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날 우리나라 음식문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는 국가 5곳을 선정하고, 각 나라마다 우리 음식문화에 어떤 계기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에 관해 교재와 강의 1~2강을 참고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 오늘날 우리나라 음식문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는 국가 5곳을 선정하고, 각 나라마다 우리 음식문화에 어떤 계기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에 관해 교재와 강의 1~2강을 참고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늘날 우리나라 음식문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는 국가 5곳을 선정하고, 각 나라마다 우리 음식문화에 어떤 계기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에 관해 교재와 강의 1~2강을 참고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2. 한국, 중국, 일본, 태국, 인도 5개국에 대해서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그 나라에서 대중화된 음식을 각 나라마다 3개씩 찾아 제시하고, 각각의 음식마다 자연환경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간략히 설명하시오.

3. 터키, 프랑스, 스페인 3개국에 대해서 각각의 음식문화에 직접 영향을 준 ‘사회/역사적 배경’에 관하여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4. 러시아, 미국, 브라질, 이탈리아, 아프리카 5개국(지역)에 대해서 각각의 전형적인 ‘식사 구성과 형태’의 특징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肉脯) ―」, 『한글한자문화』252권 0호.
에 따르면, 설렁탕-소주-햄버거(스테이크식)-육포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햄버거는 지금 미국식 햄버거가 대세에 가까우니 제외하고, 나머지 음식도 그 기원이 몽골이라는 것은 아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것 같다.
3) 일본
일본에서 유래한 음식은 단팥빵, 붕어빵, 돈가스, 김밥, 오뎅 등이 있다. 이 중에 일부는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36년간 일제강점을 겪으면서 정착된 것도 있고,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에 거주하던 우리나라 사람들이 국내에 들어오면서 이 문화가 정착된 것도 있다. 사실 단팥빵이야 다른 나라에도 있는 것이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밝히기 어렵지만, 돈가스, 김밥, 오뎅과 같은 것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정말 자주 먹는 음식이기에 우리나라 식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4) 미국
미국은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 중에 하나이며, 우리나라가 해방된 이후 주로 밀가루 원조 정책을 펼쳤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는 수제비, 칼국수, 밀떡, 라면 등 밀가루와 관련된 음식이 많이 발달하였다. 이외에도 미군부대에서 나온 부대를 통해 만든 부대찌개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널리 애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5) 베트남
우리나라가 베트남 음식을 먹은 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물론, 간간히 먹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대중화된 것은 1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사실 베트남 음식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계기로 정착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짐작가는 것이 있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2010년대를 전후로 하여 동남아에 많이 다녀오면서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 같다.
맛있다는 후기들이 많이 올라왔을 것이고, 이게 사업성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에 의해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입 이후 우리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우리나라 국물식의 쌀국수 등도 나타났다.
2. 한국, 중국, 일본, 태국, 인도 5개국에 대해서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그 나라에서 대중화된 음식을 각 나라마다 3개씩 찾아 제시하고, 각각의 음식마다 자연환경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간략히 설명하시오. (5개국 총 15개 음식 선정과 영향요인 설명의 적합성 평가로 총 15점 배점)
1) 한국
우리나라는 4계절을 모두 가지고 있는 온대기후이기에 아열대 기후처럼 더운 것은 아니지만 여름에 온도가 갑자기 크게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항상 더운 나라에 살게 되면 그 기후에 적응하겠지만, 갑작스럽게 올라가기 때문에 사람들이 적응하지 못하고 퍼지기도 한다. 우리는 ‘보양식’을 만들어서 먹었는데, 이와 관련이 있는 음식이 삼계탕이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에는 영하 10도, 심한 곳은 거의 20도로 내려가는 지역들이 있다. 이러한 추위에 버티기 위해 뜨근한 국문화가 발달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에 고기까지 넣어서 추운기후를 버틸 수 있는 에너지까지 넣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은 김치이다. 우리나라는 4계절 이후이기에 배추가 잘 자라는 시기가 있다. 그리고 특정 시기에는 이 음식을 먹지 못하기에 김장을 담그게 되었고, 그 결과 우리가 아는 김장김치가 생기게 되었다.
2) 중국
중국은 튀김음식이 상당히 많다. 튀김음식이 발달한 이유는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기름을 구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은 병균을 차단하기 위해서 튀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20260 참조.
중국은 ‘차’가 매우 발달해 있는데, 중국의 대부분의 지역은 석회석이 함유된 물이 흐른다고 한다. 물에 있는 석회석이 뭉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물을 끓여마셔야 한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차문화가 발달했다고 한다. http://www.mediag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2 참조.
중국에서는 습과 열을 대단히 중요하게 여긴다고 한다. 습과 열이 침투하면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습을 없애기 위해 매운 음식을 선호하곤 한다. 특히 더운 사천 지방에서는 맵고 뜨거운 요리를 많이 먹는다.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295 참조.
3) 일본
일본은 섬 국가이며, 주변이 넓은 바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해양음식과 관련된 문화가 많이 발달하였다. 특히 회와 관련된 문화는 유독 발전하여 우리나라사람들도 ‘회’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일본의 음식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다.
영주시민신문 영주TV 2002년 8월 18일 기사 https://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9 참조.
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1년 평균 66번 카레요리를 먹을 정도라고 한다. 특히 여름에는 1주일에 두 번 이상 카레요리를 먹는데, 카레가 여름을 이기는 힘이 되는 요리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카레에 한약제도 많이 넣어서 우리나라의 삼계탕과 같은 여름 보양식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도 더운 것이 만만치 않겠지만 우리보다 더욱 해양기후이고 습한 일본의 더위는 더욱 심할 것이라 본다.
일본 오키나와는 일본에서도 한참 남쪽에 있어서 엄청나게 덥고, 비가 자주와서 상당히 습한 기후를 자랑한다. 이러한 기후다 보니 음식이 쉽게 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키나와에서는 두부요리가 상당히 많이 발달하였다. 두부를 그냥 두면 상하겠지만, 여러 요리에 두부를 넣게 되면 두부가 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4) 태국
태국은 세 개의 계절로 나뉜 열대기후의 나라이다. 날씨가 따뜻하여 고대부터 전통적인 곡창지대가 많았다. 이렇듯 쌀이 워낙 많이 나오다 보니, 태국 사람들은 쌀로 상당히 많은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우리는 현재 베트남 쌀국수만 생각하고 있지만, 태국 역시 쌀국수가 상당히 유명한 국가이다. 쌀국수 문화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태국에서 너무 당연한 음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손수현(2005), 『태국 농업 개황』,「세계농업」 제59호.
태국은 남부의 대부분이 반도이기에 해산물이 많이 잡힌다. 이 중에서도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는 음식은 새우이다. 대표적인 요리는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1.07.05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