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2. 본인이 속한 발달단계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2. 본인이 속한 발달단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자신의 참여가치, 자원, 약점을 통해 그들에게 의미 있는 것을 성취하고자 하는 수단과 사회적 목표들을 얻는다. 게다가 업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을 하면서 성인기는 내면적인 친분을 찾고 그 친분 속에 일부 성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관계를 갖게 되는 시기이다.
필자 본인은 그동안 생활협동조합의 활동으로 공동체 활동으로 소비보다는 생산지향적인 삶을 추구하여 왔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의 생산성이지만 생산성이라 함은 위에서 서술한 대로 다음세대를 이끌어주고 돌봐주려는 관심에서 출발하여 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노력도 있지만 이웃과 다음세대와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노력으로 마련된 생산지향적인 삶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침체는 타인에게 거짓된 친밀성을 갖고 자기에게만 탐닉하는 것으로 자기만을 우선적으로 보호 하는 것을 말하는 데 자칫 그동안 자신이 살아왔던 경험의 기준들로 타인에게 강요하거나 감춰진 욕구를 포장하여 자기 자신의 탐닉에 빠지는 경우들을 많이 본다. 어른으로서, 성인으로서 좀 더 이 시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여 타인을 돌보는 능력, 즉 배려의 능력을 획득하는 삶을 살아가게 되길 바란다. 이시기의 존재질문인 ‘나는 내 삶을 인정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긍정적인 답을 할 수 있다. 나 만의 삶에 있어 내 자신의 모습대로 타인들을 인정하며 선입견들을 버려가며 다음 8단계인 자아통합 대 절망감의 단계에도 와있다.
8단계 존재질문인 ‘나는 내게 좋았었는가?’에 대한 답에 충분히 좋았던 나를 발견하게 된다.
에릭슨의 심리발달 단계중 5단계까지는 내 자신이 좋지도 않았고 많은 열등감과 실패의 경험이 있었으나 6단계의 친밀감 대 고립감의 시기에 자신의 정체성에대한 고민과 갈등의 성공적인 해결(바라보는 삶의 가치)로 인하여 7단계, 8단계의 삶은 자신의 삶과 자아의 존중, 배려와 자아통합의 지혜를 갖게되는 삶을 지향하며 살아가고 있다.
Ⅲ. 결 론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론은 인간의 발달에서 각 시기별 특징과 발달과업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발달과업 극복을 위한 방법 및 해당 시기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그저 잘한 행동과 못한 행동들로 바라보는 좁은 시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관계에 대해서 좀 더 넓은 시야로 그 의미를 바라볼 수가 있게 되었다.
해당 이론을 통해 나를 바라보았을 때 시기적으로 내가 겪은 심리적 위기나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성인기에 있는 나는 향후 겪을 위기와 극복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충분한 계기를 마련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중돈(202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정희 외(2002),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엄태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이인정, 최해경(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최옥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하지현(2016),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나는 누구인가’에서 시작된 정체성의 발견
필자 본인은 그동안 생활협동조합의 활동으로 공동체 활동으로 소비보다는 생산지향적인 삶을 추구하여 왔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의 생산성이지만 생산성이라 함은 위에서 서술한 대로 다음세대를 이끌어주고 돌봐주려는 관심에서 출발하여 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노력도 있지만 이웃과 다음세대와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노력으로 마련된 생산지향적인 삶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침체는 타인에게 거짓된 친밀성을 갖고 자기에게만 탐닉하는 것으로 자기만을 우선적으로 보호 하는 것을 말하는 데 자칫 그동안 자신이 살아왔던 경험의 기준들로 타인에게 강요하거나 감춰진 욕구를 포장하여 자기 자신의 탐닉에 빠지는 경우들을 많이 본다. 어른으로서, 성인으로서 좀 더 이 시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여 타인을 돌보는 능력, 즉 배려의 능력을 획득하는 삶을 살아가게 되길 바란다. 이시기의 존재질문인 ‘나는 내 삶을 인정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긍정적인 답을 할 수 있다. 나 만의 삶에 있어 내 자신의 모습대로 타인들을 인정하며 선입견들을 버려가며 다음 8단계인 자아통합 대 절망감의 단계에도 와있다.
8단계 존재질문인 ‘나는 내게 좋았었는가?’에 대한 답에 충분히 좋았던 나를 발견하게 된다.
에릭슨의 심리발달 단계중 5단계까지는 내 자신이 좋지도 않았고 많은 열등감과 실패의 경험이 있었으나 6단계의 친밀감 대 고립감의 시기에 자신의 정체성에대한 고민과 갈등의 성공적인 해결(바라보는 삶의 가치)로 인하여 7단계, 8단계의 삶은 자신의 삶과 자아의 존중, 배려와 자아통합의 지혜를 갖게되는 삶을 지향하며 살아가고 있다.
Ⅲ. 결 론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론은 인간의 발달에서 각 시기별 특징과 발달과업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발달과업 극복을 위한 방법 및 해당 시기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그저 잘한 행동과 못한 행동들로 바라보는 좁은 시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관계에 대해서 좀 더 넓은 시야로 그 의미를 바라볼 수가 있게 되었다.
해당 이론을 통해 나를 바라보았을 때 시기적으로 내가 겪은 심리적 위기나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성인기에 있는 나는 향후 겪을 위기와 극복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충분한 계기를 마련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중돈(202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정희 외(2002),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엄태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이인정, 최해경(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최옥채(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하지현(2016),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나는 누구인가’에서 시작된 정체성의 발견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연구방법 연습문제 1~13장 정리B (열심성실형)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본인...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본인...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기준으로 현재 자신이 속한 단계에서 과업수행 정...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고제를 본인...
인간발달 단계를 8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자신은 어느 단계에 해당하고 있는지 단계의 특성...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단계 이론을 설명하고 두 이론의 차이점을 분석한 후 인간발달에 관...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8단계 중 본인은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정하고 자신이 속한 단계의 속...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서술하고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를 찾아 나의 생활과 관련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