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사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의 구조
3. 사물인터넷의 표준화
Ⅲ. 해외 선진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분석
Ⅳ.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2. 사물인터넷산업의 문제점
Ⅴ. 사물인터넷산업의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사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의 구조
3. 사물인터넷의 표준화
Ⅲ. 해외 선진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분석
Ⅳ.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2. 사물인터넷산업의 문제점
Ⅴ. 사물인터넷산업의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창업거점으로 어떻게 육성하고 극대화할지 등에 대하여 중장기적인 비전과 함께 구체적인 실천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혁신창업 생태
계 조성 및 글로벌화에 주력하며, 혁신창업 기업들의 해외진출뿐만 아니라 해외의 혁신창업 기업을 국내로 적극 유치하여야 한다. 기술의 발전이 무조건 번영을 가져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현재 선진 국가를 중심으로 기술발전이 고용 및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장기적으로 좋은 정책이 뒷받침해 준다면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각 국가마다 시장진입 장벽이 높아지고 기업들의 원천기술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에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전략은 절실해 질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국내와 국외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상호간의 강점을 융합시켜 신산업을 전개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 및 지원하여야 하며, 세제 및 규제 등에서 기업 친화적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IoT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 및 국가 R&D 역량의 결집을 위한 선제적 투자와 함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투자와 R&D가 필요하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변화에 신속한 대응 및 융합형 연구의 수행을 관리·조정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체계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IoT 제품 및 서비스의 패키지 개발을 촉진하는 산업 생태계 및 환경 그리고 이를 위한 규제 완화 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참여자에 대한 유인책 강화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Ⅵ. 결론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으며, 각국의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그 발전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산업혁명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기 때문에 사회의 모든 분야는 완전히 새로운 변신을 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선진 국가 및 선진 IT기업들이 사물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및 제품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IoT 관련 시장에 대해서 높은 관심이 더해지며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주요국에서는 공공 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 역시 ICT 환경이 모든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으로부터 창출되는 가치에 대하여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사물인터넷이 사회적, 경제적, 산업부문별 측면에 어떤 파급력을 갖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 가능성 검토 및 성장 극대화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 한국은 그에 대한 정책 및 전략에 대하여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한국 기업이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거나 강점을 보일 수 있는 영역들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는 연구보고서,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학술지, 신문 기사, 세미나 발표자료 등을 참고하여 먼저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하였고, 해외 선진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사물인터넷산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사물인터넷산업에 관한 외국사례에 대한 자료수집이 어려워 사례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심층적인 분석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사물인터넷산업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두며 본 보고서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지성김태성,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정보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31-1135,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고정숙, 사물 인터넷, 문학산책사, 2019
김진덕, 오유리, 김현모, “사물인터넷 시장 및 정책 현황과 활용사례 연구”, 빅데이터 기획연구 16-02, 충북연구원, 2016
변재웅,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산업연구원,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2014
서경환, 사물인터넷 개론, 배움터, 2020
엄주희박정기, 사물인터넷 환경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471-48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5
이종윤홍장선윤주현,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한 초기이용자의 탐색적 유형연구, 주관성연구: 89-107,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이종혁, 사물인터넷에서 사생활 보호를 위한 IPv6 주소설정, 보안공학논문지, 12(3): 239-246,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이형규김말희방효찬,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및 발전방안, 정보처리학회지 21(2): 14-21.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최병삼, 양희태, 이제영, “제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국가전략의 주요 의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215호, 2017
최창원정현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계정 관리 시스템, 한국사물인터넷학회,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2021
Dave Evans, “The Internet of Things: How the Next of the Internet Is Changing Everything”, Cisco Internet Business Solutions Group, 2011
Kevin Ashton, “hat \'Internet of Things\'Thing: In the real world, things matter morethan ideas” RFID Journal, 2009.
McKinsey&company, \"The Internet of Things; Mapping the Value beyond he Hype\", 2015.
계 조성 및 글로벌화에 주력하며, 혁신창업 기업들의 해외진출뿐만 아니라 해외의 혁신창업 기업을 국내로 적극 유치하여야 한다. 기술의 발전이 무조건 번영을 가져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현재 선진 국가를 중심으로 기술발전이 고용 및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장기적으로 좋은 정책이 뒷받침해 준다면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각 국가마다 시장진입 장벽이 높아지고 기업들의 원천기술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에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전략은 절실해 질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국내와 국외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상호간의 강점을 융합시켜 신산업을 전개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 및 지원하여야 하며, 세제 및 규제 등에서 기업 친화적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IoT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 및 국가 R&D 역량의 결집을 위한 선제적 투자와 함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투자와 R&D가 필요하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변화에 신속한 대응 및 융합형 연구의 수행을 관리·조정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체계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IoT 제품 및 서비스의 패키지 개발을 촉진하는 산업 생태계 및 환경 그리고 이를 위한 규제 완화 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참여자에 대한 유인책 강화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Ⅵ. 결론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으며, 각국의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그 발전의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산업혁명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기 때문에 사회의 모든 분야는 완전히 새로운 변신을 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선진 국가 및 선진 IT기업들이 사물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및 제품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IoT 관련 시장에 대해서 높은 관심이 더해지며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주요국에서는 공공 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 역시 ICT 환경이 모든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으로부터 창출되는 가치에 대하여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사물인터넷이 사회적, 경제적, 산업부문별 측면에 어떤 파급력을 갖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 가능성 검토 및 성장 극대화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 한국은 그에 대한 정책 및 전략에 대하여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한국 기업이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거나 강점을 보일 수 있는 영역들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는 연구보고서,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학술지, 신문 기사, 세미나 발표자료 등을 참고하여 먼저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하였고, 해외 선진국의 사물인터넷산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사물인터넷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사물인터넷산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사물인터넷산업에 관한 외국사례에 대한 자료수집이 어려워 사례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심층적인 분석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사물인터넷산업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두며 본 보고서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지성김태성,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정보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31-1135,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고정숙, 사물 인터넷, 문학산책사, 2019
김진덕, 오유리, 김현모, “사물인터넷 시장 및 정책 현황과 활용사례 연구”, 빅데이터 기획연구 16-02, 충북연구원, 2016
변재웅,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산업연구원,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2014
서경환, 사물인터넷 개론, 배움터, 2020
엄주희박정기, 사물인터넷 환경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471-48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5
이종윤홍장선윤주현,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한 초기이용자의 탐색적 유형연구, 주관성연구: 89-107,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이종혁, 사물인터넷에서 사생활 보호를 위한 IPv6 주소설정, 보안공학논문지, 12(3): 239-246,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이형규김말희방효찬,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및 발전방안, 정보처리학회지 21(2): 14-21.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최병삼, 양희태, 이제영, “제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국가전략의 주요 의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215호, 2017
최창원정현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계정 관리 시스템, 한국사물인터넷학회,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2021
Dave Evans, “The Internet of Things: How the Next of the Internet Is Changing Everything”, Cisco Internet Business Solutions Group, 2011
Kevin Ashton, “hat \'Internet of Things\'Thing: In the real world, things matter morethan ideas” RFID Journal, 2009.
McKinsey&company, \"The Internet of Things; Mapping the Value beyond he Hype\",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