 혈당조절관리법과 발 관리법을 각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하지쪽 동맥의 맥박을 측정한다.
혈당조절관리법을 교육한다.
발 관리법을 교육한다.
금연하도록 한다.
필요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족배동맥의 맥박을 1분간 측정하고 요골동맥의 맥박과 비교하였다.
혈당을 조절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알맞은 열량의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하였다.
설탕, 꿀, 염분, 기름 많은 음식, 술, 청량음료를 제한하고 고섬유식이를 하도록 하였다.
혈당치가 최고인 시간에 가벼운 걷기 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알맞은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혈당측정시간을 알려주고 그 시간엔 병실에 있도록 하였다.
발 상처가 더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앞이 막힌 신발과 굽이 낮은 신발을 신도록 하고 맨발로 다니지 않도록 하였다.
발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처 드레싱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흡연은 발의 상처와 눈의 시력변화를 악화시킴을 교육하고 금연하도록 격려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newpex 20mg를 저녁 식후 30분에, Vesseldue-F soft cap를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onglyza 5mg을 아침 식전 30분에 1정씩, Lasix 40mg을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2정 복용하도록 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당뇨병의 대혈관합병증의 하나인 하지동맥의 죽상경화증은 무릎 아래 혈관을 가장 자주 침범하며, 이로 인해 말초부위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어 보행 시 통증이 유발되고, 만성적인 혈류 장애가 있다.
혈당의 증가는 신경병증과 미세혈관질환의 악화인자가 된다.
신경병증과 말초혈관질환은 발의 감염위험을 증가시킨다.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혈류의 흐름을 빠르게 악화시킨다.
고지혈증치료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이뇨제로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 및 혈당을 조절하고 부종을 감소시킨다.
평가
대상자는 10월 28일, 퇴원 시 “금연에 성공했어요.”라고 말로 표현하였고, 발 관리법을 교육해 준대로 앞이 막힌 신발과 굽이 낮은 신발을 신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22일까지는 발 드레싱 유지를 하지 못하였으나, 이후로 드레싱을 건들지 않고 잘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28일까지 매일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약물도 잘 복용하고 가벼운 걷기 운동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혈당 측정 시간에도 병실에 잘 있어 규칙적으로 혈당측정을 할 수 있었다.
대상자는 10월 23일에 “혈당조절은 규칙적인 식사, 가벼운 걷기운동, 약물복용, 혈당측정시간에 자리에 있는 것이고, 발은 앞이 막힌 신발, 맨발로 다니지 않는 것, 드레싱 풀지 않는 것이에요.”라고 말하였다.
<간호진단2>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발에 딱지 떨어졌는데 그 이후로 낫질 않아서 입원했어요.”
객관적 자료
왼쪽 발꿈치에 DM foot 관찰됨
발의 상처 치유 지연
발의 부종 관찰됨
불안정한 glucose가 측정됨
10/19
10/20
FBS
165
146
2PPBS
105
232
3PM
207
210
간호진단
대사변화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발의 상처에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0월 22일까지 피부 관리법을 2가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10월 23일까지 피부 관리법을 스스로 시행해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피부 병변 부위를 드레싱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피부에 손을 대지 않도록 교육한다.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여 이를 기록하며, 변화가 있을 시 보고 하였다.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체온이 상승하는 지 주의깊게 관찰하였다.
세균 감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매일 simple dressing방법으로 피부병변 부위를 드레싱하였다.
미지근한 물로 발을 깨끗하게 씻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로션을 바르도록 교육하였다.
상처가 있는 피부에 손을 대면 세균감염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손을 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하루에 두 번 감염예방을 위해 N/S 100ml에 Prepenem 주 500mg 2병을 mix하여 IV dropping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현재 피부상태를 사정하여 피부손상이 어느 정도인지, 감염증상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체온 1℃ 상승 시 산소요구량이 10% 높아지므로 짧은 시간에도 괴사가 일어날 수 있다.
드레싱은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피부 괴사, 표피 파괴, 세균증식을 억제한다.
손의 접촉은 세균감염을 촉진한다.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약물이다.
평가
대상자는 10월 28일까지 매일 규칙적으로 발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으며, 매일 상처를 드레싱을 잘 유지하여 28일까지 농성배액과 발적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는 10월 22일에 “발은 매일 따뜻한 물에 씻고 잘 말려야해요. 그리고 손을 대면 안돼요.”라고 피부관리법을 3가지 말하였다. 그리고 10월 23일에 대상자 스스로 발을 씻고 닦은 후 로션을 바르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E. 참고문헌
- 조경숙 외 공저(2014).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p.604~652
차영남 외 공저(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