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케이스 자궁근종 간호사례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수술 후 간헐적 호흡곤란으로 나타나는 천식과 관련된 폐기능 회복력 손상 가능성 2. 수술 후 소화기계 회복 부전과 관련된 변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 케이스 자궁근종 간호사례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수술 후 간헐적 호흡곤란으로 나타나는 천식과 관련된 폐기능 회복력 손상 가능성 2. 수술 후 소화기계 회복 부전과 관련된 변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정보 자료
2. 질병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정보
3. 진단을 위한 검사
4. 임상병리검사
5. 수술 후 최종 진단명
6.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7. 간호과정

본문내용

주사의 경우 그 작용이 일시적이므로 치료가 끝나면 다시 근종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여성 호르몬의 감소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절제술이 있고, 자궁을 보존하고자 할 때에는 근종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근종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률은 약 50% 정도이고, 이 중 삼분의 일 정도에서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2. 간호과정
#1. 수술 후 간헐적 호흡곤란으로 나타나는 천식과 관련된 폐기능 회복력 손상 가능성.(9/28)
사정
주관적 자료
“간간히 숨차요”
객관적 자료
- 1년전 Asthma 진단받음.
- 수술 전날 저녁까지(9/26) Asthma 자가복용약(싱귤레어, 알레그라) 복용하고 현재까지 stop함.
간호계획
대상자는 호흡곤란 없이 편하게 호흡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수술 후 폐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중재
1. 호흡곤란의 양상을 사정한다.
2. 수술 후 deep breathing 과 coughing을 하도록 설명한다.
3. Asthma 약물 다시 시작하기 전까지 Nebulizer를 시행한다.
4. 처방에 따라 수술 후 회복되면 자가복용약물(알레그라, 싱귤레어)을 다시 복용한다.
이론적 근거
2. deep breathing과 coughing은 폐 합병증 예방과 회복에 도움이 된다.
3. Nebulizer를 함으로써 기도 분비물 배출에 용이하게 된다.
평가
1. Nebulizer를 지시에 따라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됨.
2. 호흡곤란 호소 없음.
#2. 수술 후 소화기계 회복 부전과 관련된 변비(10/31)
사정
주관적 자료
“몇일째 대변 못봤어요”
객관적 자료
myomectomy 수술 후 4일째로 대변을 4일째 보지 못함.
간호계획
대상자는 수술전의 배변양상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중재
1. 입원 전의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 1회/일
2. 조기이상을 하도록 격려한다.
3. 유산균음료 및 고섬유식이를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필요시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실콘 정
5.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갖도록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2. 수술 후 조기이상은 회복을 도와준다.
3. 유산균음료 및 고섬유식이, 수분은 변 완화의 효과가 있다.
4. 실콘 정은 변 완화제 이다.
5. 규칙적인 배변 습관은 수술 전의 배변 양상으로 돌아가는데 도움을 준다.
평가
1. 조기이상을 하는 모습이 관찰됨.
2. 아직 배변보지 못함.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12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