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군의 쇄국정책과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원군의 쇄국정책과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원군의 쇄국정책
1) 원인
2) 흥선대원군의 가치관
3) 평가
4) 쇄국정책에 대한 문제의식과 일본과의 비교
5) 쇄국정책과 현대와의 연관성

2.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1) 원인
2) 모택동의 한국전쟁의 가치
3) 평가
4) 현실인식
5) 한국전쟁과 미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0월 24일 기사 https://news.joins.com/article/23902384 참조.
에 따르면, 중국은 매년 ‘중국 인민지원군 항미원조 출국 작전 기념 대회’를 열고 있다고 한다. 즉, 지금까지도 매우 자랑스러운 역사로 선전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중국인들을 교육하고 있다. 전쟁이 체제유지에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중국인민공화국은 출범 직후부터 소수민족을 통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펴왔다. 그 중에서도 조선족은 그 숫자가 매우 많은 축에 속한다. 그리고 중국에 편입된지 가장 얼마 되지 않고 민족자체가 독특한 점이 다수 있다. 한국과 국경을 직접적으로 맞대게 되었다면 그들에 대한 통제가 어려웠을 것이다.
세 번째, 현재 중국이 고구려와 발해 역사에 대해 동북공정을 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고조선까지 동북공정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 북한은 정치적 입장 때문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우리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면, 더욱 대응하는 것이 쉬웠을 것이라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중공군의 참전이 지금까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먼저, 중공군의 참전으로 북한이 재건되었다. 북한의 재건은 이승만 독재, 박정희 독재정권이 유지될 수 있는 명분이 되었다. 두 번째, ‘빨갱이’라는 단어가 남아 우리사회를 한동안 괴롭혔다는 점이다. 요즘도 나이 많은 어르신들은 다소 좌쪽 성향의 사람들만 보면, “빨갱이, 빨갱이”거린다는 것이 박근혜 탄핵 집회에서 확인되었다. 세 번째, 갑작스러운 참전은 수많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죽게 했으며, 수많은 이산가족을 만들었다.
물론,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영향도 없지 않았다. 한국전쟁 직후, 미군은 우리나라 군을 현대화하기 위해 많은 지원을 했으며, 경제적으로도 훨씬 많은 지원을 하였다. 또한,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였다는 점이다.
5) 한국전쟁과 미래
필자는 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유해발굴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2000년대부터 유해발굴감식단을 운영하여 오지에서 아직도 떨고 있을 국군장병의 유해를 찾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사실, 유해발굴이 매년 엄청난 숫자가 되는 것이 아니지만, 나라가 그들을 버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기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갈수록 오지, 위험지대로 들어가야 할 것이며 성과 역시 감소할 것이지만, 꾸준히 해야 하는 정책이라 생각한다.
사실 요즘, 국가를 위해 희생(전사)한 사람들에 대한 정책이 다수의 민중이 죽은 것(세월호 사건)보다 더 못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사고로 죽은 것 역시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신채호 선생님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 말씀하셨다.
우리가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기억해주지 않는다면, 그 누구도 기억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우리는 한국전쟁에 중국군이 참여한 것에 대해 분명히 기억할 필요가 있고, 그로 인해 희생당하신 국군 장병에 대해 기억 무가 있다.
3. 참고문헌
1) 논문
David Tsui, 2009,「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ⅩⅢ) -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목적(2) 1950년 10월-1951년 7월」,『전략연구』통권 제47호.
김광옥, 2005,「19세기 중엽 네덜란드무역회사(NHM)의 일본무역활동」,『역사학연구』제25권 25호.
朴昌熙, 2003,「중국의 한국전쟁 개입 결정과 군사전략 목표」,『군사지』제48호.
김윤곤, 1999,「興宣大院君의 鎖國主義的 政策論」,『한국행정사학지』 제 7권.
2) 사이트
동아닷컴(https://www.donga.com).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8.17
  • 저작시기202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3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