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칼 융의 심리적 기능
2. 칼 융의 성격 유형
3. 세 가지 분류척도에 의한 성격유형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칼 융의 심리적 기능
2. 칼 융의 성격 유형
3. 세 가지 분류척도에 의한 성격유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밖으로 흐르느냐 안으로 흐르느냐에 따라 다시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융의 성격유형론의 특징은 심리학적 경향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구조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설명함과 동시에 비합리적인 기능을 합리적인 기능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3. 세 가지 분류척도에 의한 성격유형
(1) 태도기능
인간발달에 제일 처음 나타나는 기능으로 관심의 초점에 관한 선호에 따른 분류이다.
내향성은 바깥세계보다는 자기 내부의 개념이나 생각 또는 이념에 더 관심을 둔다. 혼자앉아 생각에 잠기는 것이 편안하다. 말수가 적은 대신 생각이 깊다.
외향성은 주로 외부세계를 지향하고 인식과 판단에 있어서도 외부의 사람이나 사물에 초점을 맞춘다. 행동지향적이고, 솔직하고, 사교성이 많고 대화를 즐긴다.
선호
지표
외향성
내향성
설명
폭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사교적이며 정열적이고 활동적이다.
깊이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대표적 표현
자기 외부에 주의집중
자기 내부에 주의집중
외부활동과 적극성
내부활동과 집중력
정열적, 활동적
조용하고 신중
말로 표현
글로 표현
경험한 다음에 이해
이해한 다음에 경험
쉽게 알려짐
서서히 알려짐
(2) 지각기능
지각기능이란 사물이나 사람, 사건, 생각을 지각하는 과정으로 외부로부터 정 보를 수집하거나 감각을 추구하는 행위, 자극의 선택 등을 말하고, 감각과 직관 으로 분류된다.
첫째 감각형은 자기가 현재 직접 경험하고 있는 일을 중시하며 현실적이고 관찰능력이 뛰어나고 세세한 것까지 기억을 잘하며 구체적이다. 순서에 입각해서 차근차근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성실근면 형이나, 구체적인 사실을 중시하기 때문에 전체를 보지 못할 위험이 있다. 사물, 사건, 사람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둘째, 직관형인 사람은 오관보다는 통찰, 소위 육감이나 영감에 의존하며, 구체적인 사실이나 사건보다는 이면에 감추어져있는 의미, 관계 기능성 또는 비전과 전체를 파악한다.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해 나가며 현재에 안주하기보다 미래의 성취와 변화, 다양성을 즐긴다. 세세한 부분은 간과하기 쉽고 새로운 일, 복잡한 일에 뛰어드는 경향이 많다.
(3) 판단기능
감각 또는 직관을 통해 정보를 얻으면 그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또는 선 택을 하게 된다.
첫째, 사고는 객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논리적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판단을 한다. 인정에
융의 성격유형론의 특징은 심리학적 경향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구조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설명함과 동시에 비합리적인 기능을 합리적인 기능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3. 세 가지 분류척도에 의한 성격유형
(1) 태도기능
인간발달에 제일 처음 나타나는 기능으로 관심의 초점에 관한 선호에 따른 분류이다.
내향성은 바깥세계보다는 자기 내부의 개념이나 생각 또는 이념에 더 관심을 둔다. 혼자앉아 생각에 잠기는 것이 편안하다. 말수가 적은 대신 생각이 깊다.
외향성은 주로 외부세계를 지향하고 인식과 판단에 있어서도 외부의 사람이나 사물에 초점을 맞춘다. 행동지향적이고, 솔직하고, 사교성이 많고 대화를 즐긴다.
선호
지표
외향성
내향성
설명
폭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사교적이며 정열적이고 활동적이다.
깊이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대표적 표현
자기 외부에 주의집중
자기 내부에 주의집중
외부활동과 적극성
내부활동과 집중력
정열적, 활동적
조용하고 신중
말로 표현
글로 표현
경험한 다음에 이해
이해한 다음에 경험
쉽게 알려짐
서서히 알려짐
(2) 지각기능
지각기능이란 사물이나 사람, 사건, 생각을 지각하는 과정으로 외부로부터 정 보를 수집하거나 감각을 추구하는 행위, 자극의 선택 등을 말하고, 감각과 직관 으로 분류된다.
첫째 감각형은 자기가 현재 직접 경험하고 있는 일을 중시하며 현실적이고 관찰능력이 뛰어나고 세세한 것까지 기억을 잘하며 구체적이다. 순서에 입각해서 차근차근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성실근면 형이나, 구체적인 사실을 중시하기 때문에 전체를 보지 못할 위험이 있다. 사물, 사건, 사람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둘째, 직관형인 사람은 오관보다는 통찰, 소위 육감이나 영감에 의존하며, 구체적인 사실이나 사건보다는 이면에 감추어져있는 의미, 관계 기능성 또는 비전과 전체를 파악한다.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해 나가며 현재에 안주하기보다 미래의 성취와 변화, 다양성을 즐긴다. 세세한 부분은 간과하기 쉽고 새로운 일, 복잡한 일에 뛰어드는 경향이 많다.
(3) 판단기능
감각 또는 직관을 통해 정보를 얻으면 그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또는 선 택을 하게 된다.
첫째, 사고는 객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논리적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판단을 한다. 인정에
추천자료
[발표 및 학습 지도안]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삶과 사상 - Carl Gustav Jung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융의 성격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신건강-2.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시오.- 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
(인간발달 공통) 나이가 들어가면서 남녀 간 성역할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융의 주장을 중심...
(정신건강 공통) 2.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시오 : 성격
[교육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유아발달A형 2019 정신분석이론과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정신분석이론과 인지발...
칼 융(C. Jung)은 인간의 성격을 심리적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성격유형...
칼 융(C. Jung)은 인간의 성격을 심리적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성격유형...
소개글